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무엇보다 통일후 북한땅의 운영을 동시에 생각해야한다.
개성공단이 그동안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특히 토지제도와 그 운영은 평가할만한 모델이다.
이에 대한 시사 IN의 최근 기사가 돋보인다.
"개성공단은 자본주의를 어떻게 가르쳤나" (2018-01-18)
http://m.sisain.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31026
참고로 2004년 제정 발표된 개성공단 부동산규정을 소개하면,
특히 그 속에 지대시장제의 길을 열어 놓았다는 점이 주목된다.
제15조 (토지사용료의 부과 및 면제) 토지리용권을 소유한 자에게는 중앙공업지구지도기관과 개발업자가 해당 토지에 대한 임대차계약을 맺은 날부터 10년이 지난 다음 해부터 토지사용료를 부과한다. 토지사용료의 기준은 중앙공업지구지도기관과 공업지구관리기관이 협의하여 정한다. 개발업자에게는 토지사용료를 부과하지 않는다.

![포인트:37653point (44%), 레벨:20/30 [레벨:2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0.gif)
개성공단의 사례에서 중요한 것은,
1. 토지상속이 안된다는 것.
2. 불로소득이 발생할 여지가 적다는 것
3. 그로 인해 이용권이 전매되는 경우에도 실수요자 위주로 거래 된다는 것
등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