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번역
프로필 이미지
[레벨:10]dksnow
read 275 vote 0 2022.03.21 (23:03:28)

ch 3 existence and recognition

Ontology is how nature's existence reveals itself in front of humans. Epistemology is how humans reach the existence of nature. It's the same story. It is epistemology from the human perspective and ontology from the natural perspective. Ontology is the answer we need to know, and epistemology is the procedure for reaching ontology. Ontology holds the steering wheel and epistemology finds the driver's seat. Philosophy begins with epistemology. I have no choice but to. Find the driver's seat and hold the steering wheel. Since the existence of nature is outside of humans, we must first find the connection between humans and nature. That's epistemology. Like a mirror image, the image of nature is reflected in the human brain. But it's reflected backwards. Therefore, interpretation is necessary. If you find out the process of recognition, you can reverse it and interpret nature's original appearance correctly.


구조는 대칭구조다. 자연은 대칭을 펼쳐서 존재를 드러내고, 인간은 대칭을 추적하여 인식에 도달한다. 대칭은 접혀 있다. 접혀 있는 것을 펼치면 본래의 모습이 드러난다. 대칭은 둘의 대칭이다. 둘을 하나로 엮는 것이 구조다. 자연의 존재가 혼자서는 아무것도 못하지만 둘의 상호작용으로는 천변만화가 가능하다.

The Gujo is symmetrical. Nature spreads symmetry to reveal its existence, and humans reach recognition by tracking symmetry. Symmetry is folded. If you unfold the folded thing, you will see its original appearance. Symmetry is the symmetry of both. It is the Gujo that combines the two into one. The existence of nature alone can't do anything, bu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can change the world.


원자론적 사고를 버려야 한다. 어떤 하나는 다른 것에 빌붙어 있으며 독립적으로는 존재할 수 없다. 외력의 작용을 이길 수 없기 때문이다. 모든 존재는 어떤 둘 사이의 간격으로 존재한다. 간격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세상은 다양성을 만들어낸다. 하나의 가시광선 파장이 색상코드의 백만가지 칼라를 만들어낸다. 

We must abandon atomic thinking. One is attached to another and cannot exist independently. This is because it cannot beat the action of external forces. All beings exist at intervals between the two. The world creates diversity by adjusting the distance. A single visible wavelength produces a million colors of color code.


자연의 존재는 외력의 작용에 맞서 자신을 지킨다. 혹은 반응한다. 그것은 힘의 방향을 바꾸는 것이다. 내부에 대칭을 조직하고 축을 움직여 힘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그것이 구조다. 외력의 방향을 바꾸지 못하면 존재가 부정된다. 외력이 작용하면 주어지는 경우의 수는 셋이다. 통과하거나 깨지거나 반작용하거나다. 외력이 통과하면 무다. 깨지면 더 작은 단위로 내려가서 다시 추적해야 한다. 계속 깨지면 곤란하므로 더 이상은 깨지지 말아달라는게 원자론이다. 이는 인간의 희망사항일 뿐 자연의 사실과 상관없다. 외력의 작용을 내부에서 처리하는 것이 존재다. 내부구조가 있어야 외력을 처리할 수 있다.

Nature's existence protects itself against the action of external forces. or react. It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force. You can change the direction of the force by organizing symmetry inside and moving the axis. That's the structure. If you can't change the direction of the external force, your existence is denied. When an external force acts, the number of cases given is three. to go through, break, or react. It's nothing if an external force passes through. If it breaks, you have to go down to a smaller unit and track it again. Atomic theory is that if it keeps breaking, it will be difficult, so please don't break it anymore. This is only human hope and has nothing to do with the facts of nature. It exists to treat the action of external forces internally. Only when there is an internal structure can external force be processed.


외력의 처리과정에 수학적 모순이 있다. 구조모순이다. 에너지의 방향전환 과정에 반작용이 일어나는 최초지점이 특정되어야 한다. 그것이 코어다. 코어는 한 부분이 전체를 대표한다. 그것이 의사결정이다. 코어에서 시작되는 변화에 다른 부분이 순순히 따라갈 리가 없다. 주변부가 코어의 움직임에 저항하면? 깨진다. 인간은 사물의 내부에 단단한 코어를 심어서 문제를 해결한다. 과일은 핵이 있고 인체에는 뼈가 있다. 건물은 철근이나 기둥으로 구조문제를 해결한다.

There is a mathematical contradiction in the processing of external forces. It's a contradiction in structure. The initial point at which the reaction occurs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direction of energy should be specified. That's the core. The core represents one part as a whole. That's decision-making. There is no way that other parts will follow the changes that start at the core. What if the periphery resists the movement of the core? It breaks. Humans solve problems by planting hard cores inside things. Fruits have nuclei and bones in their bodies. Buildings solve Gujo problems with steel bars or columns.


외력이 작용할 때 내부는 균일해야 한다. 불균일하면 깨진다. 그런데 균일하면 코어가 만들어지지 않는다. 균일한 성분의 진흙을 뭉쳐서 공을 만들어보자. 코어가 없으므로 터진다. 눈사람을 만들어보면 알 수 있다. 속에 단단한 심을 만들어 넣지 않으면 짜부러진다. 모래와 진흙을 섞으면 층이 생겨서 갈라진다. 모래가 안쪽으로 모이고 진흙이 바깥쪽으로 밀려나와서 갈라진다. 이래도 안 되고 저래도 안 되는게 구조모순이다.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inside must be uniform. If it is uneven, it will break. However, if it is uniform, the core will not be made. Let's make a ball by clumping up even mud. It bursts because there is no coreless. You can tell by making a snowman. If you don't put a hard core in it, it'll break. Mixing sand and mud creates layers and splits. Sand gathers inward and mud is pushed outward and cracks. It is a contradiction in the Gujo that this and that cannot be done.


소조상을 만들 때는 코어로 나무를 쓰고 쌔끼줄로 감은 다음 진흙을 붙인다. 임시봉합에 불과하다. 코어의 문제는 근원적인 딜레마이며 우주 안에서 해결되지 않는다. 바퀴는 볼 베어링과 윤활유를 사용하여 코어 문제를 해결한다. 생명체는 연골을 쓴다. 어느 쪽이든 불완전하다. 자연의 모든 존재는 구조문제를 안고 있다. 고래가 육상으로 올라오면 내장이 체중에 눌려서 죽는다. 코끼리가 몸집을 더 키우면 무릎이 고장난다. 작은 구덩이에 빠져도 나올 수 없다. 말이 더 빠르게 달리면 발목이 부러진다.

When making a small statue, write wood with a core, wrap it around with a thread, and attach mud. It's just a temporary suture. The core problem is a fundamental dilemma and cannot be solved in space. Wheels solve core problems using ball bearings and lubricants. Life uses cartilage. Either way, it's incomplete. All beings in nature have Gujo problems. When whales come up to land, their internal organs are pressed against their weight and die. If elephants get bigger, their knees will break. Even if you fall into a small pit, you can't come out. If a horse runs faster, it breaks its ankle.


생물의 진화라는 것은 구조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여러가지 아이디어가 도입된 것이다. 완전한 해결은 없고 패치를 남발하고 있다. 자연은 내부를 둘로 나누어 50 대 50의 균형을 도출한다. 외력을 극복하는 반작용이 가능하다. 자연물과 생물이 대칭성을 띠는 이유다. 대칭이 아니면 외력을 견디지 못하고 깨진다. 조약돌의 모퉁이가 떨어져 나가는 것과 같다. 설악산 바위에서 떨어져나온 돌이 동해바다까지 가다보면 둥글게 대칭성을 띠게 된다. 몽돌해변의 몽돌이 둥근 이유다.

The evolution of living things is the introduction of various ideas in the process of solving Gujo problems. There is no complete solution, and patches are being overused. Nature divides the interior into two to derive a 50-50 balance. It is possible to counteract external forces. This is why natural and living things are symmetrical. If it is not symmetrical, it cannot withstand external forces and breaks. It's like falling off the corner of a pebble. The stone that fell from the rock of Seoraksan Mountain becomes round and symmetrical as it goes to the East Sea. This is why mongdols in Mongdol Beach are round.


눈의 결정은 왜 육각형일까? 그렇게 되지 않으면 깨진다. 인체의 좌우가 대칭이 아니면? 척추가 휘어진다. 외력을 처리하려면 내부에 대칭을 만들어야 한다. 하나의 사건에서는 다섯 번에 걸쳐 내부적인 균형이 만들어진다. 자연의 방법은 완벽한 해결책이 아니다. 언제나 코어가 약하고 코어에서 깨진다. 권투선수가 매를 맞으면 겉으로 멀쩡해도 골병이 든다. 피부는 글러브가 보호해서 버티는데 코어가 깨진다. 코어를 강화해야 한다. 

Why are snow crystals hexagonal? If you don't, you'll break it. What i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uman body are not symmetrical? The spine bends. To deal with external forces, you have to create symmetry inside. In one event, an internal balance is created five times. Nature's methods are not the perfect solution. The core is always weak and breaks at the core. If a boxer is beaten, he will suffer from a bone disease, even if he is not as bad as he looks. The skin is protected by the glove, but the core is broken. Core needs to be strengthened.


코어가 대칭을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외력을 처리하지만 관성력에 의해 또다른 모순이 일어난다. 하나의 밸런스에서 또다른 밸런스로 갈아타게 된다. 순간적으로 내부의 균형을 도출하여 외력을 처리하지만 그 과정에 코어가 움직이므로 다시 불균형이다. 누가 떠밀면 두 다리를 벌리고 대칭을 만들어 버틴다. 밀던 사람이 반작용의 힘에 의해 자빠지면 버티던 사람도 같이 쓰러진다. 씨름은 패자가 먼저 쓰러지지만 승자도 쓰러진다. 같이 쓰러지지 않으려면 또다른 대칭이 필요하다. 들배지기로 들어올린다음 돌림배지기로 돌려야 한다. 공간적 힘의 대칭에서 시간적 운동의 대칭으로 갈아타야 한다.

The core temporarily processes external force using symmetry, but another contradiction occurs due to inertial force. It shifts from one balance to another. It instantly derives internal balance and processes external force, but it is unbalanced again because the core moves in the process. When someone pushes you, spread your legs apart and make it symmetrical. When the pushing person falls down by the force of reaction, the holding person also falls down. In wrestling, the loser falls first, but the winner also falls. Another symmetry is needed to avoid collapsing together. be lifted by a wild boarWell, you have to turn it around. The symmetry of spatial forces must be shifted from the symmetry of temporal motion.


코어가 대칭을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외력을 처리하지만 관성력에 의해 또다른 모순이 일어난다. 하나의 밸런스에서 또다른 밸런스로 갈아타게 된다. 순간적으로 내부의 균형을 도출하여 외력을 처리하지만 그 과정에 코어가 움직이므로 다시 불균형이다. 누가 떠밀면 두 다리를 벌리고 대칭을 만들어 버틴다. 밀던 사람이 반작용의 힘에 의해 자빠지면 버티던 사람도 같이 쓰러진다. 씨름은 패자가 먼저 쓰러지지만 승자도 쓰러진다. 같이 쓰러지지 않으려면 또다른 대칭이 필요하다. 들배지기로 들어올린다음 돌림배지기로 돌려야 한다. 공간적 힘의 대칭에서 시간적 운동의 대칭으로 갈아타야 한다.

The core temporarily processes external force using symmetry, but another contradiction occurs due to inertial force. It shifts from one balance to another. It instantly derives internal balance and processes external force, but it is unbalanced again because the core moves in the process. When someone pushes you, spread your legs apart and make it symmetrical. When the pushing person falls down by the force of reaction, the holding person also falls down. In wrestling, the loser falls first, but the winner also falls. Another symmetry is needed to avoid collapsing together. be lifted by a wild boarWell, you have to turn it around. The symmetry of spatial forces must be shifted from the symmetry of temporal motion.


질 입자 힘 운동 량은 모순의 해결>새로운 모순 발생>모순의 해결>새로운 모순 발생이 반복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는 에너지를 외부로 빼버려야 한다. 투수는 신체의 균형으로 상체를 움직이고, 다시 상체의 균형으로 어깨를 움직이고, 다시 어깨의 균형으로 팔을 움직인다. 이때 힘이 작용하는 범위가 점점 좁혀진다. 여기에 방향성이 있다. 공간을 좁히는 형태로만 대칭이 조직되며 그 반대는 불가능하다는게 엔트로피다. 작은 부분의 힘으로 큰 전체를 가눌 수 없기 때문이다. 여기서 게임이다. 이기느냐 지느냐로 힘의 진행방향을 결정한다. 힘을 주는 쪽이 승자고 힘을 받는 쪽이 패자다. 코어를 움직여서 힘을 주는 쪽과 받는 쪽을 결정하는 것이 의사결정이다.

Gil-impja-him-undong-ryang is the resolution of contradictions > occurrence of new contradictions > resolution of contradictions > occurrence of new contradictions repeated. Eventually, energy must be drained to the outside world. The pitcher moves the upper body with the balance of the body, moves the shoulders with the balance of the upper body again, and moves the arms with the balance of the shoulders again. At this time, the range in which the force acts is gradually narrowed. There is a direction here. Entropy is that symmetry is organized only in the form of narrowing the space, and vice versa. This is because a large whole cannot be compressed by the force of a small part. Here's the game. Winning or losing determines the direction of the force. The one who gives strength is the winner, and the one who receives strength is the loser. It is decision-making to move the core to decide which side to give and which side to receive.


질, 입자, 힘, 운동, 량으로 에너지 모순은 처리된다. 질은 내부를 대칭시켜 계를 연결하고, 입자는 코어를 도출하고, 힘은 의사결정하여 코어의 공간적 이동을 결정하고, 운동은 시간적 진행을 전달하고, 량은 모순을 외부로 배출한다. 주로 열과 빛으로 변하여 계를 빠져나간다. 변화는 이기는 것에서 지는 것으로의 한 방향으로 진행된다.

Energy contradictions are treated with Jil-ipja-him-undong-and-ryang. Quality connects systems by symmetrically connecting the inside, particles derive cores, forces make decisions to determine the spatial movement of the cores, exercise transmits time progress, and quantities discharge contradictions to the outside. It mainly turns into heat and light and exits the system. Change proceeds in one direction from winning to losing.


팔을 움직이면 손이 따라오지만 손을 움직일 때는 팔이 따라오지 않는다. 소로 대를 칠 수 없기 때문이다. 그것이 게임이다. 갈 수는 있는데 올 수는 없다. 그렇게 회로가 연결되어 의사결정이 일어난다. 큰 것이 먼저 움직이고 작은 것이 나중 따른다. 신체>상체>어깨>팔>손으로 변화의 범위가 좁혀진다. 그 반대가 되면 깨진다. 팔이 부러진다. 전체에서 부분으로, 연결에서 단절로 변화는 일어난다. 원인에서 결과로, 상부구조에서 하부구조로 진행한다.

When you move your arms, your hands follow you, but when you move your hands, your arms do not follow you. for I can't take the bull by the horns. That's the game. I can go, but I can't come. In this way, the circuitry is connected and decision-making takes place. The big one moves first, and the small one follows later. The range of change is narrowed by the body > upper body > shoulder > arm > hand. The other way around, it breaks. I'm breaking my arm is broken. Changes occur from whole to part, from connection to disconnection. From cause to result, it proceeds from the upper structure to the lower structure.


엔트로피의 비가역성을 통해 변화의 진행방향을 알 수 있다. 범위가 좁아지는 수렴방향이다. 세계대전은 국지전이 전면전으로 비화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유럽 전체에 강한 긴장이 걸려 있었다. 수면하에 잠복된 유럽 전체의 전쟁 에너지가 국지전 형태로 드러난 것이다.

The direction of change can be known through the irreversibility of entropy. This is the direction of convergence in which the range narrows. World War II seems to have turned into an all-out war, but in fact, there was strong tension throughout Europe. The war energy of Europe as a whole lurking underwater was revealed in the form of a local war.


사건은 부분에서 전체로 파급되지만, 의사결정은 전체에서 부분으로 진행된다. 애들 싸움이 어른 싸움으로 커지지만, 사실은 어른들의 갈등이 애들싸움으로 촉발된다. 헷갈리기 딱 좋다. 이 문제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외부에서 보면 부분에서 전체로 가고, 내부를 들여다 보면 전체에서 부분으로 간다. 어디까지가 외부이고 내부인가? 닫힌계를 정하지 않으므로 헷갈린다. 헷갈리므로 규칙을 정해야 한다. 여기서 존재론과 인식론이 결정된다.

Events spread from part to part, but decision-making proceeds from part to part. Children's fights grow into adult fights, but in fact, adult conflicts are triggered by child fights. It's perfect for confusion. How do you understand this problem? From the outside, it goes from part to part, and from the inside, it goes from part to part. How far is it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I'm confused because I don't have a closed limit. I'm confused, so I have to set the rules. Here, ontology and epistemology are determined.


존재론은 사건의 단위를 키워서 보고, 인식론은 사건의 단위를 낮추어서 본다. 큰 틀에서 보면 사건은 전체에서 부분으로 가고 작은 요소를 보면 사건은 부분에서 전체로 간다. 구조론의 결론은 존재론이다. 큰 틀에서 봐야 사건을 바르게 통제할 수 있다. 문제는 의사전달이다. 사람끼리의 대화에는 인식론을 쓸 수 밖에 없다. 인간은 외부에서 객체를 관찰하므로 처음부터 존재론을 볼 수 없다. 전체를 볼 수 없다. 존재론과 인식론을 별도로 판단할 수 밖에 없다. 해법은 인식론으로 사건을 분석한 후에 존재론으로 갈아타는 것이다. 귀납으로 추측한 후에 연역으로 바꾸어 재현하는 것이다.

Ontology is viewed by increasing the unit of events, and epistemology is viewed by lowering the unit of events. In the big picture, the event goes from part to part, and in the small picture, the event goes from part to part. The conclusion of structural theory is ontology. Only in the big picture can the case be controlled properly. The problem is communication. Epistemology is inevitable in human conversations. Humans observe objects from the outside, so ontology cannot be seen from the beginning. I can't see the whole thing. Ontology and epistemology have no choice but to judge separately. The solution is to analyze events with epistemology and then switch to ontology. It is assumed to be inductive, then converted into deductive and reproduced.


귀납적 인식 - 부분의 사실을 연결하여 전모를 돌아본다.

    연역적 실천 - 전체의 전략을 정해놓고 부분의 전술로 대응한다.

Inductive Perception - Reflect on the whole by connecting the facts of the part.
Deductive Practice - Determine overall strategy and respond with partial tactics.


문제는 귀납적 인식이 속임수라는 점이다. 편법이다. 귀납은 넘겨짚기다. 사실을 알아내는 것이 아니라 알고 있는 사실을 덮어씌운다. 같은 사건이 반복되면 그래도 된다. 처음 일어나는 사건은 부분적 사실만으로 전모를 알 수 없다. 그러므로 귀납추론을 하다가 연역추론으로 바꿔야 한다. 연역은 가설을 쓰고 실험으로 검증한다. 반복되는 사건은 귀납으로 넘겨짚어도 되지만 새로운 사건은 반드시 연역의 검증을 거쳐야 한다.

The problem is that inductive perception is a trick. It's an expedient. Let's see if it's a return. It does not find out the facts, but overwrites the facts you know. If the same incident repeats, you may do so. The full extent of the first incident cannot be known only by partial fa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ange it to deductive reasoning after inductive reasoning. Deductions are verified by using hypotheses and experiments. Repeated cases can be pointed out as induction, but new cases must be verified by deduction.


자동차를 배운다면 부분을 먼저 배우고 나중에 운전을 배운다. 그런데 처음부터 운전을 시도해야 부분을 잘 알 수 있다. 자전거를 타더라도 첫날은 바퀴를 배우고 다음날은 핸들을 배우는게 아니라 처음부터 올라 타고 페달을 밟아야 한다. 그러므로 사고는 필연이다. 시행착오와 오류시정은 필연이다. 어차피 시행착오를 거쳐야 한다면? 처음부터 전체를 하되 작게 하는 것이다. 첫날부터 핸들을 잡되 중고차로 한다. 어차피 사고를 한 번은 내야 한다면 박아도 고물차로 박는게 낫다. 작은 전체에 익숙하면 보다 큰 전체로 갈아타기다. 학습은 가벼운 전체에서 내용을 채운 무거운 전체로 갈아타는 것이어야 하며 무엇보다 전체에 대한 감각을 길러야 한다. 역사공부를 해도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로 이어지는 윤곽을 먼저 배워야 한다. 보통은 인물이름부터 외운다. 세종대왕, 을지문덕, 강감찬, 이순신, 유관순, 신사임당, 안중근 이름을 먼저 배운다. 그러므로 초중고 역사교육은 배웠던 것을 또 배우는 반복이 된다. 대신 고등교육으로 갈수록 내용을 늘린다. 처음 인식론으로 불완전하게 배우고 다음 존재론으로 지식을 완성하는 지그재그 학습을 해야 한다.

If you learn how to drive, you learn the part first and then you learn how to drive. However, you have to try driving from the beginning to understand the part well. Even if you ride a bicycle, you have to learn the wheel on the first day and pedal on the next day, not on the steering wheel. Therefore, thinking is inevitable. Trial and error correction is inevitable. What if you have to go through trial and error anyway? From the beginning, it is to do the whole thing, but make it small. From the first day, the steering wheel is held, but it is a used car. If you have to make an accident at least once anyway, it's better to drive a junk car. If you're used to a small whole, you'll switch to a larger one. Learning should be shifting from light to heavy content, and above all, develop a sense of the whole. Even if you study history, you must first learn the outline that leads to the Three Kingdoms, Goryeo, and Joseon periods. Usually, people memorize the names of the first time. First learn the names of King Sejong, Eulji Mundeok, Kang Gam-chan, Yi Sun-shin, Yu Gwan-soon, Shin Saimdang, and Ahn Jung-geun. Therefor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education becomes a repeat of learning what has been learned. Instead, higher education increases the content. You should learn incompletely with the first epistemology and zigzag learning to complete knowledge with the next ontology.


 뼈대를 세우고 살을 채우는게 원칙인데 살을 채우다가 뼈대를 세운다. 처음부터 뼈대를 세우라고 하면 어차피 못 세우므로 어쩔 수 없다. 학습은 존재론과 인식론을 오가며 비효율적으로 진행된다. 이 문제는 영원히 해결되지 않는다. 인간은 별 수 없는 시행착오의 동물이다.

In principle, the skeleton is built and the flesh is filled, but the skeleton is built while filling the flesh. If you ask me to build a framework from the beginning, I can't do anything about it anyway. Learning proceeds inefficiently between ontology and epistemology. This problem will never be solved. Man is an animal of trial and error.


우주의 근본모순은 비용문제다. 변화에 비용이 청구된다. 자연은 어디로 가는가? 비용을 조달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간다. 전체에서 부분으로 가야 비용을 조달할 수 있다. 부자가 먼저 빈자에게 돈을 빌려주면 빈자가 나중에 이자를 붙여서 갚는 것이 상식이다. 빈자가 부자에게 먼저 돈을 빌려줄 수는 없다. 빌려줄 돈이 있으면 빈자가 아니다. 우주는 이 하나의 비용문제 곧 엔트로피의 법칙으로 모두 설명된다. 부자가 빈자에게, 부모가 자녀에게, 국가가 국민에게, 전체가 부분에게, 연결이 단절에게 먼저 액션을 취한다. 전체가 부분에 앞선다. 언제나 부모가 자식을 낳지 자식이 부모를 고르지 않는다.

The fundamental contradiction of the universe is a matter of cost. Changes are charged. Where does nature go? go in the direction of raising costs You have to go from whole to part to cover the cost. It is common sense that the rich lend money to the poor first, and the poor pay back later with interest. The poor cannot lend money to the rich first. If you have money to lend, you are not poor. The universe is all explained by this one cost problem, the law of entropy. The rich take action first to the poor, the parents to the children, the state to the people, the whole to the part, and the disconnection. The whole thing precedes the other part. Parents always have children, but children don't choose their parents.


사건은 전체에서 부분으로 간다. 전체는 2고 부분은 1이다. 1이 모여서 2가 되어 세상을 이룬다는 원자론은 틀렸다. 어떤 둘의 접점이 1이다. 접점은 깨져 있다. 원자는 깨지지 않는 것인데 구조는 깨져 있다. 구조는 관절이다. 우주는 단단한 알갱이의 집합이 아니라 깨져 있는 관절의 집합이다. 강체를 숭배하는 원자론적 사고를 버리고 유체를 바라보는 구조론적 사고로 갈아타지 않으면 안 된다. 

Events go from one part to another. The whole is two and the part is one. The atomic theory that one gets together and becomes two and makes the world is wrong.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two is 1. The contact point is broken. The atoms are unbreakable, but the structure is broken. The structure is the joint. The universe is not a set of hard grains, but a set of broken joints. We must abandon the atomic thinking of worshiping rigid bodies and switch to the Gujoron thinking of looking at fluids.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3 생각의 기술 8장: 일원론의 의미 천분의일 2022-03-26 224
92 생각의 기술 7장: 방향성의 의미 천분의일 2022-03-24 296
91 생각의 기술 6장: 기세의 의미 천분의일 2022-03-22 329
» 사간의 해석 3장 존재와 인식 dksnow 2022-03-21 275
89 생각의 기술 5장: 숨은 플러스 알파 천분의일 2022-03-21 280
88 생각의 기술 4장: 게임의 법칙 천분의일 2022-03-17 339
87 사건의 해석 2장 연역과 귀납 dksnow 2022-03-16 335
86 생각의 기술 3장: 지렛대의 의미 천분의일 2022-03-15 347
85 생각의 기술 2장: 의리와 매력 천분의일 2022-03-13 480
84 사건의 해석 1장 구조론 원자론 dksnow 2022-03-12 657
83 생각의 기술 1장: 모형적 사유 천분의일 2022-03-11 407
82 언어의 의미 11장: 의미의 연결 천분의일 2022-03-11 320
81 사유의 표준촛불 13장 코페르니쿠스 소환 dksnow 2022-03-09 631
80 사유의 표준촛불 11장 게임의 시작 dksnow 2022-03-09 292
79 언어의 의미 10장: 언어의 구조 천분의일 2022-03-08 379
78 언어의 의미: 9장 타인에게 말걸기 천분의일 2022-03-07 438
77 언어의 의미 8장: 언어가 잘못했다 천분의일 2022-03-05 356
76 사유의 표준촛불 10장 엔트로피 dksnow 2022-03-02 299
75 언어의 의미 7장: 메신저 공격의 오류 천분의일 2022-03-01 364
74 언어의 의미 6장: 위하여의 오류 천분의일 2022-02-28 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