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608 vote 0 2022.06.16 (09:36:01)

    우리는 진리를 가졌다.
    진리는 신이 세상을 만드는데 사용한 도구다.
    우주가 자기 스스로를 펼쳐내는데 사용하는 기술이다.
    진리는 밤을 낮으로, 무지를 인지로, 무리를 합리로 바꾼다.
    우리는 좋은 도구 하나를 손에 쥔 것이다.
    도구를 장악한 사람은 두렵지 않다.
    무엇을 해야 할지 알기 때문이다.


    진리를 얻기 전에 거짓이 있었다.
    뭐든 뜻대로 잘 안되는 것이 거짓의 방해다.
    우리는 현장에서 무수히 실패하고 좌절하였다.
    앞으로 가라면 뒤로 가고 뒤로 가라면 앞으로 간다.
    도무지 말을 들어먹지 않는 것이었다.
    자연이 말을 듣지 않고, 인간이 말을 듣지 않고, 도구가 말을 듣지 않는다.
    소도 말을 듣지 않고, 개도 말을 듣지 않는다.
    말을 듣지 않는 이유는 그대가 타인이기 때문이다.
    너와 나 사이에 벽이 하나 들어서 있다.
    말이 통하지 않는다.
    꽉 막혀 있다.
    그것을 뚫어야 한다.
    말을 듣게 만들어야 한다.
    자연이 버젓이 존재하는 이유는 어떻게든 그것을 성공시켰기 때문이다.
    자연은 어떤 방법으로 타자성의 장벽을 넘고 존재를 성공시켰는가?
    서로 마주보는 주체와 타자를 한 방향을 바라보게 만든 것이다.
    의사결정이라는 장벽을 넘는 것이다.
    에너지의 방향성이라는 고집불통을 다스리는 것이다.
    주체가 객체를 장악하지 못한 것이 의사결정의 장벽이다.
    그 하나의 핵심을 온전히 장악할 때
    우리는 손에 쥔 열쇠로 자물쇠를 따서
    당당하게 문을 열고 존재의 안쪽으로 성큼 들어가서 문제를 해결한다.
    비로소 너를 초대할 수 있다.
    너는 그 무대에 초대받을 수 있다.
    밖에서 겉돌지 않고 안쪽으로 침투할 수 있다.
    우리는 함께 손잡고 커다란 변화의 흐름에 올라탈 수 있다.
    함께 가는 기세는 장벽을 넘는다.


    우리는 진리라는 열쇠로 의사결정이라는 자물쇠를 연다.

    주체가 객체를 장악하는 방법으로 타자성이라는 장벽을 넘는다.

    사건의 에너지 흐름에 올라타는 방법으로만 가능하다.

    사건의 메커니즘을 파훼하는 방법으로 가능하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7445 구조론 동영상 1 김동렬 2010-03-22 204055
7444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87012
7443 LK99 과학 사기단 image 김동렬 2023-08-07 79197
7442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76546
7441 진보와 보수 2 김동렬 2013-07-18 68685
7440 진화에서 진보로 3 김동렬 2013-12-03 67206
7439 '돈오'와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3-01-17 63957
7438 신은 쿨한 스타일이다 image 13 김동렬 2013-08-15 63645
7437 소통의 이유 image 4 김동렬 2012-01-19 63317
7436 관계를 창의하라 image 1 김동렬 2012-10-29 56495
7435 답 - 이태리가구와 북유럽가구 image 8 김동렬 2013-01-04 53128
7434 독자 제위께 - 사람이 다르다. image 17 김동렬 2012-03-28 52536
7433 정의와 평등 image 김동렬 2013-08-22 51094
7432 청포도가 길쭉한 이유 image 3 김동렬 2012-02-21 50443
7431 구조론교과서를 펴내며 image 3 김동렬 2017-01-08 50299
7430 아줌마패션의 문제 image 12 김동렬 2009-06-10 49803
7429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image 3 김동렬 2012-11-27 49769
7428 포지션의 겹침 image 김동렬 2011-07-08 49070
7427 비대칭의 제어 김동렬 2013-07-17 49056
7426 구조론의 이해 image 6 김동렬 2012-05-03 47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