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2725 vote 0 2018.02.15 (15:07:44)

 

    사건을 끌고 가는 힘은 에너지의 비대칭성이다. 사회에서는 정보의 비대칭성이 권력을 이끌고 가는 힘이 된다. 곧 에너지 낙차다. 두 사람이 하나의 공간을 공유하고 있다면 부부라 하겠다. 두 사람이 토대를 공유한 사실로 인해 대칭을 이룬다. 그러나 실제로는 어느 한 쪽이 에너지를 틀어쥐게 되는 경우가 보통이다.


    하나의 사건 안에서 에너지원은 언제라도 하나이기 때문이다. 이때 평형을 이루려고 하는 힘이 사건을 이끌고 가는 원동력이 된다. 두 사람이 완전히 대등하다면 토대를 공유할 이유가 없다. 그 경우 계는 깨진다. 사건은 중단된다. 부부는 이혼한다. 토대를 공유했을 때 에너지를 독점하기보다 분배하는 것이 유리하다.


    혼자 가면 죽는다. 둘이 가면 산다. 그런데 한 사람이 느리다. 한 사람은 빠르게가는데 다른 한 사람이 뒤로 처진다. 그렇다면 군장을 대신 짊어지고 보조를 맞추는게 낫다. 그러다 지치면 교대로 군장을 짊어진다. 그것이 부부의 의미다. 그렇게 하는게 더 이익이 된다. 여기서 축의 형성과 그 축의 이동이 있는 것이다.


    철학하자. 일체의 희망을 버렸을 때 최후에 남는 것은 게임의 법칙이다. 그것은 상대의 맞대응이다. 그 맞대응 상대가 라이벌을 이룬 어떤 사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환경이다. 당신이 어떤 결정을 하든 거기에 맞게 환경이 대응한다. 그때 사건의 주도권을 쥐지 못하면 강요당한다. 추운 날에 옷을 벗으면?


    당신은 덜덜 떨게 된다. 이가 딱딱 부딪힌다. 그것을 강제당하는 것이다. 당신은 돈을, 행복을, 성공을, 영광을, 명성과 체면을 버릴 수 있지만 단 하나 당신의 의지대로 못하는 것이 있다. 그것은 햇볕이다. 알렉산더가 물었다. ‘디오게네스여! 당신이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나는 뭐든지 그대의 소망을 이루어줄 수 있다네.’


    디오게네스는 말했다. ‘아 춥잖아! 비켜줘. 당신이 지금 커다란 망토자락으로 햇볕을 가리고 있다고.’ 그렇다. 디오게네스는 실천한 철학자다. 그는 돈을, 성공을, 영광을, 명성을, 체면을 모두 버렸다. 자신의 의사결정으로 버린 것이다. 그러나 햇볕 앞에서는 졌다. 그것은 햇볕의 결정이지 디오게네스의 결정이 아니었다.


    이것이 철학자의 비애다. 무엇인가? 인간은 스스로의 의지로 돈을, 성공을, 영광을, 명성을, 승리를, 체면을 버릴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의 의지로 돈을, 성공을, 영광을, 명성을, 승리를, 체면을 빼앗길 수는 없다. 한 번 떠밀리면 계속 떠밀리게 되기 때문이다. 내가 스스로 버릴 수는 있어도 남에게 버려짐을 당할 수는 없다.


    우리는 사건 안의 존재이며 사건 안에는 언제라도 대칭과 비대칭이 작동하고 있고 그 공간에서 토대를 공유하며 에너지를 공급하는 쪽에 서야 한다. 먼저 그 토대를 찾아야 한다. 인간은 모래시계에서 떨어지는 모래알과 같은 존재다. 떠밀려 느닷없이 떨어지지 말고 자신의 뛰어내릴 시점을 스스로 느닷있게 정해야 한다.


    지구의 중력부터 파악해야 한다. 환경을 장악하고 상대를 제압해야 한다. 중력은 지구 중심에 있다. 모든 것의 중심이다. 사건은 거기서부터 시작된다. 사건은 신으로부터 시작된다. 신의 완전성으로부터 시작된다. 그것이 찾아야 할 당신의 이데아다. 플라톤은 개별적인 사물들에서 이데아를 찾았지만 그것은 거기에 없다.


    사과는 사과의 이데아를 가지고 있다든가 하는 것은 없다. 신의 이데아가 당신에게 투사되고 있을 뿐이다. 플라톤과 디오게네스는 앙숙이었다. 플라톤은 거대한 저택에서 귀족으로 살았고 디오네게스는 오크통에서 개처럼 살았다. 디오게네스는 끝내 햇볕을 이기지 못했고 플라톤은 끝내 디오게네스를 이기지 못했다.


    사람을 이기려고 하므로 이기지 못한다. 기승전결의 기에 서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람은 사건따라 가지 사람따라 가지 않는다. 사건을 일으키는 자가 되어야 한다. 이에 에너지가 필요하다. 신을 찾아야 에너지원의 확보는 가능하다. 신을 이기려고 하면 역시 패배한다. 그러므로 이긴다. 신의 반응을 끌어낼 수 있다는 거다.


0.jpg


[레벨:9]Quantum

2018.02.15 (15:52:14)

지구의 중력부터 파악해야 한다. 환경을 장악하고 상대를 제압해야 한다. 중력은 지구 중심에 있다. 모든 것의 중심이다. 사건은 거기서부터 시작된다. 사건은 신으로부터 시작된다. 신의 완전성으로부터 시작된다. 그것이 찾아야 할 당신의 이데아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4295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3982
4509 프레임을 걸어 가둬라! image 김동렬 2017-04-03 12703
4508 긴장과 밸런스 그리고 릴렉스 김동렬 2007-07-13 12702
4507 구조론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7-06-26 12701
4506 어색함을 극복하라 image 1 김동렬 2017-11-22 12695
4505 타짜 - 우리는 하수가 아니다 김동렬 2006-10-08 12694
4504 인간은 권력에 지배된다 image 김동렬 2017-07-20 12691
4503 캐릭터가 필요하다 image 3 김동렬 2018-02-24 12688
4502 아이유와 브리트니 image 3 김동렬 2012-11-14 12687
4501 노예에게 해방은 없다. image 김동렬 2017-11-13 12686
4500 치졸한 동아일보 떨거지새끼들.... <노무현 청와대 50일 분석> 스피릿 2003-04-22 12684
4499 구조론의 이해 image 1 김동렬 2017-06-12 12682
4498 구조론 5분 스피치 image 김동렬 2016-12-14 12681
4497 종교와 신 image 1 김동렬 2018-02-25 12677
4496 방향의 의미 image 2 김동렬 2018-02-03 12677
4495 야심이 없으면 창의도 없다 image 김동렬 2017-12-04 12677
4494 입자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7-06-12 12677
4493 의사결정은 비용을 유발한다 image 김동렬 2017-06-10 12674
4492 구조론 1분 공략 김동렬 2010-01-12 12674
4491 민주당이 죽 쑤는 진짜 이유 image 김동렬 2004-01-28 12674
4490 세상은 구조다. image 1 김동렬 2017-07-31 126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