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7705 vote 0 2018.07.12 (13:55:07)


   구조론마당 구조론의 예 게시판에 추가된 내용입니다.


    빛은 있고 어둠은 없다.


    빛은 광자가 있고 어둠은 실체가 없다. 빛의 광자에 대응되는 어둠의 암자는 없다. 어둠은 빛의 부재이니 빛의 상태를 설명하는 말이며 빛에 종속되는 말이다. 빛의 반대편에 빛과 대응되는 어떤 독립적 실체는 없다. 물리적 존재가 없다. 밝음과 회색과 어둠은 빛의 강약을 나타내는 말이다. 구조론은 일원론이다. 신이 있으므로 반대편에 사탄이 있다는 식의 이원론은 틀렸다. 하나가 있는 것이며 그 하나가 움직이면 관측자의 위치에 따라 둘로 보인다. 



    선은 있고 악은 없다.


    선은 집단이 진보하여 나아가는 방향과의 일치다. 그 일치가 실제로 있다. 악은 없다. 내용이 없다. 악은 선에 의해 상대적으로 규정된다. 선의 움직임 곧 집단의 진보하는 방향의 변화에 따라 악으로 낙인 찍힌다. 다수가 움직여 '너는 악이야' 하고 규정하면 악이 된다. 집단의 명령을 따르지 않으면 악이다. 개고기를 먹으면 악인게 아니고 개고기를 먹지 말라고 말했는데도 먹으면 악이다. 개고기를 먹었기 때문에 악이 아니고 말을 안들어서 악이다.



    마이너스는 있고 플러스는 없다


    플러스가 있으니 마이너스가 있다는 생각은 틀렸다. 에너지로 보면 오직 마이너스가 있을 뿐이며 플러스는 마이너스의 방향전환이다. 마이너스를 반대편에서 보면 플러스인데 관측자가 개입했으므로 오류다. 관측자를 배제해야 자연의 사실과 맞다. 우주는 오직 마이너스 뿐이며 마이너스는 자연의 사실이고 플러스는 관측의 편의다. 내가 주면 누군가 받는다. 주는건 마이너스, 받는건 플러스인데 둘은 하나의 사건이고 통제권 있는 마이너스가 기준이다.



    1+1은 2가 아니다.


    1은 사물이고 2는 사건이다. 사물은 개별적으로 있고 사건은 전체적으로 있다. 1+1이 2인지는 증명될 수 없으나 2-1이 1인지는 증명된다. 물 한 컵에 한 컵을 더하면 큰 한 컵이 되어 여전히 1이므로 헷갈리지만 두 컵에서 한 컵을 빼면 확실히 하나가 남아 헷갈리지 않는다. 부분의 합은 전체보다 작고 전체는 부분의 합에 없는 상호작용이 있다. 사물의 세계에서는 플러스가 가능하지만 사건의 세계는 에너지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므로 마이너스만 있다.


[레벨:1]박우열

2018.07.13 (08:41:56)

진실은 있고 거짓은 없다.

[레벨:4]고향은

2018.07.13 (09:09:55)

사랑은 둘이서 마주 쳐다보는 것이 아니라
하나로 한 방향을 바라보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680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updateimage 7 김동렬 2024-06-12 932
4219 유물론과 유심론 image 3 김동렬 2013-07-02 13822
4218 밖이냐 안이냐? image 3 김동렬 2013-07-04 9105
4217 생각의 집을 짓자 7 김동렬 2013-07-07 9495
4216 쉽게 생각하자 image 4 김동렬 2013-07-08 9910
4215 연역과 귀납 image 11 김동렬 2013-07-09 13011
4214 대승기신론소 image 3 김동렬 2013-07-10 10475
4213 무질서가 질서를 낳는다 1 김동렬 2013-07-11 9688
4212 양자로 보는 관점 image 김동렬 2013-07-12 9585
4211 절대어사전 김동렬 2013-07-16 9490
4210 육체와 정신 김동렬 2013-07-16 9863
4209 비대칭의 제어 김동렬 2013-07-17 39288
4208 깨달음과 무명 8 김동렬 2013-07-17 9712
4207 진보와 보수 2 김동렬 2013-07-18 58634
4206 존재론과 인식론 3 김동렬 2013-07-19 14900
4205 미스터 고 흥행 될까 말까? image 16 김동렬 2013-07-19 11947
4204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2 김동렬 2013-07-23 10564
4203 생각을 잘 하는 방법 11 김동렬 2013-07-24 11021
4202 구조론 개요 김동렬 2013-07-28 10158
4201 실존과 본질 1 김동렬 2013-07-28 11260
4200 아는 사람과 모르는 사람의 차이 1 김동렬 2013-07-29 107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