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수원나그네
read 1946 vote 0 2018.03.26 (07:47:35)

2003년~2007년에 당시 저는 도시계획을 전공하는 평범한 교수였고

김병준은 행정학과 교수출신으로서 청와대 정책실장이었는데,


1. 자신이 대통령 꼭대기에 있는듯한 포즈를 취한 것.

행정수도 이전 문제 때문에 갑론을박이 심할 때였지요. 그 당시 이 친구가 어떤 자세를 취했느냐 하면, 단일안을 내놓고 이보다 더 좋은 안이 있으면 갖고 오라는 식으로 했지요. 문제는 대통령을 돕는 입장에서 국민에게 설명을 하고 설득을 하는 자세가 아니라 자신이 권력자인 포즈를 취했지요. 정책실장이면 의견을 모아가는 무대를 만들고 자연스레 여론이 형성되는 일을 돕는 형식으로 일을 함이 마땅한데, 그런 과정적 실무의 의무를 망각하고 자신이 대통령위에 있는 것처럼 굴었다는 것.


2. 부동산정책의 희망을 꺽어버린 것.

일전에 잠깐 설명했지만 이해찬총리는 싱가폴이 성공한 유럽형 토지정책을 검토하던 중에 중도하차했는데, 이때 그 정보와 자료가 홍준표에게 새어나가서 '반값아파트'로 변질되어 시중에 퍼져나갔죠. 세간이 관심을 갖는 것은 당연한 것인데, 그걸 아주 조직적으로 뭉개버렸어요. 당시 국토부 관료들 시켜서 말이죠. 그의 정적은 이해찬 홍준표 모두 해당되는가 봅니다. 그때 홍이 변질시켜 주장했던 바는 용적율게임이어서 단점이 많았기 때문에 이를 제대로 바로 잡으면서 검토한다는 자세를 취했으면 토지공개념이 그때부터 진도가 나갔을 터인데, 그게 결과적으로 안되고 비전이 실종된 상태에서 부동산이 폭등한 것이죠. 그가 이쪽분야의 정책을 잘 몰랐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외국에서 성공한 것은 우리도 충분히 성공시킬 능력이 있는데, 이를 좌절시킨 것이죠. 역시 자세가 문제죠. 서민들이 가졌던 희망을 뭉개버린 것.


이 두가지가 제게는 뚜렷한 기억으로 남아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6636
1737 1980년대, 2000년대의 2 사이클 dksnow 2023-05-06 5257
1736 허전함과 뻑적지근함 2 르페 2009-01-16 5256
1735 구글 바드 테스트 image 1 chow 2023-04-21 5252
1734 앞으로 연구방향에 대해서 알림 1 기준님하 2009-07-29 5250
1733 시험문제 3 - 성철과 숭산 15 김동렬 2012-11-13 5243
1732 소수 찾는 방법 8 김동렬 2015-09-26 5224
1731 구조론이 생각하는 '조직관리'가 듣고 싶습니다 3 눈내리는 마을 2009-06-11 5221
1730 토기장이의 비유 3 김동렬 2015-04-30 5218
1729 구조론 팟캐스트 1회 대본 11 오세 2013-06-20 5218
1728 김혜연의 트로트 '뱀이다' 이대로 괜찮은가? 3 수피아 2021-06-15 5217
1727 제프 베조스의 빅 아이디어 image 4 김동렬 2018-07-25 5216
1726 인민사원, 그리고 인간의 비합리성 image 7 김동렬 2014-11-30 5206
1725 [특별기획] 김동렬 인터뷰 01 8 냥모 2013-11-29 5199
1724 [re] 말이 참 많다 1 필부 2008-08-25 5199
1723 서로 다른 관점을 이용하는 방법 1 기준님하 2009-07-25 5197
1722 인간의 짝. 1 아제 2010-05-27 5188
1721 어디서 본 역겨운 글 image 2 김동렬 2013-08-19 5181
1720 섬으로의 고립을 드러내라 눈내리는 마을 2009-03-12 5180
1719 IT혁명의 미래 2 르페 2009-03-18 5177
1718 한국은 세계 5대강국이다. image 4 김동렬 2015-04-15 5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