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155 vote 0 2019.07.22 (16:51:23)


    모든 존재는 운동한다.


    운동하는 존재는 공간을 더 많이 차지한다.


    특수하게 얽혀 운동하면 공간을 절약한 만큼 효율성을 얻는다.


    사건은 닫힌계 안에서 1회의 에너지 작용에 따른 전개이며 그 효율성을 소비하여 상대적인 에너지 우위로 의사결정한다.


    모든 사건은 효율성을 상실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전체의 우위에서 대결하고 있는 부분의 우위로 옮겨가는 과정에서 전체의 우위가 사라진다.


    효율성을 잃는 대신 어떤 결과를 얻는 것이 일이다.


    전체적으로는 효율성을 소비하여 비효율로 가지만 국소적으로 상대적인 효율성에 따른 에너지의 우위가 일어나는 지점이 있다.


    국소에서의 상대적인 효율성은 질, 입자, 힘, 운동, 량으로 5회에 걸쳐 일어난다.


    더 효율적인 위치인 질에서 덜 효율적인 입자로, 입자에서 힘으로, 힘에서는 운동으로, 운동에서 량으로만 갈 수 있다.


    질에서 입자와 힘과 운동을 거쳐 양으로 가는 동안 상대적인 효율성이 발생하는 범위는 점차 국소화되어 공간적으로 좁혀진다.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5회에 걸쳐 사건은 닫힌계를 조직하며 외부에서 추가적인 에너지 유입이 없으므로 엔트로피는 5회에 걸쳐 항상 증가한다.


    엔트로피 증가는 사건 전체로도 일어나지만 하나의 사건 안에서 세부적으로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5회에 걸쳐 성립한다.


    질의 입자에 대한 상대적인 효율성을 소비하는 형태는 질에서 입자로의 전개밖에 없으므로 사건의 다음 단계를 예측할 수 있다.


    질의 상태에 있는 사건은 입자상태의 사건에 대해 보다 효율적이며 그 효율을 소비하면 입자상태로 바뀌어 더 이상 질의 효율을 쓸 수 없다.


    질의 효율을 소비하여 입자로 바뀌고 입자의 효율을 소비하여 힘으로 바뀌는 패턴을 5회 일으킨다.


    사건은 질에서 입자와 힘과 운동을 거쳐 량까지 가면서 효율성을 완전히 소비한다.


    량에서 효율성은 완전히 소비되어 상대적으로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한 부분이 없으므로 외력의 작용 없이 사건은 더 이상 전개될 수 없다.


    량보다 운동이, 운동보다 힘이, 힘보다 입자가, 입자보다 질이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


    물질은 질에서 입자와 힘과 운동을 거쳐 량으로 가면서 차지한 공간을 내놓는다.


    외부의 개입 없이 저절로 뭐가 되었다면 그 원인은 구조의 효율성이다. 존재는 그 효율성을 소비하는 형태로 일한다. 효율성은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일하면 효율성을 소비하여 더 적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한 존재가 그 공간을 잃으면서 일할 수는 있어도 그 역은 없다. 그 이유는 그 공간이 없기 때문이다. 더 적은 공간을 차지한 쪽은 공간을 많이 차지한 쪽에 작용할 공간이 없다. 작용하려면 움직여야 하고 움직이려면 빈 공간이 있어야 하는데 공간이 없어 작용하지 못한다. 이것이 엔트로피의 법칙이다. 구조론은 하나의 사건 안에서 질 입자 힘 운동 량에 걸쳐 5회의 효율차이에 따른 에너지 낙차와 엔트로피가 성립한다는 거다. 비유하면 다섯 식구가 각자 방을 하나씩 차지하고 사는 집과 방 하나를 다섯식구가 공동으로 쓰면서 남는 방 넷을 임대료를 받고 세를 놓는 집이 있다면 방 하나를 공동으로 쓰는 집이 더 이득을 본다는 말이다. 이때 한 방에 몰려 있던 식구들이 빈 방을 하나씩 채우면서 움직여 그 움직인 만큼 일한다. 일을 하면 다섯 개의 방을 모두 채우게 되어 더 이상 일할 수 없다. 엔트로피가 최대화 되는 것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7.23 (03:54:49)

"외부의 개입 없이 저절로 뭐가 되었다면 그 원인은 구조의 효율성이다. 존재는 그 효율성을 소비하는 형태로 일한다."

http://gujoron.com/xe/1108207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4578 필연의 통제가능성 1 김동렬 2019-10-05 3550
4577 공간에서의 이동 1 김동렬 2019-10-04 2824
4576 목적론과 결정론의 오류 1 김동렬 2019-10-02 3677
4575 통제가능성이 답이다 1 김동렬 2019-10-01 3173
4574 민중노선과 엘리트노선 1 김동렬 2019-09-27 3691
4573 프로와 아마추어 1 김동렬 2019-09-27 3909
4572 세상은 구조다. 3 김동렬 2019-09-25 2755
4571 세상은 변화다 1 김동렬 2019-09-24 2834
4570 근원을 사유하는 기쁨 2 김동렬 2019-09-20 3351
4569 우주의 근원을 이해하라 2 김동렬 2019-09-18 3279
4568 구조는 갇혀 있는 내부구조다. 3 김동렬 2019-09-17 2989
4567 운동은 운동하지 않는다 7 김동렬 2019-09-16 3629
4566 통제가능성의 이해 3 김동렬 2019-09-14 3088
4565 통제가능성의 원리 1 김동렬 2019-09-12 3343
4564 외계인의 침략 1 김동렬 2019-09-12 3024
4563 양자역학의 해석 2 김동렬 2019-09-11 3284
4562 우주의 탄생과 죽음 1 김동렬 2019-09-10 3298
4561 미인도의 가치 image 1 김동렬 2019-09-10 3101
4560 테트라포드 구조론 image 1 김동렬 2019-09-08 4730
4559 생명의 양자화 1 김동렬 2019-09-05 3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