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695 vote 0 2018.06.26 (14:05:05)


    전략의 대강은 자체의 힘으로 밀어붙일 것인가 아니면 상대방의 힘을 역이용할 것인가다. 오자병법과 손자병법의 차이다. 정답은 선 오자병법 후 손자병법이다. 전략과 전술의 차이다. 오자병법은 전략에 맞고 손자병법은 전술에 맞다. 오자병법으로 군대를 키우고 손자병법으로 임기응변해야 한다.


    그러나 보통은 과도하게 손자병법에 의지하다가 망한다. 손자병법으로 한 번의 전투를 이길 수는 있으나 전쟁 전체를 주도할 수는 없다. 손자병법은 적을 속이는 것이다. 적을 속이면 적도 아군을 속인다. 오자병법은 압도적인 전력의 우위를 보여줘서 적이 그 방법을 배우기 위해서라도 일단 항복하게 되는 원리다. 


    적을 속이는게 아니라 반대로 적이 아군을 신뢰하고 따르게 하는 방법이다. 그러려면 속임수가 아닌 정공법으로 이겨야 한다. 문제는 오자병법을 쓰다가 손자병법으로 갈아탈 수 있으나 그 역은 없다는 거다. 엔트로피다. 관성력에서 작용반작용으로 바꿀 수는 있어도 그 역은 없다. 


    위치에너지에서 운동에너지로 바꿀 수 있어도 그 역은 없다. 절대성 모드에서 상대성 모드로 바꿀 수 있지만 상대성에서 절대성으로 갈아탈 수는 없다. 에너지가 없어서 안 된다. 걸어가던 사람이 업혀갈 수 있지만 업혀가던 사람이 걸어갈 수는 없다. 이미 다리가 풀려버렸다. 


    그러므로 초반에 선택을 잘해야 한다. 처음에는 걸어가다가 안 되면 업혀가야 한다. 처음부터 업혀가다가 자생력을 잃어버리면 안철수처럼 낙오되어 오도가도 못한다. 권투기술을 쓰다가 불리하면 유도기술로 바꿀 수 있으나 그 반대는 곤란하다. 원거리 공격인 권투를 하다가 클린치 상태가 되면 근거리 공격인 유도로 바꿀 수 있다.


    처음부터 유도를 하다가 갑자기 권투로 바꾸면 상대방은 도망가 버린다. 화살을 쏘다가 적이 근접하면 창으로 바꿔야 한다. 창으로 육탄전을 벌이다가 그 상태에서 활로 바꿀 수 없다. 활시위를 매기기도 전에 죽어 있다. 원거리 타격이 먼저다. 공자의 원칙을 따르다가 결정적인 시기에 노자의 지혜를 응용할 수 있지만 그 반대의 경우는 불가능하다. 


    노자의 융통성을 쓰다가 갑자기 공자의 원칙주의로 돌아설 수 없다. 그렇게 갑자기 바꾸는게 원칙위반이기 때문이다. 기본기를 배운 다음에 응용기술을 써야지 응용기술을 익힌 다음에 기본기를 강화할 수 없는게 한국 축구가 안 되는 원리다. 세상 모든 망하는 집단의 공통점은 기본을 어기고 꼼수를 쓰다가 뒤늦게 원칙으로 돌아가지 못해서 망하는 것이다.


   안철수처럼 말이다. 양의사를 찾다가 안 되면 한의사를 찾을 수는 있다. 반대로 한의사를 찾다가 뒤늦게 양의사를 찾으면 치료시기를 놓쳐서 망한다. 어디를 가나 주가 있고 종이 있으며 정면에서는 주를 위주로 하고 종은 뒤에서 보조나 해야 한다.


   철학이 주라면 처세술은 종이다. 강자의 철학이 정면승부라면 약자의 처세술은 뒷설거지다. 약자의 처세술은 어디가서 보란듯이 내세울 것이 못 된다. 쉬쉬하면서 몰래 한 번 써먹고 버리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2475
3546 삶은 있고 죽음은 없다. image 1 김동렬 2014-11-11 7198
3545 착한 거짓말은 없다 image 3 김동렬 2015-06-09 7201
3544 인류 최후의 지식은 무엇인가? image 3 김동렬 2014-12-25 7206
3543 이중의 역설의 예 image 3 김동렬 2014-12-28 7206
3542 구조론 교과서 image 1 김동렬 2016-09-02 7218
3541 마음의 구조 image 9 김동렬 2014-12-08 7229
3540 인간은 비합리적인 존재이다 3 김동렬 2014-08-20 7237
3539 자연선택설의 허구 image 10 김동렬 2015-05-22 7238
3538 열역학 법칙이란 무엇인가? 4 김동렬 2014-09-26 7241
3537 구조론의 핵심원리 image 1 김동렬 2014-06-12 7246
3536 관측자의 위치를 찾아라 3 김동렬 2014-05-14 7247
3535 생각하는 방법 image 1 김동렬 2014-08-13 7250
3534 워렌 버핏 이야기 더 2 김동렬 2014-07-08 7259
3533 이 안에 다 있다 image 김동렬 2015-04-01 7268
3532 대학은 대학이 아니다 image 3 김동렬 2016-09-05 7274
3531 20세기를 보내면서 4 김동렬 2014-07-08 7281
3530 교육의 정답은 물리적인 통제다(수정) image 4 김동렬 2015-10-03 7281
3529 바른 의사결정은 어렵다 image 9 김동렬 2015-01-25 7284
3528 사랑이냐 권력이냐? image 10 김동렬 2015-05-01 7294
3527 구조론의 출발 image 1 김동렬 2015-08-13 7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