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조영민
read 5619 vote 0 2010.05.18 (03:55:50)

 




『 영단어 아기처럼 생각하라 』 

네번째 글입니다.  
저작자 표시 비영리 변경 금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Creative Commons License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0.05.18 (10:14:52)

 

skin은 짐승의 털을 깎아서 맨살의 가죽을 노출시킨다는 뜻이 있습니다.
scale과 같은 뿌리인데 section+ cut의 느낌, 
scissors와도 관련된 말

skill, scar, sketch도 사촌.

scale.. 짐승의 털을 자른다(scissors질을 한다) 스케일이 크다는 것은 대범하게 싹둑싹둑 가위질을 해버린다는 뜻.(잘려진 비늘이나 그 비늘을 사용한 천칭접시는 2차적인 의미)

skill..scissors질을 잘 했다. 가위질 하는, 잘라내는 기술이 뛰어나다. (스킬이 있냐? 너도 한 가위 하냐? )

skin.. scissors를 한 결과 노출된 살갗.. 가위질을 했더니 살갗이 노출

scar.. 양털깎는 가위에 긁힌 상처

sketch.. 표면을 대강 긁어서(잘라서) 그림. 가위로 테두리를 오리듯이 그려낸 그림.

중요한 것은 이 대부분의 중심에 '가위'가 있다는 것.
가위는 둘로 가른다는 뜻.

우리나라 사람은 털이 별로 없어서 스킨의 본래 느낌을 잘 모르오.
털북숭이에다 양털깎기가 직업인 게르만족에게 익숙한 단어.

한국인 피부는 항상 그대로이기 때문에 변하지 않는다, 고유하다는 느낌인데
저넘들은 원래 피부가 지랄이라 감춘 것을 드러낸다 혹은 뭔가 변하게 한다는 뜻이 더 강한듯.

한국인은 고유한 정체성을 나타내는 피부를 바꾼다는 것이 이상하지만
그넘들은 원래 그런 넘들이라 당연히 스킨을 바꾸지.

어쨌든 가위로 깎는다(자른다-고로 변화한다)는 느낌이 항상 따라다니오.

[레벨:17]눈내리는 마을

2010.05.18 (10:23:35)

관계로서 받아들이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27]오리

2010.05.18 (14:10:59)

skinhead 는 자연 대머리가 아니라. 가위로 머리를 짧게 깎아서 skinhead 가 보군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033
388 가슴하나에 시크릿 하나씩 image 눈내리는 마을 2010-11-06 5488
387 한국사회 구조조정 1 눈내리는 마을 2009-03-24 5493
386 질문 - 너무 쉽소. 6 김동렬 2013-01-09 5493
385 중국과 한국의 차이 image 김동렬 2015-04-30 5493
384 구조론 부적응 1 아티스 2007-11-18 5499
383 학교폭력예방법의 개정 방향 이상우 2023-05-30 5500
382 역시 보는 눈이 다르다- '자격증' 제도에 대한 칼 로저스의 언급을 중심으로 3 오세 2010-03-05 5507
381 성장통 image 2 눈내리는 마을 2009-04-28 5510
380 GUJORON VS PARTICLE PHYSICS (based on external force) 3 눈내리는 마을 2009-01-23 5514
379 문제 왜 인도인은 이기적인가? 26 김동렬 2013-01-08 5517
378 아우디가 뛰어난 이유 image 김동렬 2013-01-14 5518
377 자발적 노예 17 김동렬 2014-02-17 5518
376 개가 응가할때 사람을 쳐다보는 이유 2 김동렬 2015-12-07 5518
375 구조론을 읽고 김동렬 2009-01-20 5523
374 질문 - 동성애문제 17 김동렬 2013-06-25 5524
373 중국의 몰락원인 3 김동렬 2016-01-11 5531
372 구조론을 적용한 질적 연구방법론 3 오세 2009-07-24 5532
371 진실이 밝혀지는 원리를 묻습니다. 9 양을 쫓는 모험 2010-04-18 5539
370 입체적 사고의 문제 7 김동렬 2013-03-18 5544
369 용력을 과시하는 시골 용사가... 2 읍내리 2009-04-10 5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