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1658 vote 0 2018.01.08 (13:18:00)

저는 엔트로피 저 > 많이 엮인상태, 높은 질서

       엔트로피 고 > 엮임이 풀린상태, 낮은 질서

       엔트로피 저 > 고, 질서단위가 낮아져서 통제비용이 증가 이렇게 이해하고 있습니다.


       자연상태에서 온도는 고온에서 저온으로만 가기에 고온은 엔트로피가 낮고 저온은 엔트로피가 높아진상태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냉장고 안은 저온인데도 엔트로피 저, 냉장고 밖의 온도가 높아지는 부분은 엔트로피가 높아진다고

      기술됩니다, 이는 자연상태에서 열에너지의 이동만 논할때와 반대의 표현입니다.


      제가 이해한 바로는 전기에너지가 열에너지보다 질서의 층위가 높고, 냉장고 밖은 전기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된 상태이기때문에 엔트로피가 높아진것이고, 냉장고 안은 전기에너지가 아직 열에너지로 변환되지

      않았기 때문에 비록 온도가 낮더라도 엔트로피가 낮다 이렇게 이해하고 있는데 맞는 이해인지 알고싶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8.01.08 (14:14:47)

뭔가 근본적으로 잘못 알고 있는듯

엔트로피를 처음부터 다시 공부하시길.


일단 한국어가 안 되면 답이 없습니다.


"자연상태에서 온도는 고온에서 저온으로만 가기에 고온은 엔트로피가 낮고 저온은 엔트로피가 높아진 상태라고 알고 있습니다." 


헷갈리기 좋게 써놓은 굉장히 이상한 문장입니다.

고온은 엔트로피가 낮고 저온은 엔트로피가 높아진.. 높아진?


고온은 엔트로피가 낮고 저온은 높다는 전제부터 틀렸습니다.

불균일은 낮고 균일이 높습니다.


구조론으로는 중첩상태가 낮고 중첩이 풀린 상태가 높습니다.

하여간 헷갈리기 딱 좋은 표현이네요.


닫힌계 개념을 적용하지 않아 일어난 착오인듯.

계가 일정하다는 전제를 깔고 들어가는데 온도가 낮아도 부피가 크면 아니지요.


에너지 총량이  같고 부피가 같고 열의 이동이 없으며 기타등등

항상 전제를 깔고 들어가는데 이를 엄밀히 따지지 않은 혼선.

[레벨:11]비랑가

2018.01.09 (10:43:56)

불균일>>>무질서

균일   >>>질서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4732 토요 독서 모임 후기 image 챠우 2016-11-16 1659
» 엔트로피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2 systema 2018-01-08 1658
4730 최저임금의 진통!! 1 달타(ㅡ) 2018-08-23 1659
4729 국회에 핵발전소 감시기구 설치를 수원나그네 2016-07-17 1660
4728 토요 독서모임 장소 변경 사전 공지 챠우 2016-11-10 1661
4727 없다의 세계. 아제 2017-12-23 1661
4726 예술가의 삶이란 이런걸까요. 1 현강 2018-01-03 1661
4725 구조론 목요 열린방송 image ahmoo 2017-01-05 1662
4724 구조론과 벡터 image 2 이금재. 2020-02-28 1662
4723 남산공원의 전신 image 1 dksnow 2020-04-01 1662
4722 존 제이콥 에스더 (모피상인) 눈마 2019-04-30 1663
4721 (사당동) 목요 열린방송 image ahmoo 2017-10-12 1665
4720 가상화폐 - 구조코인은 어떨까? 아란도 2018-01-15 1665
4719 이번주 방송은 금요일 을지로에서 image ahmoo 2017-10-19 1669
4718 지는 역사는 가르키지 않는다. 1 스마일 2017-12-29 1669
4717 구조론 방송국 재생 횟수 통계(최근 7일) image 5 오리 2019-10-06 1669
4716 122회 4.16 Boston Marathon 대회 참가 4 wisemo 2018-04-17 1671
4715 이런 영화 한편 만들고 싶다. 아제 2018-06-13 1671
4714 이명박을 생각한다 15 - 4대강사업과 토건마피아 1 수원나그네 2017-03-02 1673
4713 한국의 수준 챠우 2019-10-30 16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