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906 vote 0 2019.05.14 (15:43:51)

555555.jpg

      
   

    입자라는 개념은 황당하기 짝이 없는 것이다. 말이 안 된다. 언어적으로 불성립이다. 궁극적으로는 장이 있고 장은 방향을 가진다. 방향이 특정하게 꼬이면 입자가 된다. 세상은 대칭이다. 대칭을 만드는 형태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초끈의 진동은 웃긴 표현이고 방향전환으로 보는게 자연스럽다.


    전자의 위치가 없어야 하는 이유는 계속 방향을 바꾸기 때문이다. 장은 부분이 전체를 대표하므로 장에 속하는 어느 위치든 거리는 같다. 영화 스크린에서 주인공 춘향과 몽룡의 거리는 3미터지만 그림자에 불과하고 원본인 디지털 필름에는 거리가 0이다. 즉 장은 거리의 간격을 인정하지 않아야 한다.


    전자구름이 확률로 표현되는 이유는 방향을 계속 바꾸고 있으므로 방향이 바뀌면 없거나 있기 때문이다. 가운데서 포착될 확률이 높다. 일반인들은 경험적 직관을 따른다. 문제는 경험한 것이 별로 없다는데 있다. 스탠리 큐브릭의 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에 나오는 모노리스는 사실 설득력이 없다.


    부족민은 움직이지 않는 것에 반응하지 않는다. 아인슈타인은 수학적 직관을 따른다. 보어는 그런 직관을 배제한다. 아인슈타인은 머리 속에 모형을 만들어놓고 있기 때문에 양자역학을 반대하는 것이다. 그 모형은 틀린 것일 수 있다. 더 높은 의사결정단위가 있기 때문이다. 바른 모형을 찾을 수 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5.16 (03:11:36)

" 더 높은 의사결정단위가 있기 때문이다. 바른 모형을 찾을 수 있다."

-http://gujoron.com/xe/1089055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9.05.16 (06:28:08)

문제는 경험한 것이 별로 없다는데 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9.05.16 (06:30:03)

시간이 되신다면 모노리스에 대해 조금만 살을 붙여주셨으면 합니다. 영화를 아직 보지 않아서 유추해내기 어렵네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9.05.16 (10:18:51)

영화를 안 보면 별로 의미가 없지요.

스포일러이긴 한데 하여간 외계인이 인류의 진화를 촉발할 의도로

돌기둥을 하나 세워놨다는 거.


소설판에 의하면 각변의 비율이 1:4:9인데, 이건 1, 2, 3의 제곱수이다. 자연적인 확률로는 나오기 힘들며, 스스로 인공물임을 주장하는 사각형 덩어리. 다만 영화에서는 비주얼적인 문제로 비율을 다르게 만들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9.05.16 (11:07:48)

감사합니다.
작정하고 봐야겠네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update 2 김동렬 2024-05-27 2470
4481 세계관을 공유하자 4 김동렬 2019-06-29 4236
4480 연속과 불연속의 세계관 4 김동렬 2019-06-28 3990
4479 세상은 사건이다. 5 김동렬 2019-06-27 3718
4478 주체의 관점을 획득하라 1 김동렬 2019-06-26 3581
4477 기본 원칙만 파악하자 1 김동렬 2019-06-25 3289
4476 열역학 1, 2법칙 2 김동렬 2019-06-25 3443
4475 구조론적 확신 2 김동렬 2019-06-24 3236
4474 뇌는 단축키를 쓴다 2 김동렬 2019-06-23 3406
4473 구조의 눈 3 김동렬 2019-06-21 3421
4472 역사는 불연속이다 1 김동렬 2019-06-21 3408
4471 마이너스와 플러스 1 김동렬 2019-06-21 3840
4470 커플은 솔로를 이긴다 1 김동렬 2019-06-20 3042
4469 에미 뇌터의 정리 7 김동렬 2019-06-20 4066
4468 볼츠만과 칸토어의 죽음 1 김동렬 2019-06-19 3185
4467 전지전능은 없다 1 김동렬 2019-06-18 3106
4466 엔트로피는 확률이 아니다 1 김동렬 2019-06-18 3119
4465 자기소개의 문제 1 김동렬 2019-06-18 2882
4464 구조압과 구조손실 1 김동렬 2019-06-17 2922
4463 인간의 멍청함 1 김동렬 2019-06-17 3329
4462 방향성의 이해 2 김동렬 2019-06-16 3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