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740 vote 0 2021.11.17 (11:43:04)

    손가락이 다섯인 이유는 균형과 그 변화 때문이다. 어떤 대상을 가리키려면 손가락 하나로 충분하다. 집게손가락의 역할이다. 물체를 잡으려면 둘이 필요하다. 엄지와 검지로 동전을 집을 수 있다. 잡은 채로 힘을 가하려면 손가락 셋이 필요하다. 엄지와 검지 중지 셋으로 드라이버를 돌릴 수 있다. 움직임에 대응하려면 손가락 넷이 필요하다. 엄지와 검지와 중지와 무명지까지 네 손가락을 사용하면 네 방향을 막아서 물고기도 잡을 수 있다. 미세한 조절을 하려면 새끼손가락까지 다섯이 필요하다.


    손가락 다섯이 각각 질, 입자, 힘, 운동, 량을 담당한다. 질은 결합하고, 입자는 독립하고, 힘은 교섭하고, 운동은 변화하고, 량은 침투한다. 질은 하나의 닫힌계를 형성하여 하나의 사건을 촉발하므로 손가락이 하나여야 하고, 입자는 독립하여 둘로 나눠지므로 손가락 두 개로 대응하고, 힘은 대칭과 축을 만들어야 하므로 셋이고, 운동은 축의 이동을 반영하여 넷이고, 량은 손가락 넷으로 천칭을 만든 상태에서 눈금의 위치를 조절하므로 다섯이 필요하다. 손가락 셋으로 축과 대칭을 갖추어 천칭저울을 만든 다음 한쪽에 추를 올리고 반대쪽에 물체를 올리므로 다섯이 된다.


    구조론은 A와 B가 서로 맞물려 돌아갈 때 양자를 통일하는 C의 변화다. A와 B가 천칭의 두 접시라면 A의 변화와 B의 변화는 접시에 올려지는 추와 물체다. C가 눈금이 된다. 우리가 손으로 물체를 만질 때 손가락을 천칭으로 만들어 저울이 물체를 계량하듯이 끊임없이 변화에 대응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손에 쥔 물체에 가해지는 힘이 변하면 손가락이 맞대응을 한다. 다섯 손가락 중에 하나만 부족해도 정밀한 동작이 힘들어진다. 로봇이 쉽게 달걀을 잡지 못하는 이유는 손이 저울이라는 사실을 모르고 엄지와 새끼손가락의 각도를 잘못 지정하기 때문이다.


    의자의 다리는 최소 셋이 되어야 한다. 거기에 지구의 중력과 물체의 질량이 더해져 다섯이다. 의자는 앉는 좌석과 다리 셋으로 넷이지만 지구가 밑에서 받치고 있으므로 다섯이다. 역시 천칭을 이루고 있다. 어떤 둘 사이에는 반드시 보이지 않는 셋이 있다. 남녀가 둘이 만나도 두 변에 자식과 부모와 동료가 있다. 그중에 하나라도 없으면 오래가지 못한다. 결손가정이라도 국가나 이웃이 그 빠진 역할을 대신해주기 때문에 사회가 돌아가는 것이다. 천칭의 구조를 갖추어야 의사결정이 가능해진다. 그냥 돌멩이라고 해도 무게중심이 있고 대칭이 있어야 구를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는 독립하지 못하고 다른 곳에 빌붙어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6831 구조론 동영상 1 김동렬 2010-03-22 196749
6830 LK99 과학 사기단 image 김동렬 2023-08-07 71275
6829 진보와 보수 2 김동렬 2013-07-18 58411
6828 진화에서 진보로 3 김동렬 2013-12-03 58324
6827 '돈오'와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3-01-17 56253
6826 소통의 이유 image 4 김동렬 2012-01-19 55614
6825 신은 쿨한 스타일이다 image 13 김동렬 2013-08-15 55170
6824 관계를 창의하라 image 1 김동렬 2012-10-29 48824
6823 답 - 이태리가구와 북유럽가구 image 8 김동렬 2013-01-04 45696
6822 독자 제위께 - 사람이 다르다. image 17 김동렬 2012-03-28 44864
6821 청포도가 길쭉한 이유 image 3 김동렬 2012-02-21 42321
6820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image 3 김동렬 2012-11-27 42228
6819 구조론교과서를 펴내며 image 3 김동렬 2017-01-08 42090
6818 아줌마패션의 문제 image 12 김동렬 2009-06-10 41906
6817 포지션의 겹침 image 김동렬 2011-07-08 41351
6816 정의와 평등 image 김동렬 2013-08-22 41012
6815 비대칭의 제어 김동렬 2013-07-17 39045
6814 구조론의 이해 image 6 김동렬 2012-05-03 38976
6813 비판적 긍정주의 image 6 김동렬 2013-05-16 38118
6812 세상은 철학과 비철학의 투쟁이다. 7 김동렬 2014-03-18 37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