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9713 vote 0 2018.05.15 (21:33:04)

  

    독자의 질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컨대 테니스공으로 단단한 벽을 친다면 어떨까? 공은 0~180도 사이의 어떤 각도로 방향을 바꾸어 진행한다. 벽에 맞아 각도를 꺾어 튕겨 나간다. 이때 벽은 움직이지 않는다. 아니다. 이때 벽이 공을 향해 진행한다. 정지해 있는 벽이 달려와서 공을 냅다 후려치는 것이다. 이렇게 말하면 이해가 되지 않을 독자들이 다수일 것이다. 벽이 살아서 막 돌아다니고 그러는가? 그렇다.


    벽이나 공의 겉보기 형태를 떠올리면 곤란하고 이면의 에너지를 봐야 한다. 구조는 에너지의 구조다. 작용반작용의 법칙은 A가 B를 치면 같은 크기의 힘으로 B도 A를 친다는 거다. 그런데 말이 그렇지 실제로 B가 A를 치는 것은 아니다. 단지 그렇게 표현을 하는 것이다. 움직이지 못하는 벽이 누군가를 때린다거나 하는게 있을 수 없다. 그런데 구조로 보면 실제로 B가 A를 친다.


    에너지의 방향이 그렇다. 그런데 실제로 전자기력으로 보면 B가 A를 밀어낸다. 그게 전기의 속성이다. 극이 바뀐다. 양자단위에서 전기적 반발력이 작용한다. 우리가 손으로 무엇을 만지거나 하는게 사실은 전자기력이고 전기적 반발력이다. 인간이 경험하는 자연계의 힘은 중력 아니면 전자기력이고 미시세계에서 작용하는 강력이나 약력은 아마 경험할 기회가 없을 것이다.


    구조론으로는 여기에 공간 그 자체의 힘이 하나 추가된다고 본다. 빛이 A에서 B로 진행할 때 동시에 B에서 A로 진행하는게 분명히 있다. 아직 과학자들이 알아내지는 못했지만 말이다. 우주 안에 일방적으로 A에서 B로 가는건 없고 모두 자리바꿈이다. 이는 물리가 궁극의 단계에서는 수학적으로 존재한다는 의미다. 수학으로 보면 빈 칸이 있어도 그것이 없는게 아니고 있다. 



asd.jpg

  A가 B를 밀 때 B도 A를 민다. 시간차 없이 둘은 동시에 작용한다. 왜냐하면 닫힌계 곧 장이 먼저 만들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장이 먼저 만들어지고 그 다음에 코어가 도출되고 마지막으로 힘의 방향성이 결정된다. 정보전달과 장의 성립>코어 성립>에너지 성립과 작용반작용 두 힘의 작용>운동에너지 전달>외부관측으로 가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64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updateimage 7 김동렬 2024-06-12 928
3739 전우치가 실패한 이유 image 3 김동렬 2015-09-08 6252
3738 질≫입자≫힘≫운동≫량 image 1 김동렬 2014-12-07 6254
3737 파우스트의 결론 김동렬 2018-08-07 6257
3736 지적설계설의 아이러니 김동렬 2014-10-05 6262
3735 논어 2, 공자는 용서없다 image 2 김동렬 2016-01-28 6266
3734 논어 더보기 2 김동렬 2016-06-21 6272
3733 창조론의 즐거움 image 5 김동렬 2015-05-14 6275
3732 마음 차리기 image 1 김동렬 2015-02-21 6303
3731 다섯가지 대칭의 이해 image 4 김동렬 2015-07-27 6310
3730 외계인의 입장 10 김동렬 2018-08-20 6321
3729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 image 2 김동렬 2016-04-19 6322
3728 엉뚱이가 창의를 한다? image 3 김동렬 2015-05-11 6326
3727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관찰 image 김동렬 2015-03-24 6337
3726 희망을 버릴 수 있다는 희망 image 3 김동렬 2015-06-20 6340
3725 집과 길 그리고 자궁 image 1 김동렬 2014-11-20 6343
3724 구조론의 법칙 김동렬 2014-09-11 6344
3723 의사결정학의 관점 2 김동렬 2014-07-06 6349
3722 창조론의 슬픔 image 9 김동렬 2015-05-03 6350
3721 동적균형의 1인칭 주체적 관점 김동렬 2014-08-03 6351
3720 행복은 세상에 대한 보고서다 image 11 김동렬 2015-02-21 6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