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18]챠우
read 2166 vote 0 2017.09.25 (01:32:14)

http://newspeppermint.com/2014/08/19/mlanguage/?utm_source=related_news&utm_medium=inner&utm_campaign=yarpp


두 언어를 사용하는 많은 이들은 자신들에게 모국어가 더 감정을 일으킨다고 말합니다.

즉 이들은 “외국어 효과”에 의해 감정적 영역을 덜 활성화 시킨 것입니다.


기사 내용으로 추정컨데, 타국어를 사용하면 감정을 쉽게 표현하지 못한다기 보다는

인간은 타국어를 사용하면, 객관적인 판단을 하는 경향이 나타나는데, 

이는 화자가 자신을 사건에 개입시키지 않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봅니다. 

말그대로 객관적인 판단을 하는 거죠. 


기사에서 말하는 "감정적 영역"은 나와 남을 구분하는 영역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 

인간은 다른 언어를 사용하면 당연히 남이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서울에서 지방 사투리를 쓰는 사람들끼리 자연스럽게 친해지는 것도 이런 이치죠. 


미국의 기업가 중에는 외국인이 좀 있는데, 

이게 가능한 이유는 그들이 타자이기 때문에,

객관적인 혹은 냉정한 판단을 할 수 있기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남아공 촌놈 엘런머스크, 케냐 무슬림 집안 출신 버락오바마가 그런 경우고, 

지방 촌놈이 서울에서 흔히 성공하는 것도,

손정의도 비슷한 케이스라고 할 수 있겠죠. 


단순히 손정의가 열심히 해서 소프트뱅크가 크게 성장했다기 보다는

손정의가 일본 사회를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포지션에 있었기 때문에

일본의 약점도 잘 볼 수 있었다는 거죠. 


http://newspeppermint.com/2015/04/08/brain_travel/?utm_source=related_news&utm_medium=inner&utm_campaign=yarpp


그래서 이런 기사도 나올 수 있으며,

특이한 것은 "완전히 다른 문화권에 가는 것보다 엇비슷한 문화권을 여행하거나 그 곳에서 살았을 때 창의력이 더욱 높았습니다."라는 거. 이는 완전히 다른 문화권에 가면 접점이 아예 없는 반면, 비슷한 문화권에 가면 등잔밑이 어두운 것을 볼 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중요한 창의는 일견 사소해 보이는 작은 차이를 발견하는 것이기 때문이죠.


결국 한국인이 미국에 가봐야 별볼일 없고(물론 요즘은 양국의 문화적 격차가 줄어들었다는 것을 감안해야 합니다),

일본에 가면 성공할 확률이 높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물론 일본이 망하고 있어서 가봐야 별볼일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이동하는 사람이 시골천재여야 한다는 겁니다. 

지방천재가 서울을 간다던가, 서울천재가 일본을 간다던가 해야 하는 거죠. 

천재여야 낯선 곳에서도 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역시나 마지막은 인간천재가 신이 사는 진리의 동네로 가는 겁니다. 







[레벨:7]오자

2017.09.25 (17:24:17)

언어가 플랫홈이기 때문에 동일한 콘텐츠도 언어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고 사고방식도 판단도 달라질 듯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8]챠우

2017.09.25 (18:52:03)

이 기사는 언어라는 형식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이야기 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 이전에 언어를 대하는 자세를 이야기 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1352 구조를 아는 아기 image 25 오세 2016-03-22 2954
1351 제4차 충청권 모임(3월29일 화요일) image 8 아나키 2016-03-22 2392
1350 구조론 목요 정모합니다 image ahmoo 2016-03-24 2025
1349 과대 과장 광고 - 중복의 진수 2 다원이 2016-03-25 2624
1348 물귀신의 정수(精髓) 수원나그네 2016-03-26 2271
1347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6-03-26 1959
1346 3차 서울 주제 모임 재공지 챠우 2016-03-26 2072
1345 4차 충청권 모임(3월29일 화요일)수정공지 image 아나키 2016-03-27 2090
1344 서울 주제 모임(4차) 공지 챠우 2016-03-28 1994
1343 충청권 구조론 뒷이야기 image 4 떡갈나무 2016-04-01 2532
1342 자하 하디드와 버킨백 16 펭귄 2016-04-01 2969
1341 웹툰을 하나 시작했습니다. image 5 오세 2016-04-01 2637
1340 인간의 피질은 어떻게 구조되어있는가? 서울 주제 모임 4차 재공지 챠우 2016-04-02 2045
1339 2016.03.30/환구시보/제목: 전쟁이 임박했다는데 우리(중국)는 무얼 하고 있나? jnhn 2016-04-02 2663
1338 마이크로소프트 홀로렌즈 홀로포테이션 1 오리 2016-04-03 2285
1337 하나로 설명되어야 한다. 서울 주제 모임 5차 공지 챠우 2016-04-04 2052
1336 시각 장애인을 위한 AI image 2 오리 2016-04-04 2518
1335 구조론 서울 모임 (어제) image ahmoo 2016-04-07 1973
1334 일련의 사건들... image 1 아란도 2016-04-08 2812
1333 본격투표독려만화 image 1 오세 2016-04-09 2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