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123 vote 1 2017.09.29 (10:26:43)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296&aid=0000016863&sid1=001


다중우주니 평행우주니 해서 

얄궂은 소리 하는 과학자가 몇 있는가 봅니다.


제법 명성을 얻은 과학자 중에도 

맞는 말 하면서 살짝살짝 엉뚱한 이야기를 끼워넣어 


농담처럼 조금씩 낭설을 퍼뜨려서 야금야금 먹어들어가는 전술로

요즘은 꽤 자연스러워졌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슈뢰딩거의 고양이를 차용해서 인간이 죽으면 

양자적으로 반은 죽고 반은 살아있는데 죽은 반은 지워지고 


살아있는 반은 계속 살아있다는 말도 안 되는 주장을 태연하게 한다고.

슈뢰딩거의 고양이식 자살을 여러번 반복하여 실험하는데 


자신이 계속 살아있으면 다중우주설이 증명된 거라고. 

이런 설이 음지에서 세를 확장하고 있는 모양이지만 양지로 나오면 죽습니다.


위 링크한 기사는 구조론적으로 전혀 근거없는 이야기입니다. 

인간은 거의 매일 매초 매 순간 무수히 죽습니다. 


뇌 속에서 기억이 지워지는 만큼 죽은 거죠.

어제 일이 기억나지 않으면 그 만큼 죽은 것입니다.


무수히 반복하여 죽던 사람의 마지막 죽음에 대해 

특별히 의미부여할 이유는 없습니다. 


그것은 죽음을 겁내도록 세팅되어 있는 동물의 본능에 불과합니다. 

유전자의 명령을 충실하게 따르는 거지요.


늘 말하듯이 자연스럽게 본능을 따라가면 안 됩니다.

약자를 짓밟고 타자를 차별하고 살인을 저지르는 것은 원시의 본능입니다.


원시 유전자는 100명 이하 소집단에 맞춰져서 현대인의 삶과 맞지 않습니다.

현대인은 유전자의 금지선을 넘어 미지의 세계로 들어간 것입니다.


본능을 따라가면 안 되고 교육받은대로 이성을 따라가야 합니다.

죽음의 두려움은 본능이지만 인간은 그것을 극복해야 합니다.


나라는 것이 없으므로 나의 죽음도 없는 것입니다.

그러나 나의 존재를 인정하면 그 나는 반드시 죽습니다. 


강물이 바다로 돌아가면 강물은 죽는 것입니다. 

죽지 않는 것은 바다지요.


인간은 신에서 떨어져나온 조각이며

죽어서 신으로 돌아가는 것이며


나라고 불리는 그것은 반드시 죽습니다.

그것은 본래 무에서 나왔으므로 무로 돌아갑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5876
» 죽음의 이해 김동렬 2017-09-29 3123
1314 우리가 달의 한쪽 면만 보는 이유 7 이금재. 2021-10-28 3128
1313 일의 연속성 눈마 2016-07-26 3129
1312 갑을정리 3 담 |/_ 2014-06-03 3134
1311 생각의 정석 24회 오세 2014-01-29 3140
1310 생각의 정석 18회 오세 2013-12-05 3140
1309 생각의 정석 68회 2 오세 2015-02-28 3143
1308 생각의 정석 99회 오세 2015-11-01 3146
1307 고민이다, 고민이 아니다 -안현진 관리자* 2012-10-21 3151
1306 철수의 생각 -오세 관리자* 2012-10-21 3151
1305 생각의 정석 30회 1 오세 2014-03-20 3153
1304 인공지능이란 무엇인가? 이금재. 2021-05-17 3154
1303 중간 점검 dksnow 2022-09-09 3154
1302 사이를 뚫고 나가기. 10 아제 2014-05-21 3158
1301 어린이를 존중해야 선진국이다 - 제민포럼 1 ahmoo 2014-04-14 3158
1300 구조진화론 image 1 오세 2016-07-11 3159
1299 복권 당첨~! 1 아제 2012-11-10 3163
1298 생각의 정석 104회 오세 2015-12-15 3163
1297 현 시대에 관한 개인적일 수 있는 생각들.. SimplyRed 2022-10-29 3163
1296 생각의 정석 26회 1 오세 2014-02-12 3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