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2169 vote 0 2017.10.18 (19:31:42)

     

    원자, 입자, 전자, 양성자, 중성자, 소립자, 양자의 자는 무엇인가? 자는 단위다. 그것은 인식의 단위다. 통제의 단위가 된다. 존재의 단위를 이룬다. 존재하는 것은 반응하는 것이다. 반응의 반은 반대로 움직여 호응하는 것이다. 거기서 의사결정한다. 대칭을 세우는 것이다. 반응하는 것은 호응하므로 통제가능하다.


    개입할 수 있다. 조작할 수 있다. 문제는 인간이 그 존재하는 대상을 통제하는 것이 아니라 존재 스스로가 자기 자신을 통제한다는 점이다. 몸을 가눈다는 거다. 어떤 형태를 유지한다. 어떤 위치를 점유한다. 외력의 작용에는 일정하게 반응한다. 그 과정에서 구조가 깨지지 않는다. 그 자리에 그대로 버텨내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것을 지칭하여 가리킬 수 있다. 그러므로 그것이 존재자인 것이다. 현재상태를 유지하는 성질이 관성이다. 질량은 그 현재상태를 변경하는데 드는 비용이다. 질량을 가진 자연의 어떤 존재자는 반드시 그 상태를 유지하는 관성력이 걸려 있으며 새로운 의사결정은 반응하는 형태로 방향전환을 한다.


    방향전환은 관성력의 상실을 야기하므로 무조건 손해가 일어나는데 그 손해행동에 따른 2차손해가 일어난다. 관성력의 상실로 1차 손실을 보고 방향전환하면서 반응관성이 발생하므로 반응관성의 상실에 따른 2차손실을 보므로 모든 의사결정은 반드시 2회에 걸친 손실을 유발한다. 그렇게 상실된 부분은 계를 이탈한다.


    그 이탈한 부분을 환원하여 질량보존을 확인하려면 닫힌계를 새로 지정해야 하는데 자투리들이 이탈하여 밖으로 나갔으므로 닫힌계의 재지정은 범위가 커진다. 공간적인 범위가 커지는 만큼 비용이 추가된다. 비용문제 때문에 자연은 언제라도 마이너스 일방향으로만 가므로 적절히 통제된다. 어떤 존재자는 자기통제한다.


    양자화된다는 것은 그러한 자기통제구조를 가진다는 것이다. 그것은 대칭과 호응이다. 외력에 대해 대칭되며 그 구조를 복제하여 자기 내부에도 축을 중심으로 대칭되고 그 축을 이동시켜가며 지속적으로 대칭을 생성한다. 최종적으로는 열의 형태로 일부 에너지 손실을 일으킨다. 그 과정은 최대한 효율적인 방향의 진행이다.


    비효율은 비용을 추가하게 하며 닫힌계의 지정에 의해 사건이 격발된 후는외력의 차단을 전제로 하므로 가장 효율적인 형태로 진행할 수밖에 없다. 내부에서 부단히 대칭을 만들어 최소비용으로 자기존재를 유지하게 하는 진행이 가장 효율적인 형태의 진행이다. 존재는 5회에 걸친 대칭을 조직하여 사건을 진행시킨다.



00.jpg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2600 대중과의 소통은 가능한가? 김동렬 2006-06-27 12008
2599 참다운 삶을 찾고자 한다면 image 2 김동렬 2011-12-01 12009
2598 모든 이야기의 어머니 이야기 image 3 김동렬 2018-02-02 12022
2597 마음의 탄생 image 11 김동렬 2010-10-20 12024
2596 깨달음의 구조 image 2 김동렬 2011-02-18 12024
2595 인, 지, 의, 신, 예 image 2 김동렬 2018-02-20 12024
2594 돈오점수는 없다. image 9 김동렬 2012-11-06 12033
2593 구조론 간단하게 김동렬 2007-07-30 12036
2592 세상은 한 방향이다 image 2 김동렬 2018-01-22 12038
2591 선택하지 말고 대응하라 image 6 김동렬 2018-04-13 12041
2590 구조는 짜임새다 image 김동렬 2018-01-04 12041
2589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 image 7 김동렬 2011-11-10 12045
2588 구조주의 역사 김동렬 2008-06-25 12046
2587 왜 공자가 스승인가? image 2 김동렬 2017-12-22 12046
2586 구조론의 교육사상 image 2 김동렬 2018-01-11 12046
2585 인간은 왜 거래하는가? image 6 김동렬 2017-12-22 12050
2584 만남 사랑 결혼 image 10 김동렬 2011-11-07 12051
2583 빅뱅 이전에 무슨 일이 image 1 김동렬 2017-11-04 12051
2582 김기덕의 빈집을 본 특별한 소수인 당신을 위하여 김동렬 2004-10-18 12052
2581 남의 시소에서 내려오라. image 4 김동렬 2011-12-12 12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