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108 vote 1 2017.09.29 (10:26:43)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296&aid=0000016863&sid1=001


다중우주니 평행우주니 해서 

얄궂은 소리 하는 과학자가 몇 있는가 봅니다.


제법 명성을 얻은 과학자 중에도 

맞는 말 하면서 살짝살짝 엉뚱한 이야기를 끼워넣어 


농담처럼 조금씩 낭설을 퍼뜨려서 야금야금 먹어들어가는 전술로

요즘은 꽤 자연스러워졌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슈뢰딩거의 고양이를 차용해서 인간이 죽으면 

양자적으로 반은 죽고 반은 살아있는데 죽은 반은 지워지고 


살아있는 반은 계속 살아있다는 말도 안 되는 주장을 태연하게 한다고.

슈뢰딩거의 고양이식 자살을 여러번 반복하여 실험하는데 


자신이 계속 살아있으면 다중우주설이 증명된 거라고. 

이런 설이 음지에서 세를 확장하고 있는 모양이지만 양지로 나오면 죽습니다.


위 링크한 기사는 구조론적으로 전혀 근거없는 이야기입니다. 

인간은 거의 매일 매초 매 순간 무수히 죽습니다. 


뇌 속에서 기억이 지워지는 만큼 죽은 거죠.

어제 일이 기억나지 않으면 그 만큼 죽은 것입니다.


무수히 반복하여 죽던 사람의 마지막 죽음에 대해 

특별히 의미부여할 이유는 없습니다. 


그것은 죽음을 겁내도록 세팅되어 있는 동물의 본능에 불과합니다. 

유전자의 명령을 충실하게 따르는 거지요.


늘 말하듯이 자연스럽게 본능을 따라가면 안 됩니다.

약자를 짓밟고 타자를 차별하고 살인을 저지르는 것은 원시의 본능입니다.


원시 유전자는 100명 이하 소집단에 맞춰져서 현대인의 삶과 맞지 않습니다.

현대인은 유전자의 금지선을 넘어 미지의 세계로 들어간 것입니다.


본능을 따라가면 안 되고 교육받은대로 이성을 따라가야 합니다.

죽음의 두려움은 본능이지만 인간은 그것을 극복해야 합니다.


나라는 것이 없으므로 나의 죽음도 없는 것입니다.

그러나 나의 존재를 인정하면 그 나는 반드시 죽습니다. 


강물이 바다로 돌아가면 강물은 죽는 것입니다. 

죽지 않는 것은 바다지요.


인간은 신에서 떨어져나온 조각이며

죽어서 신으로 돌아가는 것이며


나라고 불리는 그것은 반드시 죽습니다.

그것은 본래 무에서 나왔으므로 무로 돌아갑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208
873 시대전환: 개발에서 관리의 시대로 1 dksnow 2022-07-20 4012
872 진보는 출세한다 2 담 |/_ 2012-12-27 4021
871 심심풀이 구조론 문제 20 김동렬 2013-02-26 4022
870 창의성이란 무엇인가? image 18 김동렬 2015-03-03 4023
869 남매간의 사랑은 가능한가? 김동렬 2018-02-04 4023
868 before sunset vs before sunrise 4 눈내리는 마을 2011-02-19 4024
867 디자인과 파인아트의 차이 5 양을 쫓는 모험 2011-11-30 4025
866 생각의 정석 117회 -알파고 특집 3 오세 2016-03-12 4026
865 티라노의 발목 image 1 김동렬 2017-10-26 4027
864 사랑은 강박장애 image 1 김동렬 2016-11-13 4032
863 동생과 오빠 image 김동렬 2016-07-20 4042
862 감기교육 - 제민칼럼 4 ahmoo 2013-04-18 4043
861 구조론은 바둑이다 5 김동렬 2014-07-19 4046
860 페이스북에서 퍼온 역겨운 글 1 김동렬 2013-04-18 4049
859 선이 굵으면 좋은 디자인 image 1 김동렬 2013-12-15 4050
858 질문입니다. 2 마법사 2009-07-13 4054
857 계산에서 진법으로.. 5 아제 2011-01-10 4055
856 천국은 이 지상에 없다 (소극적 결론) dksnow 2022-08-18 4056
855 상호작용에 따른 모듈진화의 증거 image 김동렬 2013-12-02 4058
854 천재를 죽이는 이유 1 이성광 2013-01-15 40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