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884 vote 0 2015.01.13 (17:55:20)

     

    가만이 머물러 있는 100킬로그램의 물체를 움직이려면 101킬로그램의 힘이 필요하다. 둘이 대칭된 상태에서 상대를 밀어낸다고 가정되는 경우다. 그런데 움직이는 100킬로그램의 물체라면 경우에 따라서는 1킬로그램의 작은 힘으로도 통제가 가능하다. 움직이는 물체는 내부에 대칭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물체 내부의 50 대 50 대칭에서 약간의 외부영향만 있어도 커다란 반응이 일어난다. 그러나 움직이는 물체는 속도를 가진다. 움직이는 물체에 힘을 전달하려면 대상보다 빨라야 한다. 느리다면?


    순풍에 돛 달고 항하해는 범선은 약간의 바람이라도 빠르게 달릴 수 있다. 배의 속도가 바람보다 빠름은 물론이다. 쾌속범선은 최대 시속 30킬로까지 가능한데 바람이 이렇게 분다면 폭풍이다. 옆바람을 쓰기 때문에 가능하다.


    측면을 때리면 언제나 정지해 있는 물체를 때리는 것과 같으므로 미풍이라도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이것이 동의 동이다.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가 빠른 속도를 내는 것과 같다. 자전거 타기도 마찬가지다. 자전거가 진행하는 속도보다 페달을 밟는 속도가 느려도 자전거는 가속된다. 자전거의 휠이 빠르게 회전해도 축은 정지해 있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동의 동이 가능하다.


    문제는 어떻게 대칭의 축을 형성하여 범선의 옆바람을 만드느냐다. 리더가 집단을 달리는 범선과 같은 상황으로 제어하는 방법 말이다.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관성의 법칙이다. 기병으로 적진의 가운데를 돌파한다면 달리는 말은 속도가 붙어서 멈추지 못한다.


    이때 집단의 의사결정은 쉬워진다. 반대로 적을 멈추지 못하게 할 수도 있다. 늑대가 사슴떼를 몰이할 때다. 늑대는 사슴떼를 폭넓게 포위한다. 사슴떼가 방향을 틀만한 지점에는 늑대가 한 마리 가 있다. 사슴떼는 다음 커브를 기대하고 의사결정을 유보하다가 막다른 골목으로 몰린다.


    이때 늑대들은 이심전심으로 자기편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다. NO만으로 통제가 가능하다. 자기편의 의사결정을 쉽게 하고 상대방의 의사결정을 방해하여 달리는 범선의 옆바람을 도출할 수 있다. 동의 동을 끌어낼 수 있다. 움직이는 물체의 움직이지 않는 대칭축을 끌어낼 수 있다.


    가만이 있는 것은 힘으로 통제할 수 있고 움직이는 것은 속도로 통제할 수 있다. 대칭으로 상대를 막아서는 방법도 있다. 이들은 모두 지속가능하지 않다. 힘은 소모되기 때문이다. NO는 힘이 없다. 힘을 쓰지 않고 통제해야 한다. 가속도가 걸린 기병을 멈춰세울 수 없다.


    즉 멈출 수 없음으로 통제하는 것이 NO로 통제하는 것이다. 쫓기는 사슴은 방향을 틀 수 없다. 의사결정할 수 없음으로 통제하는 것이 NO로 통제하는 것이다. 이때는 비용이 들지 않는다. 힘으로 통제하면 힘이 소모되어 힘이 고갈되므로 힘이 없어져서 통제할 수 없다.


111.JPG


    움직이는 둘의 대칭을 끌어내어 움직이지 않는 대칭축을 설계하면 그 움직이지 않음의 NO로 움직임의 YES를 통제할 수 있습니다. 저울의 받침점처럼, 시소의 축처럼, 로타리의 중심점처럼 움직이지 않는 소실점이 있습니다. 바로 그 하나의 작은 점을 살짝 이동시켜 전체를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3857 일은 즐거워야 한다 image 2 김동렬 2016-03-04 5753
3856 자연은 다섯 대칭으로 이루어졌다. image 김동렬 2015-09-03 5753
3855 깨달음은 말할줄 아는 것이다. image 2 김동렬 2015-09-16 5754
3854 세상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 image 2 김동렬 2015-04-23 5758
3853 진리와 깨달음 image 2 김동렬 2015-10-10 5764
3852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image 1 김동렬 2015-07-23 5767
3851 신과 인간 1 김동렬 2015-03-14 5770
3850 에너지가 사건을 일으킨다 image 5 김동렬 2015-01-12 5772
3849 메카는 어디인가? image 김동렬 2015-02-13 5772
3848 에너지와 관측자 image 1 김동렬 2014-11-08 5779
3847 뭐든 구조를 탓하면 된다 image 3 김동렬 2015-11-14 5779
3846 사랑 118, 결단의 에너지 1 김동렬 2016-06-21 5783
3845 진리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5-12-16 5785
3844 판을 키우는게 깨달음이다 image 김동렬 2015-09-18 5787
3843 공자의 최종결론 image 1 김동렬 2016-06-08 5790
3842 일의성과 완전성 image 10 김동렬 2015-03-13 5791
3841 예술이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5-12-02 5791
3840 논어해설 1, 백이숙제 image 6 김동렬 2016-01-27 5793
3839 의사결정학 간단요약 김동렬 2014-09-04 5800
3838 대칭은 깨지기 위해 존재한다. image 김동렬 2015-06-04 5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