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1813 vote 0 2016.10.30 (04:56:23)


자연은 대칭으로 통제하고 비대칭으로 실행한다.

대칭은 존재의 작용 측, 비대칭은 수용측이다. 인간사회에서의 일을 통제한다는 것은

자연과 같은 대칭상태를 조직한다는 것이다. 대칭이야말로 존재의 엮임이자 사건의 조건이다.

우리는 비대칭의 세계, 일방작용의 세계, 권력의 세계에 환호한다. 그 권력의 세계에서 더 높은 포지션에 가기 위해

매진한다. 그러나 포지션을 가능하게 하는 만남의 세계, 엮임의 세계, 최초의 권력 혹은 권력의 생성에 무지한다.

그래서 일에 치이고, 권력에 치인다.

자연이 대칭으로 일하기 때문에, 인간이 일을 자유롭게 통제하기 위해선 최초의 대칭을 만드는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라면을 먹기위해서는 젓가락이 대칭이어야 한다. 짝짝이 젓가락으로는 면발을 통제할수 없다.

대칭 젓가락으로는 면발을 통제한다. 거기서 권력이 생성된다. 짝짝이 젓가락의 소유자들이 대칭 젓가락을 노린다.

물론 길이 대칭만이 있는 것은 아니다. 녹말 젓가락은 라면국물에 녹아버려서 곤란하다. 면발을 대량으로 들었을때

중간부분이 부러져도 곤란하다. 손과 만나는 접점에 가시가 있거나 울퉁불퉁해도 곤란하다. 무쇠젓가락이라 무거워서

못움직여도 곤란하다. 짝짝이는 면발 하나만 집을수 있어 곤란하다. 

왜? 통제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간사회의 많은 것들이 짝짝이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구조론자의 할일이 여기에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612 시장이 원하는 것. 1 systema 2017-02-24 1828
611 삶과 죽음 눈마 2016-10-05 1828
610 관계론 망상하기. 3 펄잼 2017-02-27 1827
609 수원대 이야기 2 수원나그네 2016-07-04 1827
608 안보와 남북화해는 별개가 아닌데. 노매드 2015-07-17 1827
607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5-06-26 1827
606 동렬님 질문 드립니다 1 우리보리깜디쪽 2019-09-26 1825
605 대기에서의 결정체 메커니즘 - 한반도의 사례 image 1 눈마 2019-03-13 1824
604 세상이 헐헐 할 때 들으세요. 까뮈 2017-03-20 1824
603 최근에 만든 '옹기' 영상입니다. 6 덴마크달마 2018-05-15 1823
602 학생의 문제행동을 대하는 교사의 관점 1 이상우 2017-03-08 1823
601 4위는 과연 LG냐 SK냐? 까뮈 2014-10-16 1822
600 알파고가 궁금하다5 수원나그네 2016-05-18 1821
599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5-09-25 1821
598 공평해 프로젝트에 초대합니다(11.9. 토요일 오전 11시 30분) image 수피아 2019-11-04 1820
597 Circle image 1 펄잼 2017-03-23 1820
596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4-09-26 1819
595 책소개 -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kilian 2019-06-21 1818
594 안녕하세요 우성 2018-08-25 1818
593 추석 번개 공지 3 챠우 2016-09-16 1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