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882 vote 0 2019.05.14 (15:43:51)

555555.jpg

      
   

    입자라는 개념은 황당하기 짝이 없는 것이다. 말이 안 된다. 언어적으로 불성립이다. 궁극적으로는 장이 있고 장은 방향을 가진다. 방향이 특정하게 꼬이면 입자가 된다. 세상은 대칭이다. 대칭을 만드는 형태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초끈의 진동은 웃긴 표현이고 방향전환으로 보는게 자연스럽다.


    전자의 위치가 없어야 하는 이유는 계속 방향을 바꾸기 때문이다. 장은 부분이 전체를 대표하므로 장에 속하는 어느 위치든 거리는 같다. 영화 스크린에서 주인공 춘향과 몽룡의 거리는 3미터지만 그림자에 불과하고 원본인 디지털 필름에는 거리가 0이다. 즉 장은 거리의 간격을 인정하지 않아야 한다.


    전자구름이 확률로 표현되는 이유는 방향을 계속 바꾸고 있으므로 방향이 바뀌면 없거나 있기 때문이다. 가운데서 포착될 확률이 높다. 일반인들은 경험적 직관을 따른다. 문제는 경험한 것이 별로 없다는데 있다. 스탠리 큐브릭의 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에 나오는 모노리스는 사실 설득력이 없다.


    부족민은 움직이지 않는 것에 반응하지 않는다. 아인슈타인은 수학적 직관을 따른다. 보어는 그런 직관을 배제한다. 아인슈타인은 머리 속에 모형을 만들어놓고 있기 때문에 양자역학을 반대하는 것이다. 그 모형은 틀린 것일 수 있다. 더 높은 의사결정단위가 있기 때문이다. 바른 모형을 찾을 수 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5.16 (03:11:36)

" 더 높은 의사결정단위가 있기 때문이다. 바른 모형을 찾을 수 있다."

-http://gujoron.com/xe/1089055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9.05.16 (06:28:08)

문제는 경험한 것이 별로 없다는데 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9.05.16 (06:30:03)

시간이 되신다면 모노리스에 대해 조금만 살을 붙여주셨으면 합니다. 영화를 아직 보지 않아서 유추해내기 어렵네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9.05.16 (10:18:51)

영화를 안 보면 별로 의미가 없지요.

스포일러이긴 한데 하여간 외계인이 인류의 진화를 촉발할 의도로

돌기둥을 하나 세워놨다는 거.


소설판에 의하면 각변의 비율이 1:4:9인데, 이건 1, 2, 3의 제곱수이다. 자연적인 확률로는 나오기 힘들며, 스스로 인공물임을 주장하는 사각형 덩어리. 다만 영화에서는 비주얼적인 문제로 비율을 다르게 만들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9.05.16 (11:07:48)

감사합니다.
작정하고 봐야겠네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4480 구조론으로 본 월드컵 김동렬 2006-06-16 12567
4479 구조론의 이해 image 1 김동렬 2017-06-12 12565
4478 노예에게 해방은 없다. image 김동렬 2017-11-13 12564
4477 인간은 권력에 지배된다 image 김동렬 2017-07-20 12558
4476 캐릭터가 필요하다 image 3 김동렬 2018-02-24 12557
4475 오컴의 면도날과 구조론 image 1 김동렬 2017-09-03 12557
4474 명상은 거짓말이다. image 4 김동렬 2017-11-21 12556
4473 야심이 없으면 창의도 없다 image 김동렬 2017-12-04 12555
4472 조선일보 발악을 하는구나 김동렬 2006-03-15 12555
4471 더 이상 상생은 없다! 김동렬 2004-06-07 12550
4470 영화 염력의 폭망에 대해 image 김동렬 2018-02-06 12549
4469 치졸한 동아일보 떨거지새끼들.... <노무현 청와대 50일 분석> 스피릿 2003-04-22 12548
4468 긴장과 밸런스 그리고 릴렉스 김동렬 2007-07-13 12545
4467 [단상] 자투리 이야기들 김동렬 2006-12-07 12544
4466 구조론 1분 공략 김동렬 2010-01-12 12542
4465 의사결정은 비용을 유발한다 image 김동렬 2017-06-10 12540
4464 진보의 구조 김동렬 2007-02-16 12537
4463 인간은 권력적 동물이다. image 김동렬 2018-01-31 12536
4462 직관의 의미 김동렬 2007-07-30 12529
4461 중앙은 변할 것인가? 김동렬 2004-12-18 12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