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9561 vote 0 2018.06.27 (14:55:58)


    구조론의 알파와 오메가 


    완전성이 있다. 그것은 동적균형이다. A의 변화가 B의 변화를 끌어낼 때 둘의 관계 C는 변하지 않는다. 아니다. 그 C도 변한다. 그러나 여기서 C의 변화는 A와 B의 변화와는 다른 것이다. 이때 C는 에너지를 태우고 한 방향으로 전개한다. 이 도리를 깨우치면 완벽하다. 구조론은 이거 하나로 시작하고 끝낸다. 아홉 살에 처음 포착했고 열 살 때 알았고 17살 때 이를 언어로 표현하고자 했다. 구조론은 이것을 확장하고 일반화한 것이다.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있고 이것이 없으면 저것이 없고 이것이 일어나면 저것이 일어나고 이것이 소멸하면 저것이 소멸한다. 이는 석가의 연기법이다. 원인이 있으면 결과가 있다. 이는 서구 논리학의 인과율이다. 그런데 여기서 이것과 저것이 자리를 바꿀 수도 있는가? 원인이 A이면 결과가 B일 때 결과가 B이면 원인은 A인가? 여기서부터 헷갈리기 시작한다.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그럴 수 있다는 것이 질량보존의 법칙이다.


    그렇지 않다는 것은 엔트로피의 법칙이다. 구조론은 깊이 들어간다. 질이 변하면 량도 변한다. 원인이 변하면 결과도 변한다. 그 관계 C는 변하지 않는다. 이 말은 양질전환과 질량보존을 암시한다. 그러나 단위사건 안에서 양질전환은 일어나지 않는다. 사건은 에너지를 태우고 가기 때문이다. A와 B 사이에는 에너지 준위의 차가 있다. A는 에너지가 높은 상태이고 B는 에너지가 바닥상태이다. 외부에서 에너지를 공급하면? 양질전환된다.


    그러나 자연상태에서 에너지 공급이 없이 저절로 양질전환은 일어나지 않는다. 석유를 플라스틱으로 변환시키고 그 플라스틱 폐기물을 다시 석유로 변환시키면 무한히 쓸 수 있다. 그러나 에너지가 소모된다. 철광석에서 철을 생산하고 고철을 다시 재활용하고 무한히 반복사용은 이론적으로 가능하지만 에너지의 추가투입 없이는 불가능하다. 그런데 에너지가 무한히 추가투입 된다면? 사건은 계를 이루고 한 방향으로 계속 커져간다.


    나뭇잎은 떨어져 거름이 되고 거름은 분해되어 다시 나무가 된다. 단, 조건이 있다. 햇볕에너지가 지속적으로 투입되어야 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나무가 거름이 될 수는 있어도 거름이 다시 나무가 되지는 못한다. 원인에서 결과로 가도 결과에서 원인으로 되짚어가지는 못한다. 그러므로 지속적으로 에너지가 공급될 때 양질전환되어 전체는 계를 이루고 한 방향으로 가게 된다. 즉 A와 B가 합쳐져서 더 큰 사건의 원인 A가 되는 거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0]cintamani

2018.06.27 (15:05:48)

동렬님! 질문 드립니다


'그런데 에너지가 무한히 추가투입 된다면? 사건은 계를 이루고 한 방향으로 계속 커져간다. '

=>  이 우주에 에너지가 무한할 수 있는지요? 궁금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8.06.27 (15:08:20)

에너지는 유한합니다.

그래서 언젠가는 다 죽습니다.

[레벨:4]고향은

2018.06.30 (19:29:10)

신과 우리와 문명은 한 셋트이다
동적균형을 가지고 에너지를 태우는 쪽으로
세월이 흐르면 양이..진보가 더 이루어진
질로 바뀌기도 하며..신의 그림자가 드리워진
문명의 번영이 쌓여간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364 사랑은 말로 표현할 수 없다 1 김동렬 2019-03-08 5530
4363 마음의 마음 2 김동렬 2019-03-07 4922
4362 마음이 좋더라 2 김동렬 2019-03-05 5301
4361 인간은 왜 자유의지를 추구하는가? 1 김동렬 2019-03-04 5089
4360 공황장애와 사회멀미 1 김동렬 2019-03-01 5961
4359 초원사람과 숲사람 1 김동렬 2019-02-28 5004
4358 사람은 말려야 한다 1 김동렬 2019-02-27 4992
4357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있는가? 1 김동렬 2019-02-27 5632
4356 존엄 자유 사랑 성취 행복 1 김동렬 2019-02-26 5295
4355 마음은 진화다 1 김동렬 2019-02-25 5472
4354 마음의 구조론적 관점 1 김동렬 2019-02-24 5493
4353 왜 사람을 구하는가? 2 김동렬 2019-02-22 4856
4352 마음은 에너지다 1 김동렬 2019-02-22 4903
4351 나는 누구인가? 4 김동렬 2019-02-21 5147
4350 이기는 것이 이기는 것이다 1 김동렬 2019-02-20 5603
4349 교육은 물리적 제압이 정답이다 2 김동렬 2019-02-20 4911
4348 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오해 2 김동렬 2019-02-19 5173
4347 히키코모리가 되는 이유 4 김동렬 2019-02-18 6318
4346 정신과 의식 1 김동렬 2019-02-18 5416
4345 마음이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19-02-16 58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