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7717 vote 0 2018.07.12 (13:55:07)


   구조론마당 구조론의 예 게시판에 추가된 내용입니다.


    빛은 있고 어둠은 없다.


    빛은 광자가 있고 어둠은 실체가 없다. 빛의 광자에 대응되는 어둠의 암자는 없다. 어둠은 빛의 부재이니 빛의 상태를 설명하는 말이며 빛에 종속되는 말이다. 빛의 반대편에 빛과 대응되는 어떤 독립적 실체는 없다. 물리적 존재가 없다. 밝음과 회색과 어둠은 빛의 강약을 나타내는 말이다. 구조론은 일원론이다. 신이 있으므로 반대편에 사탄이 있다는 식의 이원론은 틀렸다. 하나가 있는 것이며 그 하나가 움직이면 관측자의 위치에 따라 둘로 보인다. 



    선은 있고 악은 없다.


    선은 집단이 진보하여 나아가는 방향과의 일치다. 그 일치가 실제로 있다. 악은 없다. 내용이 없다. 악은 선에 의해 상대적으로 규정된다. 선의 움직임 곧 집단의 진보하는 방향의 변화에 따라 악으로 낙인 찍힌다. 다수가 움직여 '너는 악이야' 하고 규정하면 악이 된다. 집단의 명령을 따르지 않으면 악이다. 개고기를 먹으면 악인게 아니고 개고기를 먹지 말라고 말했는데도 먹으면 악이다. 개고기를 먹었기 때문에 악이 아니고 말을 안들어서 악이다.



    마이너스는 있고 플러스는 없다


    플러스가 있으니 마이너스가 있다는 생각은 틀렸다. 에너지로 보면 오직 마이너스가 있을 뿐이며 플러스는 마이너스의 방향전환이다. 마이너스를 반대편에서 보면 플러스인데 관측자가 개입했으므로 오류다. 관측자를 배제해야 자연의 사실과 맞다. 우주는 오직 마이너스 뿐이며 마이너스는 자연의 사실이고 플러스는 관측의 편의다. 내가 주면 누군가 받는다. 주는건 마이너스, 받는건 플러스인데 둘은 하나의 사건이고 통제권 있는 마이너스가 기준이다.



    1+1은 2가 아니다.


    1은 사물이고 2는 사건이다. 사물은 개별적으로 있고 사건은 전체적으로 있다. 1+1이 2인지는 증명될 수 없으나 2-1이 1인지는 증명된다. 물 한 컵에 한 컵을 더하면 큰 한 컵이 되어 여전히 1이므로 헷갈리지만 두 컵에서 한 컵을 빼면 확실히 하나가 남아 헷갈리지 않는다. 부분의 합은 전체보다 작고 전체는 부분의 합에 없는 상호작용이 있다. 사물의 세계에서는 플러스가 가능하지만 사건의 세계는 에너지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므로 마이너스만 있다.


[레벨:1]박우열

2018.07.13 (08:41:56)

진실은 있고 거짓은 없다.

[레벨:4]고향은

2018.07.13 (09:09:55)

사랑은 둘이서 마주 쳐다보는 것이 아니라
하나로 한 방향을 바라보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11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7873
4223 사랑 73, 아름다움을 안는다 image 1 김동렬 2016-03-14 4801
4222 사랑의 정석 51, 정상이 되자. image 1 김동렬 2016-02-11 4803
4221 정신 못 차린 한국인들 2 김동렬 2024-02-15 4803
4220 테트라포드 구조론 image 1 김동렬 2019-09-08 4813
4219 독재라는 질병에 대하여 김동렬 2021-04-17 4813
4218 주체의 관점을 획득하라 1 김동렬 2019-06-26 4814
4217 MZ세대의 집단자살 3 김동렬 2022-08-31 4814
4216 척력은 대칭이다 1 김동렬 2019-04-12 4817
4215 다섯개의 모형 image 김동렬 2015-11-04 4827
4214 귀납은 없다 1 김동렬 2019-08-22 4827
4213 수렴과 확산 4 김동렬 2019-08-27 4829
4212 사건을 보고 사물을 안다 1 김동렬 2019-11-20 4835
4211 수학자의 세계관 1 김동렬 2020-09-07 4837
4210 마음의 변화 2 김동렬 2019-03-20 4841
4209 인질범의 승리 4 김동렬 2018-09-06 4853
4208 사랑의 정석 29, 철학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16-01-08 4859
4207 사랑 74, 새로운 세계로 image 1 김동렬 2016-03-15 4860
4206 사랑의 정석 30, 철학의 의미 1 김동렬 2016-01-12 4863
4205 사랑의 정석 20회 1 김동렬 2015-12-28 4864
4204 오생만물 image 1 김동렬 2015-11-06 48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