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구조강론-동원력, 역사 이해의 핵심 편에서 가장 높은 단계의 동원 시스템은 문화를 토대로 한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이해했습니다.


조금 어긋나고 생뚱맞을 수도 있으나 저는 로마의 군사 충원 시스템의 한 예가 떠올랐는데요. 적장이었던 한니발이 있었을 당시 그는 당대 전쟁을 가장 잘 수행하는 걸로 인정받았으며 로마군대 역시 전투로서는 그의 적수가 되지 못했다고 하죠. 그렇지만 한니발이 결국 로마에게 패했던 건 죽여도 죽여도 다시 편성되어 쏟아져 나오는 로마군대의 재생력(?) 덕분이었다고 합니다. 


당시 로마는 자국의 병사가 급히 모자르게 될 시, 일명 형제국으로 불렀던 속국의 국민들에게 로마군이 되어 군복무를 하면 인기가 높았던 로마 시민권을 줌으로서 인원을 빠르게 충원시키는 식이었다죠. 이는 로마의 시민권이라는 문화의 질이 심지어 타국(속국이라고는 하더라도)의 국민들까지도 (군사력으로서였지만) 효과적으로 동원한 예라고 볼 수 있을지요?


아니면 로마 시민권은 단지 물적인 이익이 큰 권한이기에 인기가 높았던 것으로만 보아야 할자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8.01.11 (10:45:29)

억지로 끼워맞추려고 하면 안 됩니다.

이런건 역사전문가에게 물어봐야 합니다.


카르타고와 동맹시들이 상당히 느슨한 동맹결합이라면

로마는 보다 중앙집권화 되어 있었다고 봐야지요.


카르타고는 원래 이스라엘 근처에서 이주해 왔는데

카르타고가 멸망하는 상황에도 본국에 상납금을 바쳤다는데


가족적인 유대로 이루어진 특이한 나라로 봐야 할 겁니다.

한니발이 가야연맹 비슷한 관습에 익숙한 나머지


로마의 중앙집권화된 시스템을 이해하지 못했다고 봐야죠.

카르타고는 로마의 압제에 시달리던 도시들을 해방시켰는데


해방된 도시들은 감사하기는 커녕 시큰둥했다는데

그 사이에 많은 변화가 있었던 겁니다.


상업도시에서 상당부분 농업국가로 변신했다거나

농업국가들이 원래 동원력이 높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7]현강

2018.01.11 (11:15:23)

감사합니다 동렬님.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4892 구조론 목요 모임(6시로 앞당깁니다) image 1 오리 2019-09-12 1513
4891 윤석열은 문무일보다 쎄다. 스마일 2019-09-10 2251
4890 오늘 오전 11시 충무로 영화표 드림 image 수피아 2019-09-10 1419
4889 정경심 동양대 교수가 배포한 입장문 1 수원나그네 2019-09-09 2756
4888 궁금한 것 하나 2 수원나그네 2019-09-08 1853
4887 계백장군이 생각나네 해안 2019-09-08 1669
4886 사이 좋은 세 나라 image 르네 2019-09-06 2519
4885 청문회를 왜 하니? 해안 2019-09-05 1671
4884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오리 2019-09-05 1369
4883 E3 = Entangle(얽힘), Engulf(삼킴), Enslave(예속) 2 kilian 2019-09-05 1519
4882 사학비리와 검찰부패의 추억 수원나그네 2019-09-04 1441
4881 공부란 무엇인가 말시인 2019-09-02 1714
4880 한국탈핵에너지학회 창립준비 웹진 공유 수원나그네 2019-09-01 1347
4879 윤석열 검찰 총장님?! 2 해안 2019-09-01 1945
4878 장염으로 이틀 째 집에서 누워있는데 반 아이가 전화했을 때 이상우 2019-08-29 1879
4877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오리 2019-08-22 1406
4876 지몬 비젠탈 초청에 대한 의견을 묻습니다. 2 수원나그네 2019-08-21 2270
4875 모스크바!! 3 아나키(÷) 2019-08-21 1479
4874 구조론 광복절모임(6시 반으로 앞당깁니다) image 오리 2019-08-15 1569
4873 블록체인 기반 백과사전 에브리피디아 한국지사 활동. 4 mowl 2019-08-12 18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