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5824 vote 0 2018.04.19 (15:54:41)


    왜 인간에게는 특별히 눈썹이 있을까? 눈썹의 용도는 무엇일까? 과학자들은 오래 논쟁해 왔다. 


2f06d8b7_resizedScaled_740to555.jpg


    눈썹은 감정표현에 요긴하게 쓰인다. 그러나 감정표현을 위하여 눈썹이 있는 것은 아니다. 과학자들은 감정표현설에 무게를 싣지만 그것은 부수적인 것이다. 위하여 들어가면 일단 가짜다. 구조론은 위하여를 배제한다. 그렇다면?



3VP754-1_1.jpg


    구인류는 눈두덩이 돌출되어 있다. 이건 눈썹이 없다는 의미일 수 있다. 눈두덩은 눈을 보호할 수 있는 장치다. 즉 인류의 눈썹은 구인류의 돌출된 눈두덩이 퇴화하고 흔적이 남은 것이다.



14557731343747.jpg


    사피엔스와 네안데르탈인 .. 오른쪽 네안데르탈인은 치열로 볼때 앞으로 숙여져 있다. 잘못된 배치다.  바로잡으면 아래와 같이 된다. 


1455773134374gyt7t6.jpg


    치열기준으로 바로잡으면 이렇게 된다. 네안데르탈인은 입과 눈두덩이 돌출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는 것은? 이마가 없다는 거다. 


cb0990f25.jpg


    이마가 없다면 머리칼이 눈을 가리지 않을까? 두개골이 이런 모양이 되면 머리카락이 짧아야 한다. 


SAM_p1438.jpg


    이마가 없는 네안데르탈인.. 머리카락이 눈을 가리게 된다. 그렇다는 것은? 머리칼이 없다는 말이다. 사피엔스는 이마가 높은 대신 긴 머리칼을 얻었다. 구조론의 밸런스 원리로 보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마와 눈두덩과 눈썹과 머리카락은 세트다. 



e60db511.jpg


    사피엔스는 원인에게 없는 긴 머리칼이 있다. 이 사진은 잘못된 것이다. 원인들의 눈두덩이 돌출한 이유는 이마가 없기 때문이다. 이마가 없으면 머리칼이 길게 자랄 수 없다. 눈을 가리기 때문이다. 


    결론. 눈두덩과 눈썹과 머리칼과 이마는 세트로 진화한다. 네안데르탈인은 머리카락이 짧거나 없었으며 눈과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높은 눈두덩을 가지게 되었다. 사피엔스는 긴 머리카락이 등장하고 대신 높은 이마로 머리카락을 눈으로부터 떼어놓았다. 높은 이마가 간격을 벌린 것이다. 


    사피엔스는 높은 이마와 긴 머리카락이 머리를 보호하게 되었다. 물체가 위에서 떨어지면 이마에 맞을 확률이 높다. 이마가 없는 네안데르탈인은 공중을 쳐다보다가 새똥을 맞거나 티끌이 떨어져 눈에 먼지가 들어갔을 것이다. 눈과 머리를 보호하려면 높은 눈두덩이 필요하다. 


    결정적으로 사피엔스가 긴 막대기로 네안데르탈인을 공격했을 때 네안데르탈인은 높은 눈두덩이 없으면 눈을 찔릴 확률이 높다. 사피엔스는 이마가 높은데다 머리카락이 보호하므로 살짝 고개만 숙여도 안전하다. 


   인간의 눈썹은 눈두덩이 높았을 때의 흔적이다. 눈썹이 있는 이유 중의 하나는 머리에 가마가 있는 것과 같다. 털이 나는 기준점과 경계선이 있는데 눈두덩이 경계였다. 그런데 이마가 높아지며 이마의 털이 없어지자 눈두덩이 경계의 의미를 잃어먹은 것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수원나그네

2018.04.19 (18:09:07)

땀이 곧바로 눈에 들어가면 따가우니까
눈썹에서 머물면서 증발할 시간을 갖는 것 아닌가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8.04.19 (18:25:57)

네안데르탈인을 비롯해서 

사피엔스가 등장하기 전 까지는 


눈두덩이 크게 돌출해 있으므로 

땀이 눈으로 들어가지 않습니다.


그리고 이마에서 땀을 흘리는 것도 이상합니다.

이마로 땀을 안 흘리면 되잖아요. 


인간이 특별히 이마로 땀을 흘리는 이유는

땀의 소금기로 눈을 따갑게 해서 


수분보충을 하라는 신호를 보내는 겁니다.

역시 눈두덩이 돌출해 있다면 땀을 무시하고


미친듯이 달리다가 체온상승으로 죽을 확률이 높지요.

눈썹이 땀을 일부 조절하는건 맞지만 반대로 봐야 합니다.


땀이 눈으로 들어가도록 눈두덩이 들어갔다는 거지요. 

디자인적 요소는 보조적이고 본질은 눈두덩의 퇴화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5276
1475 왜 추상이어야 하는가? image 5 김동렬 2013-11-23 10419
1474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image 12 김동렬 2013-11-24 9849
1473 선은 굵을수록 좋다 image 2 김동렬 2013-11-25 6566
1472 TV의 발명 image 1 김동렬 2013-11-26 5919
1471 가난한 사람들의 잘못된 결정 2 김동렬 2013-11-26 5393
1470 사금 캐는 방법 image 2 김동렬 2013-11-28 7731
1469 천재발견 image 6 김동렬 2013-11-29 6104
1468 [특별기획] 김동렬 인터뷰 01 8 냥모 2013-11-29 5192
1467 미친 신문사들 image 김동렬 2013-12-01 4080
1466 상호작용에 따른 모듈진화의 증거 image 김동렬 2013-12-02 4066
1465 남녀 뇌구조 차이 image 4 김동렬 2013-12-03 8142
1464 백제의 패배이유 김동렬 2013-12-04 6065
1463 생각의 정석 18회 오세 2013-12-05 3136
1462 인류의 기원 image 2 김동렬 2013-12-05 4522
1461 류시화이야기 펌 image 4 김동렬 2013-12-08 7070
1460 류시화가 가짜인 이유 image 13 김동렬 2013-12-09 9218
1459 유전자와 사회적 상호작용 5 김동렬 2013-12-10 4096
1458 전제를 의심하라. 4 김동렬 2013-12-11 6031
1457 예술은 대칭이다. image 1 김동렬 2013-12-11 4955
1456 에디슨의 명언 image 5 김동렬 2013-12-12 86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