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진중권 김동민 논쟁 아직도 안끝났나?

이 영양가 없는 논쟁은 벌써 끝난걸로 알았는데 '평검사'라는 양반의 쓰잘데기 없는 경과보고를 우연히 읽었기로, 그 논쟁은 전혀 가치가 없었다는 확인도장을 보태주기로 한다.

문제삼는 점은 과연 손발이 맞는가이다. 우리끼리 연대가 가능한가의 여부이다. 어떤 주장이 부분적인 타당성이 있다손 치더라도 우리편끼리 손발 안맞게 된다면, 결과적으로 자중지란을 초래하게 된다면, 내부분열을 일으킨다면, 설사 그 책임이 어떤 닭대가리에게 있다 하더라도 닭을 잡는다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대한 진중권의 방어논리는 논쟁은 논쟁이다, 토론은 토론이다, 팩트를 두고 논하자 이런 거다. 물론 좋은 취미생활은 된다. 잘 정리하면 '논리야 놀자' 진중권버전이 잘 팔려서 10만부를 넘길 수도 있겠다.

그렇지만 우리가 언제까지 이런 객적은 소리나 하고 앉았을 것인가이다.

오바가 심했기는 하지만 진중권의 애초의 문제제기는 충분히 이유가 있다. 그러나 그러한 비판은 민노당 대변인실이나 극히 일부에 필요한 주장일 뿐 진보진영 전체의 공론과는 동떨어진 것이다.

북의 NLL침범을 규탄하고 발포사실을 비난하는 것은 민노당대변인의 소관이지 진보진영전체가 그 문제에 대하여 공론을 내고 들고일어날 성격의 사건은 전혀 아니다.

반면 김동민의 여러 주장들은 진보진영 전체의 공론이 될만한 것이다. NLL이 명확하지 않다든가, 시화호 매립 때문에 꽃게가 감소했다든가, 우리 어민의 조업환경이 위험하다는 것은 진보진영이 지속적으로 공론을 조성하여 다루어나갈 문제이다.

즉 김동민은 진보진영 전체의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야 할 공론을 두고 논한 것이며 진중권은 민노당대변인실의 순발력부족에 관한 일과성멘트여야 하는 것이다.

김동민의 공론제기와 진중권의 민노당대변인실 비난은 차원이 다르고 격이 다른 것이다. 이 둘은 충돌될만한 사안이 아니다.

이 논쟁이 지겹게 이어진 것은 본질과 무관한, 자질구레한 말꼬투리 한두가지 잡아서 팩트가 어떠니, 싸가지가 없니 어쩌구 하는 시덥잖은 포장으로 독자들을 현혹시켰기 때문이다. 물론 논리학 공부에는 도움이 된다.

토론이 순전히 토론을 위한 토론이라면 취미생활로도 유익하니만큼 토론가치가 있다. 그러나 진보진영 전체의 공론조성을 위한 것이라면 빗나간 것이다.

결과적으로 강준만, 진중권 토론에 이어 김동민, 진중권토론도 유익하지 못했다. 첫 번째는 강준만의 잘못이다. 두 번째는 진중권의 오바다.
우리는 여전히 이 사회를 위하여 공론을 형성하고 주도할 능력이 없음을 노출시켜버렸다. 진보진영 전체의 신뢰는 추락하였다.

진보진영은 구심점을 잃어버렸다. 다들 작아졌다. 토론기술이나 자랑하는 난쟁이가 되어버렸다. 서푼짜리 말재주는 단칼에 제압하고 우뚝 서줄 큰 거인은 끝내 나타나지 않았다.

우리는 어디로 가야하나? 결국 유시민 밖에 없다.




덧글..
민노당대변인으로는 진중권이 적당하다고 본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17 Re..위로의 말 한마디..^^ Y 2002-10-14 14010
116 제안 하나 (한겨레신문에 전단지 끼워 돌립시다) 아다리 2002-10-13 14152
115 Re..오늘 토론회 어땠나요? 까웅아빠 2002-10-13 14457
114 개혁정당 모임을 다녀와서 아다리 2002-10-12 14015
113 노하우에 쓰신 글... 감직이 2002-10-11 13936
112 Re..이회창은 조기 낙마해야 김동렬 2002-10-12 14248
111 국익 해치는 자들에게 국가 맡길 수 있나? 김동렬 2002-10-11 12763
110 안웃기는 이야기 김동렬 2002-10-11 16061
109 강교주 오늘 무기 하나 하사하시다 아다리 2002-10-09 12896
108 대선을 딱 두달 앞둔 마음^^ Y 2002-10-09 12313
107 정말 알고싶습니다 지역감정 아다리 2002-10-09 12863
106 Re..써둔 글인디 재미로 함 보시구랴 무림거사 2002-10-10 14264
105 Re..지역감정은 실체가 있는 것입니다. 김동렬 2002-10-09 14786
104 전 지역감정의 생산과정에 더 주목했습니다 아다리 2002-10-10 13032
103 Re..그게 다 조직의 생리에요. 김동렬 2002-10-10 14912
102 유능한 대통령"으로 이미지 변신해야 김동렬 2002-10-09 13975
101 Re..카리스마가 느껴짐 Y 2002-10-09 13993
100 Re..핵심적인 내용이 편집되어 버렸음 김동렬 2002-10-09 16074
99 Re..옛날 의리의 김영배가 skynomad 2002-10-09 14666
98 어차피 총대매는 거 뿐 무림거사 2002-10-10 14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