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948 vote 0 2018.02.21 (13:35:48)

https://namu.wiki/w/%EB%8D%B0%EC%96%B4%20%EC%9C%8C%20%EB%B9%84%20%EB%B8%94%EB%9F%AC%EB%93%9C#rfn-20


10년 전에 개봉한 영화인데 뒤늦게 다운받아 봤습니다.

나무위키에 결말까지 내용이 상세하게 나오는데 직접 보는게 낫습니다.


무신론자와 광신도의 대결이 재미있네요.

구조론에서 말하는 바 의사결정의 중심이 없이 


상황에 따라 즉흥적으로 행동하는 무신론자는 

언제나 상대방을 이기려고만 하므로 그 상대방이 없으면 의사결정을 못합니다.


사이비 광신도는 거짓말을 하지만 그 광신도 덕에 조금이나마 

석유업자에게 토지를 빼앗기지 않고 지킬 수 있는 가능성을 봤다는 점에서 필요악입니다.


영화에서는 거의 뺏기지만 그래도 조금 저항했다는 점에서 

교회의 존재이유를 알 수 있게 하는 것.


신이 없으면 대니얼처럼 망하고 신을 추종하면 일라이처럼 망합니다.

의사결정이 필요한 모든 지점에 신이 있는 것이며 누구도 그것은 부정할 수 없습니다.


신이 어디까지 개입하는지가 애매할 뿐이며 

개미에게는 신이 개입할 일이 별로 없는 것이며


중요한 의사결정의 지점에는 필연적으로 신이 개입합니다.

신은 사람에 개입하는게 아니라 사건에 개입하는 것이며


커다란 사건을 일으키는 자만이 신을 만날 수 있습니다.

누가 자신을 모욕하고 누가 자신을 괴롭혀야만 


힘을 내는게 무신론자의 약점이죠.

스스로 위대해질 수는 없으며 언제나 안티만 합니다.


스스로 에너지를 조직하고 방향을 제시할 수 있어야 진짜입니다.

인지의신예로 에너지의 유도는 가능합니다.



[레벨:9]Quantum

2018.02.22 (12:15:54)

구조론에서 말하는 바 의사결정의 중심이 없이 


상황에 따라 즉흥적으로 행동하는 무신론자는 

언제나 상대방을 이기려고만 하므로 그 상대방이 없으면 의사결정을 못합니다.


사이비 광신도는 거짓말을 하지만 그 광신도 덕에 조금이나마 

석유업자에게 토지를 빼앗기지 않고 지킬 수 있는 가능성을 봤다는 점에서 필요악입니다.



중요한 의사결정의 지점에는 필연적으로 신이 개입합니다.

신은 사람에 개입하는게 아니라 사건에 개입하는 것이며


커다란 사건을 일으키는 자만이 신을 만날 수 있습니다.



스스로 에너지를 조직하고 방향을 제시할 수 있어야 진짜입니다.

인지의신예로 에너지의 유도는 가능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7796
1397 김우중이 왜 죽일놈인가? 2 김동렬 2014-08-29 4281
1396 맹자의 가르침 image 2 김동렬 2015-11-11 4279
1395 진짜 쉬운 문제 image 5 김동렬 2013-01-12 4279
1394 망하는 길은 버리는 것이 맞다 2 이성광 2012-12-21 4279
1393 바다는 육지다 1 이성광 2012-12-26 4278
1392 김웅용의 도전 2 김동렬 2017-04-08 4276
1391 천경자의 실패 image 2 김동렬 2014-08-19 4270
1390 맥락없는 인공지능 image chow 2022-08-15 4268
1389 당당한 눈빛을 물려주라 - 제민칼럼 12 ahmoo 2013-06-27 4267
1388 제국의 위안부, 무엇이 문제인가? 1 김동렬 2016-01-13 4260
1387 작금의 단상 6 눈내리는 마을 2012-12-21 4259
1386 생각의 정석 123회 1부 당선자 소식 image 5 오세 2016-04-16 4256
1385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5 오리 2022-08-11 4248
1384 왜, 스티브 잡스는 인류의 재앙인가? 2 이성광 2013-01-22 4247
1383 겨루기, 싸우기. 살림, 죽음. ░담 2011-03-20 4242
1382 아타리 쇼크 김동렬 2015-09-07 4241
1381 지하철의 패러독스 image 11 김동렬 2013-02-19 4233
1380 구조론의 마음이론 (논문발췌) 3 오세 2010-11-12 4233
1379 구조론적으로 사고하는 사람 2 김동렬 2014-01-22 4229
1378 내가 나가수를 보는 법 (2) image 1 Beholder 2011-07-09 4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