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127 vote 1 2017.09.29 (10:26:43)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296&aid=0000016863&sid1=001


다중우주니 평행우주니 해서 

얄궂은 소리 하는 과학자가 몇 있는가 봅니다.


제법 명성을 얻은 과학자 중에도 

맞는 말 하면서 살짝살짝 엉뚱한 이야기를 끼워넣어 


농담처럼 조금씩 낭설을 퍼뜨려서 야금야금 먹어들어가는 전술로

요즘은 꽤 자연스러워졌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슈뢰딩거의 고양이를 차용해서 인간이 죽으면 

양자적으로 반은 죽고 반은 살아있는데 죽은 반은 지워지고 


살아있는 반은 계속 살아있다는 말도 안 되는 주장을 태연하게 한다고.

슈뢰딩거의 고양이식 자살을 여러번 반복하여 실험하는데 


자신이 계속 살아있으면 다중우주설이 증명된 거라고. 

이런 설이 음지에서 세를 확장하고 있는 모양이지만 양지로 나오면 죽습니다.


위 링크한 기사는 구조론적으로 전혀 근거없는 이야기입니다. 

인간은 거의 매일 매초 매 순간 무수히 죽습니다. 


뇌 속에서 기억이 지워지는 만큼 죽은 거죠.

어제 일이 기억나지 않으면 그 만큼 죽은 것입니다.


무수히 반복하여 죽던 사람의 마지막 죽음에 대해 

특별히 의미부여할 이유는 없습니다. 


그것은 죽음을 겁내도록 세팅되어 있는 동물의 본능에 불과합니다. 

유전자의 명령을 충실하게 따르는 거지요.


늘 말하듯이 자연스럽게 본능을 따라가면 안 됩니다.

약자를 짓밟고 타자를 차별하고 살인을 저지르는 것은 원시의 본능입니다.


원시 유전자는 100명 이하 소집단에 맞춰져서 현대인의 삶과 맞지 않습니다.

현대인은 유전자의 금지선을 넘어 미지의 세계로 들어간 것입니다.


본능을 따라가면 안 되고 교육받은대로 이성을 따라가야 합니다.

죽음의 두려움은 본능이지만 인간은 그것을 극복해야 합니다.


나라는 것이 없으므로 나의 죽음도 없는 것입니다.

그러나 나의 존재를 인정하면 그 나는 반드시 죽습니다. 


강물이 바다로 돌아가면 강물은 죽는 것입니다. 

죽지 않는 것은 바다지요.


인간은 신에서 떨어져나온 조각이며

죽어서 신으로 돌아가는 것이며


나라고 불리는 그것은 반드시 죽습니다.

그것은 본래 무에서 나왔으므로 무로 돌아갑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6294
875 인간의 행위동기는? image 5 김동렬 2014-08-21 4437
874 들뢰즈의 아장스망과 구조론 4 르페 2014-08-21 4556
873 천경자의 실패 image 2 김동렬 2014-08-19 4262
872 1인칭 주체적 관점의 예 image 6 김동렬 2014-08-19 3897
871 생각의 정석 48회 오세 2014-08-14 2738
870 [제민포럼]스스로 결정할 줄 아는 사람으로 키우자 image 1 ahmoo 2014-08-13 2723
869 과학에 대한 재미있는 통찰 7 김동렬 2014-08-12 3473
868 생각의 정석 47회 1 오세 2014-08-07 2839
867 아이의 거짓말 김동렬 2014-08-06 3294
866 소실점을 찾아보기 image 4 김동렬 2014-08-03 3395
865 근대과학의 실패 image 김동렬 2014-08-01 3066
864 과학자의 잘못된 해석 image 김동렬 2014-07-31 3026
863 생각의 정석 46회 오세 2014-07-31 2796
862 장자의 관점에 대해 논하시오. image 5 김동렬 2014-07-30 4148
861 구조론 생각의 정석 45회 image 오세 2014-07-25 2704
860 확증편향의 예 1 김동렬 2014-07-23 3945
859 아는 사람의 딜레마 2 김동렬 2014-07-22 3468
858 시간과 벌 image 4 김동렬 2014-07-20 3772
857 구조론은 바둑이다 5 김동렬 2014-07-19 4064
856 인간 미학에 대한 한가지 정의 1 눈내리는 마을 2014-07-19 2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