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8]아제
read 1815 vote 1 2018.06.04 (14:02:55)

인생은 둘로 나뉜다.

<나>와 <나 아닌 것.>

끝인가?

아니다.뭔가 부족하고 뭔가 허전하다.

생명이 빠진 것이다. 인생(人生)에 있어 생(生)이 빠진 분류는 의미없다.

그러나 우리가 머리로만 분류하면

인생을 나와 나 이외의 것으로 이분하는 오류를 범한다.

머리라는 것은 참으로 딱딱하다.부드럽지가 않다. 한마디로 머리는 머리가 안좋다는 것.

그렇다면 생명이란 무엇인가.

이것이 이상한 놈이다.

나무는 나무 이외의 것에 의지해 있다.

나무는 햇볕이라든가,흙이라든가,물이라든가,공기에 의지해 있다.

나무는 나무 자신에 의지하는 부분이 극소이고 오히려 나무 아닌 것에 완전히 의존하고 있다.

이것이 생명이라는 것이다.

생명이라는 것은 어떤 존재가 그 자체의 동력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바깥의 것에 의존해 있는 것을 일컫는다.

인생으로 눈을 돌리자.

인간은 <나>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 아니라

나 아닌 것에서 그 동력원을 받아 삶을 영위한다.

즉, 나 아닌 것이 나에게 엄청난 도움을 주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 <나>라는 것의 모든 행위는 <나 아닌 것>에 이익이 되는 쪽으로 움직인다는 것.

도무지 내가 나에게 도움되는 행위를 하지 않는다는 것. 그러면 의미가 없어진다는 것.

생명이다.

생명이란 상호작용이다.

생명이기에..

불교에서는 <나는 없다.>라고 말하는 것이며,

기독교에서는 <하느님, 혹은 성령 뿐이다.>라고 말하는 것이다.

사랑.

뭔가?

감정적 상태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사랑은 곧 생명이며,

생명은 상호작용이며,

나와 나 아닌 것이 통털어 나이기에 사랑인 것이다.

그래서 존재는 사랑이다..라고 말하는 것이다.

진정한 <나>는 상호작용 한만큼 나이며,

사랑한만큼 나이며,그 범위가 나이다.

그러므로 나와 나 아닌 것을 구별한 그 나는

머리로만 이해하는 나이며, 작은 나이며, 임시적인 나이며,

결국은 불가능한 것을 고집하는 가짜 나이다.

인생이 아픈가?

걱정마라.

<나>가 커지고 있다는 증거.

나와 나 아닌 것의 경계가 무너지며 상호작용을 하려는 순간이다.

그래서 아픈 것이다.

그러나 아프다는 것은 이쪽에서의 관점이고

생명의 입장에선 기쁜 것이다.

아프다,기쁘다에 휘둘리지 말고

생명을 보라.

인생을 보라.

긍정적이어라.

그리고 진도 나가라.

자기를 챙기려 말라.

불가능하다.

<나>를 위한다고 그게 위해지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나 아닌 것을 위하는 것이 나를 위하는 것이다.

나무가

꽃을 피우는 것은 나를 위하는 것이 아닌데 결국 나를 위하는 것이다.

열매를 맺는 것은 나에겐 손해다 나무가 그 열매를 먹지는 못한다.

그러나 나무가 나무 자신을 위하지 않을 때가 사실은 나무를 위하는 것이다.

예술이란 멋지게 나를 위하지 않음이다.

그래서 결국 나를 위하게 되는 오히려 효율적인 투자다.

인생 단위로 봐야 한다.

나의 단위로 보면 안된다.

왜냐하면 원래 <나>라는 개별 단위는 없다.

실존이란 <상호작용>이 한 단위가 되어있다는 것을 일컫는다.

<나>란 없고,

<나만큼>이 나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4672 부암동출범. 구조론 목요 열린방송 image ahmoo 2017-03-16 1711
4671 하나 혹은 1의 가치와 무게 다원이 2016-10-30 1712
4670 거짓말 2 말시인 2019-06-06 1713
4669 안희정이 민주당 대표로? 2 스마일 2017-12-30 1714
4668 (정보) 이사준비할 때 알아둬야 할 팁 10가지 image 좌뇌의둔화 2020-02-25 1714
4667 지능이 안되는 사람이 억지로 무언가 배우는 것은 불가능합니까? image 1 서단아 2022-01-06 1714
4666 구조론 목요 강론회 image ahmoo 2015-11-26 1715
4665 12월 31일 3 락에이지 2017-12-31 1716
4664 관성과 가속도로 보는 경제 2 챠우 2018-11-02 1716
4663 양적완화에 대하여(수정) 이금재. 2020-03-26 1717
4662 새로운 인간. 아제 2017-11-13 1718
4661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4-07-25 1719
4660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4-08-22 1720
4659 연어로 환태평양이 연결되는군요 눈마 2018-02-21 1721
4658 사실이지 시작은 반이 아니다. 1 덴마크달마 2019-02-15 1722
4657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4-09-19 1724
4656 모든 경제는 "정치경제학"이다. image 1 스마일 2018-07-22 1725
4655 문명과 인간 systema 2018-05-05 1726
4654 오늘 강남 독서 모임 있습니다. 챠우 2016-09-10 1727
4653 인도의 철도와 농촌 3 수원나그네 2017-12-13 1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