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2867 vote 0 2017.02.22 (15:43:36)

       

    신이 있다면 그를 만나고 싶다. 피뢰침이 벼락을 맞듯이 뾰족한 곳에 가 있어야 신을 만나게 된다. 뾰족한 곳에 기어올라가거나 혹은 여럿이 모여서 뾰족하게 인간탑을 쌓을 수 밖에 없다. 뾰족한 집단의 대표성을 만들어낼 수 밖에 없다.


    때로는 한 사람이 신이기도 하고, 때로는 한 하늘이 신이기도 하고, 때로는 한 세월이 신이기도 하다. 한 사람의 전부를 만났다면 신을 만난 것이며, 한 하늘의 전부를 보았다면 신을 본 것이며, 한 세월의 정수를 보았다면 신을 겪은 것이다.


    한 사람을 만나지 않아도 좋다. 한 사람은 내 안의 전부를 끌어내는 장치다. 만날 사람을 만났을 때 내 영혼의 바닥까지 밖으로 끌어내지게 되는 것이다. 거울을 통해 나를 보듯이 한 사람을 만났을 때 상대방 마음에 비친 나 자신을 본다.


    신을 만나지 않아도 좋지만 신이 있어야 한다. 사람을 만나지 않아도 좋지만 사람이 적어도 거기에 존재하여 있어야 한다. 비로소 착수할 수 있게 된다. 이 세상에 70억 명이나 있다는데 그중에 사람이 하나도 없다면 그것은 다른 문제다.


    인생은 의미 아니면 허무다. 허무는 여기서 끝이고 의미는 다음 페이지로 넘어간다. 이 스테이지에는 아무런 의미가 없지만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면 마음의 준비를 갖추어야 한다. 여행자가 북극성을 찾듯이 신을 바라보아야 한다.


    신은 인간의 소원을 들어주기 위해 존재하지만 모두의 소원을 들어주지는 않는다. 대표자 한 명의 소원을 들어줄 뿐이다. 신의 입장에서는 하나가 전부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스스로 운명의 하나가 되거나 그 하나에게 위임하거나뿐이다.


    인간은 신을 만나기 원하며 그 이전에 신이 거기에 있기를 원한다. 내가 거기에 있어야 신이 거기에 있다. 나를 만나는 만큼 신을 만난다. 나를 부정할 때 신이 부정된다. 의미를 부정할 때 신은 사라진다. 다음 단계를 부정할 때 신은 없다.


20170108_234810.jpg


    종교의 신으로 오해하면 곤란합니다. 이건 다른 이야기입니다. 신을 완전성이라는 단어로 바꾸어도 됩니다. 의사결정에 있어서의 일관성 문제입니다. 내 인생에 있어서의 모든 의사결정들이 전부 하나로 연결되어 분명한 방향을 드러내야 그 낱낱의 결정들이 유의미해집니다. 


[레벨:11]큰바위

2017.02.22 (18:58:24)

이미 완전해져 있다. 

인간은 이미 신이 되어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6819 구조론 동영상 1 김동렬 2010-03-22 196724
6818 LK99 과학 사기단 image 김동렬 2023-08-07 71245
6817 진보와 보수 2 김동렬 2013-07-18 58392
6816 진화에서 진보로 3 김동렬 2013-12-03 58304
6815 '돈오'와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3-01-17 56226
6814 소통의 이유 image 4 김동렬 2012-01-19 55582
6813 신은 쿨한 스타일이다 image 13 김동렬 2013-08-15 55158
6812 관계를 창의하라 image 1 김동렬 2012-10-29 48805
6811 답 - 이태리가구와 북유럽가구 image 8 김동렬 2013-01-04 45669
6810 독자 제위께 - 사람이 다르다. image 17 김동렬 2012-03-28 44839
6809 청포도가 길쭉한 이유 image 3 김동렬 2012-02-21 42279
6808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image 3 김동렬 2012-11-27 42206
6807 구조론교과서를 펴내며 image 3 김동렬 2017-01-08 42066
6806 아줌마패션의 문제 image 12 김동렬 2009-06-10 41882
6805 포지션의 겹침 image 김동렬 2011-07-08 41318
6804 정의와 평등 image 김동렬 2013-08-22 40988
6803 비대칭의 제어 김동렬 2013-07-17 39021
6802 구조론의 이해 image 6 김동렬 2012-05-03 38939
6801 비판적 긍정주의 image 6 김동렬 2013-05-16 38077
6800 세상은 철학과 비철학의 투쟁이다. 7 김동렬 2014-03-18 376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