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1677 vote 0 2017.12.15 (17:10:54)

       

    구조론은 세상이 구조로 되어 있다는 좋은 소식이다. 그래서? 통제가능하다. 구조는 얽힘이고 얽힌건 풀면 되니까. 구조가 아니면 원자다. 뉴턴에 의하면 원자는 관통되지도 않고 나눠지지도 않는다고 한다. 세상이 원자와 같이 견고한 알갱이로 되어 있다면 곤란하다.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풀리지 않는다.


    사과는 사과다. 사과를 배로 바꿀 수 없다.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원자는 나눌 수 없고 관통할 수 없으니까. 통제불가능이다. 우리를 좌절하게 한다. 그런데 왜 뉴턴은 그런 좌절을 우리에게 안겨주었을까? 신을 믿었으니까. 뉴턴은 별수 없는 기독교인이었다. 그런건 하느님이 어련히 알아서 챙기겠냐고.


    우리는 세상을 원자 알갱이의 집합으로 배웠다. 여기서 우리는 원자의 알갱이됨에만 주목하고 뒤에 붙는 집합은 대략 건너뛴다. 집합? 수학이잖아. 수학이야 뭐 수학자들이 알아서 하겠지. 신경 끈다. 그러나 집합이 핵심이다. 거꾸로 보자. 세상은 알갱이의 집합이 아니라 집합의 알갱이다. 집합이 먼저다.


    알갱이가 모여서 집합이 되는게 아니라 집합이 깨져서 알갱이가 드러난다. 세상은 널리 집합되어 있다. 어떻게? 구조다. 구조론은 세상을 알갱이의 집합이 아니라 집합의 알갱이로 보는 관점이다. 바람이 부는게 아니라 부는 그것이 바람이다. 바람은 머리에 잘 들어오는데 부는 것이라고 말하면 헷갈린다.


    원자는 머리에 잘 들어오는데 집합은 헷갈린다. 세상은 에너지로 되어 있다. 구조의 얽힘 그것이 에너지다. 얽혀서 집합된다. 수학의 출발점이 집합론인데 그 집합론을 건너뛰고 수학을 하니 세상이 이 모양이 되었다. 집합과 원소 사이에 무엇이 있나? 구조가 있다. 여기서 안에 있느냐 밖에 있느냐가 중요하다.


    원소는 가만있는데 외부의 어떤 힘이 와서 집합을 시켜주는게 보통이다. 가만 있어도 엄마가 학교에 입학시켜준다. 가만 있어도 벽돌공이 모르타르를 발라서 벽돌을 쌓아준다. 그럴 리가 없잖아. 스스로 도와야 한다. 벽돌은 스스로 쌓여야 한다. 진학도 스스로 결정하고 입사도 자기 힘으로 해내야 한다.


    그러려면 에너지는 내부에 있어야 한다. 내부에 있으면 관통되고 통제된다. 벽돌은 앞뒤구분이 없다. 대충 쌓으면 된다. 모르타르가 외부에 있으니까. 레고블럭은 그렇지 않다. 요와 철이 방향이 맞아야 한다. 의사결정이 내부에서 일어나기 때문이다. 레고를 판매할 때 처음부터 그림을 맞춰서 판매한다.


    그러므로 집합이 깨져서 원소가 된다.


0.jpg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21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081
2792 에너지로 보라 image 김동렬 2018-05-15 9774
2791 상대성이론과 구조론 image 김동렬 2018-05-16 10187
2790 자기소개 하지마라 image 2 김동렬 2018-05-16 11746
2789 기사도와 선비정신 image 1 김동렬 2018-05-18 10229
2788 삶의 의미는 미학에 있다. image 1 김동렬 2018-05-18 11059
2787 확실한 이야기 image 1 김동렬 2018-05-21 9831
2786 석가의 침묵 image 1 김동렬 2018-05-22 10698
2785 천하의 질문에 답해야 한다. image 1 김동렬 2018-05-24 9645
2784 문재인의 선비도 image 김동렬 2018-05-25 10361
2783 여자가 잘해야 한다 image 1 김동렬 2018-05-27 10282
2782 사과 안에는 사과가 없다. image 김동렬 2018-05-28 9239
2781 역학으로 본 진보와 보수 image 김동렬 2018-05-29 9330
2780 부분의 합은 전체보다 작다. image 2 김동렬 2018-05-29 8930
2779 날아가는 총알을 다른 총알로 맞춰서 밀어주기 김동렬 2018-05-30 9316
2778 작더라도 전체를 먼저 완성해야 한다. 2 김동렬 2018-05-30 9510
2777 나쁜 사람은 있다 김동렬 2018-05-31 9519
2776 약자를 격동시켜라. 김동렬 2018-06-01 8834
2775 에너지는 수렴된다 1 김동렬 2018-06-01 8700
2774 강자의 철학으로 갈아타라 김동렬 2018-06-02 10007
2773 바람은 불지 않는다 김동렬 2018-06-03 85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