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669 vote 0 2024.01.04 (16:28:59)


    말을 똑바로 하면 모든 문제가 풀린다. 인류 문명의 가장 큰 장벽은 언어다. 인간은 아직 언어를 모른다. 인간은 양자역학을 이해하지 못 하는 게 아니라 이해라는 말이 무슨 뜻인지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양자역학을 이해한 사람은 아무도 없다는 주장을 나는 이해할 수가 없다. 어떻게 이해를 못 할 수가 있는가? 알파벳을 모르는 사람은 영어로 된 문장을 읽을 수 없다. 그건 이해를 못 한 것이 아니고 못 읽는 거다. 장님이 국어책을 읽지 못한다고 해서 이해 못 한다고 말할 수는 없지 않은가?


    인간은 보지 못한 것을 이해하지 못한다. 양자를 눈으로 본 사람이 있는가? 없다. 인간은 양자의 희미한 흔적만을 볼 수 있을 뿐이며 사람이 지나간 다음 그 발자국만 보고 거기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이해할 수는 없는 것과 같다. 그것은 제대로 보지 못한 것이지 이해 못한 것이 아니다.


    선로 위를 1차원으로 움직이는 개미는 2차원을 이해할 수 없다. 사실은 볼 수가 없다. 구조론으로 보면 무조건 차원이 내려가야 한다. 4차원에서 3차원을 보고, 3차원에서 2차원을 보고, 2차원에서 1차원을 본다. 인간은 3차원을 보지만 실제로는 2차원을 보고 뇌가 3차원으로 해석한다. 

    

    인간이 양자역학을 이해한다는 것은 극장에서 영화를 보고 배우와 감독이 어떻게 촬영했는지 짐작하는 것이다. 스크린을 보고 촬영장 모습을 상상할 수 있지만 그것은 추측에 불과하다. 그런데 추측은 가능하다. 인간은 양자 메커니즘을 정확히 이해할 수 없지만 상당히 추측할 수 있다.


    그러려면 장의 개념을 받아들여야 한다. 필름과 스크린은 다르다는 전제를 받아들여야 한다. 아인슈타인처럼 필름이 곧 스크린이라고 믿으면 피곤하다. 아인슈타인이 좋아하는 숨은 변수 개념을 도입하자. 양자 말고 그 위에 하나가 더 있으며 양자는 더 높은 차원에서 투사된 그림자다.


    우리가 보는 것은 실제 배우가 아니고 빛이 배우를 지나가며 그림자를 만든 것이다. 스크린에 비친 상은 실제 배우가 아니지만 실제 배우의 모습은 맞다. 이런게 이해가 안 되나? 만약 이해가 안 된다면 메커니즘을 모르는 것이다. 양자역학을 모르는게 아니라 존재를 모르는 것이다. 


    장 개념은 거리가 무시되는 세계다. 풍선에 압력이 가득 찬 상태에서 풍선 내부에 어떤 일이 일어나면 그 사실은 닫힌계 내부 전체에 전달된다. 만원버스에서 한 사람이 더 타면 모두가 그것을 느낀다. 손흥민이 골을 넣으면 시청자 1억 명이 동시에 그것을 안다. 그것이 장의 세계다.


    현실에 분명히 4차원 세계가 존재하므로 양자역학의 세계 역시 이와 비슷할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3차원 입체와는 분명히 다르다. 3차원 세계는 옆 칸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모른다. 3차원은 에너지가 가로, 세로, 높이 세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4차원은 네 방향으로 온다.


    왜 이게 중요한가 하면 다른 모든 문제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모든 이해가 안 되는 것은 차원을 높이면 즉 숨은 변수를 추가하면 풀린다. 그것은 무엇인가? 매개다. 매개는 붙잡는 것이다. 무언가 그것을 붙잡고 있다. 예컨대 인형극을 한다면 사람이 위에서 줄에 매달아 붙잡고 있다.


    모든 존재는 붙잡힌 존재이며 우리는 붙잡힌 것을 볼 수 있을 뿐 붙잡는 것을 볼 수 없다. 그러나 그것이 있다는 사실은 추론하여 알 수 있다. 인형극을 본 사람이 인형이 어떻게 말을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하면 난감하다. 정확히 규명할 수 없을 뿐 대략적인 이해는 가능하다.


    무엇이 인간을 붙잡는가? 돈, 친구, 세력, 권력, 영역, 매력, 세력, 호르몬, 도파민, 흥분이다. 어떤 사람이 어떤 행동을 하는 이유는 첫째, 이겨먹으려고, 둘째, 이겨먹는데 필요한 힘 때문이다. 셋째, 힘을 주는 것은 돈, 친구, 세력, 권력, 호르몬이다. 쟤는 관종짓을 왜 하지? 흥분해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6636 마리 앙투아네트 김건희 김동렬 2024-01-20 2161
6635 한동훈의 까불이 정치 1 김동렬 2024-01-19 2740
6634 긍정적 사고 김동렬 2024-01-17 2167
6633 한동훈의 본질 김동렬 2024-01-15 3800
6632 존재의 핸들 김동렬 2024-01-14 2454
6631 이론적 확신의 힘 김동렬 2024-01-13 2380
6630 오마이 한겨레 경향의 배신 이유 1 김동렬 2024-01-12 3852
6629 최동훈 영화는 영화가 아니다. 김동렬 2024-01-11 2645
6628 읍참건희, 석열 동훈 비밀의 비밀 김동렬 2024-01-10 3706
6627 개식용금지법 통과 잘했다. 2 김동렬 2024-01-09 3818
6626 한동훈 일당의 아동학대 범죄 김동렬 2024-01-09 2227
6625 출산거부의 진실 김동렬 2024-01-08 3802
6624 한동훈의 신고식 김동렬 2024-01-08 3220
6623 유튜브 구조론 1회 24년 1월 7일 김동렬 2024-01-07 2225
6622 왜 사는가? 김동렬 2024-01-06 2516
6621 하늘이 선택한 이재명 김동렬 2024-01-05 3928
6620 예견된 노량의 실패 김동렬 2024-01-05 3232
6619 이기는 힘 김동렬 2024-01-04 2023
» 양자역학의 이해 김동렬 2024-01-04 1669
6617 긍정과 낙관 김동렬 2024-01-03 2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