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8595 vote 0 2018.06.16 (10:39:32)

  내게는 할 이야기가 있다. '신은 있다. 기적은 있다. 그러므로 기도를 해야 하는 이유가 있다.' 이 말을 하고 싶었다. 해야만 하는 이야기였다. 이건 진지한 이야기다. 종교의 관점은 배제해야 한다. 그러나 21세기 이 발달한 시대에 왜 여전히 종교가 기능하고 있는지는 생각해봐야 한다. 


  '신'이라는 표현이 못마땅하다면 ‘의사결정의 중심’으로 받아들이면 된다. 구조론으로 보면 세상은 모두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 의사결정의 중심이 있다. 수염난 할아버지의 모습을 한 그런 신은 없어도 인간으로 하여금 그런 상상을 하게 만드는 원천이 있다. 모든 것의 연결의 중심이 있다. 원리적으로 있다. 의사결정은 거기서 시작된다. 그 중심에 대응하지 않으면 안 된다.


  '기적'이라는 표현을 받아들이기 싫다면 ‘기적적’이라고 하면 된다. 우리가 생각하는 수학적 확률과 자연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방식은 다르다. 에너지의 각별한 성질 때문이다. 사물이냐 사건이냐다. 우리는 사물의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보지만 세상은 사물의 집합이 아니라 사건의 연결이다. 사건의 작동방식을 깨닫지 않으면 안 된다. 사건을 지배하는 것은 에너지다. 일반의 상식과 다른 에너지의 특별한 성질이 기적을 연출한다. 사물은 공간에 펼쳐지고 사건은 시간을 타고 간다. 공간은 폭넓게 흩어져 있으나 시간은 한곳에 극적으로 몰려 있다. 극적인 타이밍이 있다는 말이다. 그러한 차이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기도'라는 표현이 싫다면 '호르몬'으로 바꾸면 된다. 본질에서 인간을 규정하는 것은 환경과의 관계다. 그 관계를 바꾸어야 한다. 환경에 종속되면 실패다. 환경을 극복해야 한다. 환경과의 관계는 호르몬으로 나타난다. 이성이 아니면 본능이다. 본능은 가만 놔두면 퇴행한다. 인간이 환경에 종속된다는 말이다. 이성은 힘이 없다. 지식인도 위기에 몰리면 생존본능으로 퇴행하기 마련이다. 호르몬이 바뀌어야 생각이 바뀌고 삶이 바뀐다. 환경과의 관계를 바꾸어야 호르몬이 바뀐다. 지식의 축적만으로 부족하고 그 이상의 것이 있어야 한다. 기도는 환경과의 관계를 바꾸어 호르몬을 바꾸고 삶을 바꾸는 방법이다. 에너지를 끌어내는 방법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7]hya

2018.06.16 (22:23:52)

환경을 바꾸니 하루하루가 즐겁네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수원나그네

2018.06.16 (22:26:08)

어떻게 바꾸었는지 궁금하오~
프로필 이미지 [레벨:27]hya

2018.06.16 (22:35:11)

구조론 입문으로

첨부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수원나그네

2018.06.17 (00:38:19)

흠~ 그건 환경이 아니라 만남이오.

자유의지에 의한 선택행위가 일어난 것이 만남.

일일이 선택하지 않더라도 그 자체로 자신의 오감을 지배하고 영향을 주는 존재가 환경.

그대는 구조론이 자신의 오감을 지배하고 있소?

프로필 이미지 [레벨:27]hya

2018.06.17 (06:22:12)

시간을 지배하는 것은 확실 .

구조론 입문으로 인하여 환경이 바뀌었다.로 할께요.

감사합니다.앞으로 많은 지도  부탁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6810 진리의 문 new 김동렬 2024-04-29 330
6809 대구와 광주의 차이 update 김동렬 2024-04-29 565
6808 박찬욱과 헤어지기 new 김동렬 2024-04-29 571
6807 생각인간 김동렬 2024-04-13 676
6806 동력 운명 게임 김동렬 2024-04-16 692
6805 존재 김동렬 2024-04-05 726
6804 구조를 보는 방법 김동렬 2024-03-14 741
6803 마음의 마음 김동렬 2024-03-10 743
6802 부끄러운줄 모르는 한겨레 표절칼럼 김동렬 2024-04-25 753
6801 생각의 압박 김동렬 2024-04-08 770
6800 물방울이 둥근 이유 김동렬 2024-03-11 780
6799 집단사고와 집단지성 1 김동렬 2024-04-22 797
6798 직관의 기술 김동렬 2024-04-06 799
6797 엔트로피와 직관력 김동렬 2024-03-18 802
6796 셈과 구조 김동렬 2024-03-01 847
6795 지성과 권력 김동렬 2024-03-31 851
6794 엔트로피가 어렵다고? 김동렬 2024-03-15 857
6793 밸런스와 엔트로피 김동렬 2024-03-20 880
6792 이정후와 야마모토 김동렬 2024-04-21 880
6791 생각기술 김동렬 2024-04-03 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