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 방송






유시민과 역이기
먹물들의 봉건본능.


닫힌계의 이해
언어는 약속이다. 약속 깨면 죽음이다.


세상은 한 방향이다
에너지는 깔때기와 같아서 한 방향으로 쥐어짤 뿐이다.


말이 쉽게 나오면 안 된다
인간은 언제라도 자신의 언어능력에 맞추어 사유를 제한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2018.01.29 (18:54:56)
*.76.176.93

에너지는 수렴방향으로만 간다는 것은 통제권 개념으로 생각하면 되는것 같습니다. 질단계에서는 밖이 안을 통제하지만 입자단계에서는 밖은 배제됩니다. 입자단계에서는 날개 두개다 통제가 가능하지만 힘단계에서는 날개하나는 배제됩니다. 즉 지구 > 선수> 상체 > 팔 > 야구공 으로 가면서 한단계 의사결정이 일어날때마다 통제가능한 영역은 줄어들기만 하게 됩니다. 에너지의 방향성이 확산에서 수렴으로 바뀌면 쪼개기만 가능하기때문이라고도 설명할수 있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8.01.29 (19:29:59)
*.92.147.219

어떤 단계든 밖이 안을 통제할 수 없습니다.

예컨대 엄마가 아기를 임신했다면 아기를 뗄 수 없습니다.


의학기술의 힘을 빌어 임신중절수술을 할 수 있지만 이는 논외고.

밖이 안을 통제한다는 것은 임신하기 전에 피임할 수 있다는 건데 말이 그런 거고


이론적으로는 일수불퇴라서 한 수 물러주고 그런거 없습니다.

밖이 안을 통제한다는 것은 통제하지 못하게 되는 그 자체로 통제한다는 겁니다.


입학하는 순간 부모의 통제권에서 교사의 통제권으로 넘어가는데

그러한 통제권의 이전 그 자체가 일종의 통제라는 거지요.


구조론은 어떤 둘의 사이를 말하므로 용어가 헷갈리는게 사실입니다.

사건이 일어나기 전에 설계할 수 있을 뿐 사건이 일어나면 통제는 불능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2018.01.29 (19:48:35)
*.76.176.93

책에서는 질단계의 축에 관한 내용이 없어서 헸갈렸는데, 제가 이해한 바로는 입자단계 이후부터는 축의 이동혹은

조절이 가능한데 질단계의 안밖대칭은 유일하게 축이 계 밖에 있으므로 밖을 통제할수는 없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다만 밀도차로 인해 닫힌계와 계밖이 분리되는 순간 통제권이 닫힌계로 넘어가는 것이라고 이해하였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1241 11회_2부_대학교수가 정치를 망치는 이유 ahmoo 2016-11-07 3071
1240 5회_2부_추미애 코미디 ahmoo 2016-09-27 3069
1239 조국의 반격 4 김동렬 2021-07-26 3057
1238 윤석열 배후는 사이비 김동렬 2021-06-21 3039
1237 문재인 침묵에 고통받는 조중동 김동렬 2023-06-18 3031
1236 32회_2부_3일치의 법칙 ahmoo 2017-04-03 3025
1235 5회_1부_추석 툭 한마디 비수로 ahmoo 2016-09-23 3022
1234 유희열의 가증스러움 1 김동렬 2022-07-20 3011
1233 35회_1부_김어준 더 플랜 진지하기 없기 1 ahmoo 2017-04-20 3004
1232 39회_1부_광주, 산 자여 노래하라 ahmoo 2017-05-18 3001
1231 36회_2부_심심할 때 씹어주는 강신주 안주 ahmoo 2017-05-01 2986
1230 김경수의 좌절, 이준석의 개그 3 김동렬 2021-07-21 2985
1229 10회_1부_까도 까도 최순실 ahmoo 2016-10-28 2978
1228 제 30회 준비자료 4 김동렬 2017-03-13 2958
1227 6회-1부 새누리 미륵서원 800억 비밀? 솔숲길 2016-10-02 2943
1226 윤석열 어디 아프냐? 김동렬 2021-02-10 2927
1225 38회_1부_갔노라 찍었노라 이겼노라 4 ahmoo 2017-05-13 2923
1224 40회_2부_구조론을 공부하자 ahmoo 2017-05-29 2920
1223 이번 주의 방송 주제 3 김동렬 2016-08-25 2917
1222 33회_1부_5자대결이냐 양자대결이냐? ahmoo 2017-04-06 28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