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1959 vote 0 2017.11.02 (18:45:36)

 

   에너지는 맞선다.

   
    세상이 에너지로 되어 있다는건 참으로 좋은 소식이다. 누구든 컴퓨터 자판을 두들겨 자기 우주를 창조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세상을 통제하는 것은 게임이다. 세상은 양자역학적 확률에 지배되지만 게임은 확률이 낮은 것을 제껴버린다. 양자역학의 여러 현상은 인간을 당혹하게도 하고 혹은 황홀하게도 한다. 양자역학은 기계처럼 톱니가 딱딱 들어맞는 우주관을 깨부수고 물처럼 부드러운 세계관을 제시하지만, 그 부드러운 물이 기계보다 더 정확하게 돌아간다는 아이러니.


    세상은 절대주의 기계론에서 확률적인 상대론으로 갔다가 다시 확실한 기계론으로 돌아가는 것이며 그 기계는 업그레이드된 기계다. 불확실한 확률이 기계보다 더 정확하며 오히려 기계를 넘어선다. 그게 게임이다.


    기계론으로 가면 한국팀은 절대 축구로 브라질팀을 이길 수 없다. 손흥민은 메시를 절대 이길 수 없다. 확률론으로 가면 혹시 한번쯤 기적이 일어나 한국이 브라질을 이길 수 있지 않을까? 아니다. 못 이긴다. 그게 게임의 법칙이다. 기계는 어쩌다 고장날 수 있지만 게임은 고장나지 않는다.


    한국팀과 브라질팀이 붙으면 도박사들은 브라질팀에 베팅한다. 브라질의 승리가 결정된다. 배심원들의 판단을 참고하면 혹은 숙의민주주의를 하면 이상한 결과가 나오지 않을까? 천만에! 안 나온다. 배심원 중에 이상한 넘이 끼어 있어서 살인왕 심슨이 무죄를 받는 사태가 일어나지 않을까? 안 일어난다. 배심원 숫자를 충분히 늘려두기 때문이다.


    세상을 게임으로 이해하는 세계관을 얻어야 한다. 맞대응이다. 우리는 진보나 보수를 기차 철로처럼 궤도를 선택하는 것으로 여긴다. 그런게 아니다. 게임은 집요하게 맞대응한다. 상대가 어떤 선택을 하든 내가 따라가며 대응한다. 진보는 집요하게 대응하는 것이다. 에너지가 센 쪽이 이긴다. 진보는 젊고 젊은이는 에너지가 세므로 이기는 것이다.


    진보는 평화를 선택하고 보수는 전쟁을 선택한다는 식으로 선택한다는 관점은 양자역학적 이해가 아니다. 에너지의 이해가 아니다. 진보는 대응한다. 정은이 전쟁으로 나오면 전쟁으로 맞대응한다. 진보가 전쟁을 회피하지 않는다. 옳고 그름으로 판단하는게 아니라 에너지로 판단한다.


    진보의 답은 에너지의 통제가능성이다. 무엇인가? 재벌도 통제되어야 하고 군부도 통제되어야 하고 뭐든 통제되어야 한다는게 진보다. 무작정 자유를 외치는 게 아니라 존엄을 해치지 않는 한도 안에서 자유는 통제되어야 한다. 차별할 자유, 깽판칠 자유, 일베충 자유는 없다.


    진보는 평화도 통제하고 전쟁도 통제한다. 전쟁을 통제한 결과 평화를 얻는 거지 전쟁을 회피하고 도망쳐서 평화를 얻는게 아니다. 완전히 다른 관점, 다른 세상이 열린다. 그 신세계로의 항해는 즐겁다.


   0.jpg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24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050
2690 사랑의 정석 20회 1 김동렬 2015-12-28 4932
2689 수렴과 확산 4 김동렬 2019-08-27 4930
2688 사랑의 정석 7회 1 김동렬 2015-12-08 4929
2687 사랑 90, 사실주의가 답이다 image 1 김동렬 2016-04-05 4928
2686 사랑의 정석 38, 깨달음은 1인칭 image 1 김동렬 2016-01-22 4928
2685 주체의 관점을 획득하라 1 김동렬 2019-06-26 4924
2684 척력은 대칭이다 1 김동렬 2019-04-12 4923
2683 세상은 에너지의 우위로 작동한다 image 김동렬 2015-11-08 4922
2682 사랑의 정석 9회 image 4 김동렬 2015-12-10 4919
2681 일본몰락 국힘추락 4 김동렬 2021-08-10 4918
2680 사랑의 정석 8회 image 1 김동렬 2015-12-09 4916
2679 오생만물 image 1 김동렬 2015-11-06 4915
2678 인질범의 승리 4 김동렬 2018-09-06 4914
2677 사랑 74, 새로운 세계로 image 1 김동렬 2016-03-15 4910
2676 사랑의 정석 34, 합리적인 선택 1 김동렬 2016-01-18 4908
2675 수학자의 세계관 1 김동렬 2020-09-07 4904
2674 정신 못 차린 한국인들 2 김동렬 2024-02-15 4899
2673 다섯개의 모형 image 김동렬 2015-11-04 4892
2672 귀납은 없다 1 김동렬 2019-08-22 4891
2671 마음의 변화 2 김동렬 2019-03-20 48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