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1970 vote 0 2017.11.02 (18:45:36)

 

   에너지는 맞선다.

   
    세상이 에너지로 되어 있다는건 참으로 좋은 소식이다. 누구든 컴퓨터 자판을 두들겨 자기 우주를 창조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세상을 통제하는 것은 게임이다. 세상은 양자역학적 확률에 지배되지만 게임은 확률이 낮은 것을 제껴버린다. 양자역학의 여러 현상은 인간을 당혹하게도 하고 혹은 황홀하게도 한다. 양자역학은 기계처럼 톱니가 딱딱 들어맞는 우주관을 깨부수고 물처럼 부드러운 세계관을 제시하지만, 그 부드러운 물이 기계보다 더 정확하게 돌아간다는 아이러니.


    세상은 절대주의 기계론에서 확률적인 상대론으로 갔다가 다시 확실한 기계론으로 돌아가는 것이며 그 기계는 업그레이드된 기계다. 불확실한 확률이 기계보다 더 정확하며 오히려 기계를 넘어선다. 그게 게임이다.


    기계론으로 가면 한국팀은 절대 축구로 브라질팀을 이길 수 없다. 손흥민은 메시를 절대 이길 수 없다. 확률론으로 가면 혹시 한번쯤 기적이 일어나 한국이 브라질을 이길 수 있지 않을까? 아니다. 못 이긴다. 그게 게임의 법칙이다. 기계는 어쩌다 고장날 수 있지만 게임은 고장나지 않는다.


    한국팀과 브라질팀이 붙으면 도박사들은 브라질팀에 베팅한다. 브라질의 승리가 결정된다. 배심원들의 판단을 참고하면 혹은 숙의민주주의를 하면 이상한 결과가 나오지 않을까? 천만에! 안 나온다. 배심원 중에 이상한 넘이 끼어 있어서 살인왕 심슨이 무죄를 받는 사태가 일어나지 않을까? 안 일어난다. 배심원 숫자를 충분히 늘려두기 때문이다.


    세상을 게임으로 이해하는 세계관을 얻어야 한다. 맞대응이다. 우리는 진보나 보수를 기차 철로처럼 궤도를 선택하는 것으로 여긴다. 그런게 아니다. 게임은 집요하게 맞대응한다. 상대가 어떤 선택을 하든 내가 따라가며 대응한다. 진보는 집요하게 대응하는 것이다. 에너지가 센 쪽이 이긴다. 진보는 젊고 젊은이는 에너지가 세므로 이기는 것이다.


    진보는 평화를 선택하고 보수는 전쟁을 선택한다는 식으로 선택한다는 관점은 양자역학적 이해가 아니다. 에너지의 이해가 아니다. 진보는 대응한다. 정은이 전쟁으로 나오면 전쟁으로 맞대응한다. 진보가 전쟁을 회피하지 않는다. 옳고 그름으로 판단하는게 아니라 에너지로 판단한다.


    진보의 답은 에너지의 통제가능성이다. 무엇인가? 재벌도 통제되어야 하고 군부도 통제되어야 하고 뭐든 통제되어야 한다는게 진보다. 무작정 자유를 외치는 게 아니라 존엄을 해치지 않는 한도 안에서 자유는 통제되어야 한다. 차별할 자유, 깽판칠 자유, 일베충 자유는 없다.


    진보는 평화도 통제하고 전쟁도 통제한다. 전쟁을 통제한 결과 평화를 얻는 거지 전쟁을 회피하고 도망쳐서 평화를 얻는게 아니다. 완전히 다른 관점, 다른 세상이 열린다. 그 신세계로의 항해는 즐겁다.


   0.jpg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34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307
2695 엔트로피는 언제나 증가한다. 3 김동렬 2018-09-03 5846
2694 엔트로피의 의미 5 김동렬 2018-09-04 5475
2693 엔트로피를 이겨라 4 김동렬 2018-09-05 4516
2692 인질범의 승리 4 김동렬 2018-09-06 4931
2691 천재를 모방하자 2 김동렬 2018-09-08 6563
2690 엔트로피를 정복하라 김동렬 2018-09-09 4424
2689 엔트로피는 축의 제거다 1 김동렬 2018-09-10 4437
2688 보배드림 성추행 사건의 경우 12 김동렬 2018-09-11 5885
2687 삼권분립을 생각하자 김동렬 2018-09-12 4215
2686 질을 이해하라 4 김동렬 2018-09-12 4733
2685 천재의 방법을 모방하라 김동렬 2018-09-15 4657
2684 왜 엔트로피인가? 김동렬 2018-09-17 4157
2683 인간은 계발된 존재다 5 김동렬 2018-09-18 4444
2682 아이디어를 버려라 김동렬 2018-09-18 4404
2681 비오는 날의 동화 3 김동렬 2018-09-19 4226
2680 단순한 것에 답이 있다 4 김동렬 2018-09-19 4462
2679 고수는 단순한 것으로 이긴다 김동렬 2018-09-20 4693
2678 인간은 잘 속는 동물이다 1 김동렬 2018-09-20 4329
2677 엔트로피를 정복하라 김동렬 2018-09-21 4105
2676 힘과 운동에 대하여 2 김동렬 2018-09-21 4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