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18]챠우
read 3697 vote 0 2016.02.06 (18:09:47)

이스라엘 여군을 모티브로 만든 영화입니다. 이스라엘 여자들도 군대를 싫어한다는 걸 제목으로 쓴 거 같네요.

사실성 높은 블랙코미디로 여성성에 대한 전형적인 생각의 많은 부분이 구라임을 알 수 있게 합니다. 


아래 링크를 본 후에 관람하면 좋습니다.

1) http://ppss.kr/archives/3290 이스라엘 여군의 허상과 진실


첫째, 이스라엘이란 나라의 특수성 때문에 여성 징집을 했다.

둘째, 어쩔 수 없이 여성도 징집했지만, 문제도 많다.

셋째, 이스라엘 여자들도 군대 가기 싫어 한다.

영화속 인물 중 한 명이 텔아비브(대도시)로 발령받으려고 난리를 치는 것도 이유가 있었네요.


2) https://namu.wiki/w/%EC%84%B1%EC%B0%A8%EB%B3%84/%ED%86%B5%EA%B3%84 나무위키 성차별/통계


성평등의 개념은 기준에 따라, 각국의 문화적 특성에 따라 달라질수 있고, 각 지표가 사용하는 측정방식에도 다양한 문제점이나 한계가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통계를 맹신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한국의 경우 어떤 지표를 기준으로는 소위 서구 선진국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양성 평등한 국가인 반면, 또다른 지표를 기준으로 하면 다수의 이슬람권이나 아프리카 극빈국가들보다도 불평등한 국가이기도 해서 유독 지표에 따라 극단적으로 다른 결과를 나타내기도 한다. 또한 통계의 필연적인 약점인, 다른 수치는 낮아도 하나의 수치만 높으면 순위가 올라간다는 맹점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순위에 집착하지 말고 각 지표의 세부항목들을 두루두루 살펴서 참고자료 정도로만 활용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 전기택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어떤 지수가 옳고 그르다고 할 수는 없다”며 “지표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지표 안에서 한국은 어떤 모습인지 확실히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바 있다. - 나무위키 발췌(상단 링크)


이스라엘에는 여군이 있어 여성지위가 한국보다는 높을 것으로 생각했습니다만, 아랍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는지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낮은 것을 영화에서도 살짝 볼 수 있습니다.(커피나 타고 있죠) 어쨌든 국가의 성평등은 어느 한 가지로만 판단할 수는 없는 것으로 보이네요. 



* 이하는 좀 다른 내용입니다.


영화속에서 하급자가 상급자에게 말대꾸하는 장면이 많이 나오는데, 블랙코미디 장르임을 감안하더라도 대드는 수위가 꽤 높습니다. 한국사회에서는 거의 불가능한 수준이죠. 하물며 군대안에서 이정도라니. 저렇게 하면 명령을 따를까 싶기도 한데, 이들은 대신 징벌제를 이용합니다. 뭔가 통제할 수 있는 수단은 있는거죠. 한국은 이른바 도덕적 통제(예)를 강조하는데 이들은 법적 통제도 큰 부분을 차지함을 알 수 있습니다. 


한국은 안전을 위해 총기관리를 엄격하게 시키는데, 엄격하므로 오히려 사고가 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풀어주는 도(道)도 필요한 거죠. 개인의 판단력을 믿지 않으므로 집단으로 통제하려는게 한국이라면(특히 군대에서) 개인에게 좀 더 높은 수준의 의사결정권을 주는게 서구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점에 반하는게 한국인의 자영업 비율이 꽤 높다는 겁니다. 집단에 익숙하므로 자영업이 안될 것 같잖아요. 전 한국인이 자영업을 잘해서 많이 한다고 생각했는데 하고 싶어서 많이 하는 건 아닌거 같네요. 국가 경제 위기가 오면 자영업이 많아지는 것을 알 수 있거든요. 자영업은 개인이 망해가는 과정의 하나로 볼 수도 있는겁니다. 회사짤림>자영업 테크트리.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9/14/0200000000AKR20150914034300002.HTML

한국인 자영업 비율 전세계 비교

OECD 자영업자 비율 및 순위

(단위 : %)

2013년
순위
구분2010년2011년2012년2013년
 OECD 평균16.115.8--
1그리스35.136.136.636.9
2터키39.138.337.135.9
3멕시코34.733.733.733
4대한민국28.828.228.227.4
5이탈리아25.525.225.125
6폴란드2322.922.421.8
7포르투갈22.921.321.921.7
8체코17.818.118.517.9
9스페인16.816.517.417.9
10아일랜드17.116.616.717.1
11슬로베니아17.316.816.216.9
12네덜란드151515.316.1
13슬로바키아1615.915.515.6
14뉴질랜드16.116.516.415.2
15벨기에14.414.314.315.1
16영국13.91414.614.4
17핀란드13.513.413.613.4
18오스트리아13.813.813.313.3
19이스라엘12.812.612.712.6
20아이슬란드1312.912.712.5
21일본12.211.311.811.5
22헝가리12.412.211.811.3
23독일11.611.711.611.2
24스웨덴1110.410.510.6
25스위스10.610.510.410.4
26호주11.811.310.610.3
27에스토니아8.58.88.99.2
28덴마크9.19.19.19
29캐나다9.398.98.8
30노르웨이7.776.97
31미국76.86.86.6
 칠레26.526.6--
 프랑스9.49.7--
 룩셈부르크5.85.76.1-

※ 자료 : 기획재정부

한국을 포함한 자영업이 비율이 높은 축에 들어있는 나라 대부분이 최근 경제위기가 심각하게 온 나라들입니다. 국가가 잘나갈 때는 기업이 흥하고 망할 때는 자영업이 많아진다(흥하지는 않고)는 것을 짐작할 수 있네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3672 새로운시대는 오는가 1 River 2009-02-07 3516
3671 더 이상 근혜는 버틸 수 없군요. 3 까뮈 2015-04-16 3513
3670 NLL의 진실 image 1 김동렬 2013-06-25 3513
3669 안녕하세요? 1 스타 2008-07-19 3513
3668 입금완료 1 느루 2007-09-20 3513
3667 기 소르망의 한국문화에 대한 강연 3 아란도 2011-02-23 3511
3666 주문한 책 확인부탁드립니다. 1 mara 2009-08-22 3511
3665 감독 작가 32세 웰세 밥 김치 죽음. image 8 ░담 2011-02-08 3509
3664 구조론 출석부 image 17 김동렬 2009-01-12 3509
3663 영국 중학생 수학 경시대회 문제 오리 2016-02-16 3508
3662 천안함 프로젝트 다큐영화 까뮈 2013-10-06 3508
3661 난 철수가 너무 싫소..생긴 것도 하는 짓도..죠낸 병신.. 3 땡건 2013-06-21 3508
3660 다시 획득한 말할 자유 아란도 2010-06-07 3508
3659 2010년 신년사 [양모] 12 양을 쫓는 모험 2010-01-02 3508
3658 제의.. 1 지공이산 2009-07-30 3507
3657 입금했읍니다. 1 song 2007-09-18 3507
3656 댄 애리얼리의 주장 ('거짓말하는 착한 사람들'의 저자) 1 이른새벽 2015-06-09 3506
3655 Tea Haouse 만휴 -외벽 간판 달다. image 17 아란도 2014-07-22 3506
3654 조폭 양아치들의 태평성대 땡건 2013-01-06 3506
3653 심미안- <깨달음을 그리다> 책 잘 받았습니다. image 2 안단테 2009-08-15 3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