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273 vote 0 2018.06.27 (14:55:58)


    구조론의 알파와 오메가 


    완전성이 있다. 그것은 동적균형이다. A의 변화가 B의 변화를 끌어낼 때 둘의 관계 C는 변하지 않는다. 아니다. 그 C도 변한다. 그러나 여기서 C의 변화는 A와 B의 변화와는 다른 것이다. 이때 C는 에너지를 태우고 한 방향으로 전개한다. 이 도리를 깨우치면 완벽하다. 구조론은 이거 하나로 시작하고 끝낸다. 아홉 살에 처음 포착했고 열 살 때 알았고 17살 때 이를 언어로 표현하고자 했다. 구조론은 이것을 확장하고 일반화한 것이다.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있고 이것이 없으면 저것이 없고 이것이 일어나면 저것이 일어나고 이것이 소멸하면 저것이 소멸한다. 이는 석가의 연기법이다. 원인이 있으면 결과가 있다. 이는 서구 논리학의 인과율이다. 그런데 여기서 이것과 저것이 자리를 바꿀 수도 있는가? 원인이 A이면 결과가 B일 때 결과가 B이면 원인은 A인가? 여기서부터 헷갈리기 시작한다.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그럴 수 있다는 것이 질량보존의 법칙이다.


    그렇지 않다는 것은 엔트로피의 법칙이다. 구조론은 깊이 들어간다. 질이 변하면 량도 변한다. 원인이 변하면 결과도 변한다. 그 관계 C는 변하지 않는다. 이 말은 양질전환과 질량보존을 암시한다. 그러나 단위사건 안에서 양질전환은 일어나지 않는다. 사건은 에너지를 태우고 가기 때문이다. A와 B 사이에는 에너지 준위의 차가 있다. A는 에너지가 높은 상태이고 B는 에너지가 바닥상태이다. 외부에서 에너지를 공급하면? 양질전환된다.


    그러나 자연상태에서 에너지 공급이 없이 저절로 양질전환은 일어나지 않는다. 석유를 플라스틱으로 변환시키고 그 플라스틱 폐기물을 다시 석유로 변환시키면 무한히 쓸 수 있다. 그러나 에너지가 소모된다. 철광석에서 철을 생산하고 고철을 다시 재활용하고 무한히 반복사용은 이론적으로 가능하지만 에너지의 추가투입 없이는 불가능하다. 그런데 에너지가 무한히 추가투입 된다면? 사건은 계를 이루고 한 방향으로 계속 커져간다.


    나뭇잎은 떨어져 거름이 되고 거름은 분해되어 다시 나무가 된다. 단, 조건이 있다. 햇볕에너지가 지속적으로 투입되어야 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나무가 거름이 될 수는 있어도 거름이 다시 나무가 되지는 못한다. 원인에서 결과로 가도 결과에서 원인으로 되짚어가지는 못한다. 그러므로 지속적으로 에너지가 공급될 때 양질전환되어 전체는 계를 이루고 한 방향으로 가게 된다. 즉 A와 B가 합쳐져서 더 큰 사건의 원인 A가 되는 거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cintamani

2018.06.27 (15:05:48)

동렬님! 질문 드립니다


'그런데 에너지가 무한히 추가투입 된다면? 사건은 계를 이루고 한 방향으로 계속 커져간다. '

=>  이 우주에 에너지가 무한할 수 있는지요? 궁금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8.06.27 (15:08:20)

에너지는 유한합니다.

그래서 언젠가는 다 죽습니다.

[레벨:4]고향은

2018.06.30 (19:29:10)

신과 우리와 문명은 한 셋트이다
동적균형을 가지고 에너지를 태우는 쪽으로
세월이 흐르면 양이..진보가 더 이루어진
질로 바뀌기도 하며..신의 그림자가 드리워진
문명의 번영이 쌓여간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9970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7567
2743 존재의 원형 image 김동렬 2013-11-29 8783
2742 의사결정모형으로 사유하라 2 김동렬 2013-11-28 8579
2741 우주의 모형 image 2 김동렬 2013-11-22 10009
2740 5회의 의사결정 1 김동렬 2013-11-20 9145
2739 닥치고 모형을 내놔봐. 2 김동렬 2013-11-18 9193
2738 이제는 공간을 규명할 때 김동렬 2013-11-13 9898
2737 세상의 작동원리 김동렬 2013-11-11 10020
2736 공간이 양자다 1 김동렬 2013-11-09 9918
2735 세상을 만들어보자. 김동렬 2013-11-08 9077
2734 공간이 양자다. image 김동렬 2013-11-07 10148
2733 기본원리 image 김동렬 2013-11-07 9255
2732 대칭은 특이점의 공유다 image 김동렬 2013-11-05 9239
2731 세상의 출발 image 2 김동렬 2013-11-04 10056
2730 질과 입자 image 2 김동렬 2013-11-04 8645
2729 이경규의 몰락과 개콘의 상승세 image 5 김동렬 2013-10-31 11486
2728 21세기의 절대성 세계 1 김동렬 2013-10-29 8756
2727 준비와 시작은 반대다 6 김동렬 2013-10-29 9082
2726 신 창세기 1 김동렬 2013-10-29 8846
2725 이물질이 특이점을 차지하기 image 2 김동렬 2013-10-28 12553
2724 질에서 입자로 나아가기 1 김동렬 2013-10-25 8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