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257 vote 0 2018.07.25 (12:06:04)

c9e5215408f569d8544004fed28ddd8e104425.jpg


학계의 정설은 돌연변이와 자연선택으로 되어 있다.

이 설의 맹점은 마이너스만 작동한담는 점이다. 진화는 플러스다.


플러스는 오로지 돌연변이에 의해서만 설명될 수 있으나 

과학자가 돌연변이를 인공적으로 일으켜서 진화를 얻어낸 일은 없다.


돌연변이는 대부분 장애 혹은 기형이며 생존을 어렵게 한다.

위 물고기 실험으로는 돌연변이가 아니라 용불용설과 맞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그렇다면? 구조론은 상호작용설이다. 유전자에는 원래부터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장치가 있고

환경의 변화가 유전자의 방아쇠를 당기면 결정적인 플러스 진화가 일어난다는 것이다.


용불용설이 틀린 이유는 환경변화>유전자 변화를 설명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돌연변이설이 틀린 이유는 환경변화 없이 일방향적이기 때문이다.


환경변화가 유전자 변화를 촉발하고 유전자 변화에 의한 특정 종의 과도한 생육이 

다시 환경변화를 촉발하는 선순환이 진화를 이룬다.


예컨대 소행성이 떨어져 생물 종이 몰살되었다면 살아남은 소수에게 환경은 많이 변해 있다.

먹이는 지천에 깔려 있고 경쟁자는 없으며 이때 과도한 생육과 번식이 일어난다.


정상상태에서 자연도태되어야 할 많은 유전자들이 살아남아 결정적인 진화를 달성한다.

이들의 급진적인 진화는 과도한 생육으로 다시 환경을 초토화 시키고 그 패턴은 반복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503
1530 김동렬 저서 생각연구 아마존 진출! image 13 바라 2014-02-07 4589
1529 과학의 정체(?) 35 wson 2011-05-25 4589
1528 이 사람의 잘못은 무엇일까요? 12 김동렬 2014-05-11 4585
1527 <연구공간 수유+너머>라는 공간에 대해서는 어떤 생각을 가지고 계신가요. 1 빨간풍차 2008-12-30 4585
1526 길이 보이지 않을 때는 3 김동렬 2011-02-11 4581
1525 "탄력 받다" 이거 어디서 나온 말임? 7 노매드 2015-07-30 4570
1524 빛은 입자인가 파동인가? 1 김동렬 2015-09-26 4567
1523 '신과 나' 정말 큰 깨달음인 것 같습니다 1 자유인 2008-10-06 4561
1522 구조론에 기반한 메모1 5 오세 2010-01-07 4557
1521 뿌듯한 느낌 6 ahmoo 2009-06-14 4557
1520 영화 루시에 대해 6 김동렬 2014-12-22 4556
1519 '어떻게'를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요.(구조론291~300p 관련) 7 통나무 2009-07-13 4556
1518 질문 - 국어사전의 대안 22 김동렬 2013-02-14 4555
1517 구조론 메모2 -상담계, 2 오세 2010-01-07 4552
1516 새해찾기 5 ░담 2010-01-04 4552
1515 나는 가수다, 당신이 분노해야 할 이유 image 2 조영민 2011-03-21 4549
1514 원명 교체기와 미중교체기 1 눈내리는 마을 2011-06-13 4543
1513 뭘까요? image 9 김동렬 2013-02-25 4542
1512 대진화, 포화진화, 환경 변화 3 wson 2011-05-08 4542
1511 들뢰즈의 아장스망과 구조론 4 르페 2014-08-21 45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