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8]펄잼
read 2000 vote 0 2017.08.28 (20:33:57)

우연히 뉴에이지가 예전엔 종교적으로 금기되었던 장르였다는 소리를 듣게되었다.

롹은 그렇다고 들어본적은 있었지만.. 그것도 어이없는 소리였지만 수사 신부님 께서 음악피정 중에 하신얘기라 그때

함께 갔던 성가대 친구들이 반박 했을때 내심 동감은 했지만 신부님의 생각이 그럴수도 있지! 했었던 터였다.


요가를 통해 명상을 하는것도 좋아졌고 이루마의 음악을 들으며 뉴에이지라는 장르가 참 좋았다. 바로 어제까지.

우연히 들은 뉴에이지에 대한 속설을 찾아보려고 인터넷 검색을 해보는데 놀라왔던건 조지윈스턴과 이루마 님이

본인의 음악이 뉴에이지가 아니라고 했다는 것이었다. 그럼 뉴에이지는 뭐지? 클래식 보다는 격이 낮고; 피아노연주 라고 하기엔 대중적인? 뭐 그런 장르라고 쳤을때 아니 그래서 이 장르는 왜 뮤지션들이 피해가려고 하는걸까? 란 거였다.


왜지? 난 정말 좋은 연주라고 생각했다. 정말 이해할수가 없다.

그리고 비단 음악 뿐만이 아닌것 같다. 컴퓨터 에서도 마찬가지 인것 같다. 기획자의 아이디어는 개발용어를 모르거나

코딩이 안될때 무시되기 일수인것 같다. 내가 깨닳은건 전공자들은 기획의 아디이어나  대중음악의 순수창작 작곡 영역(창의성) 보다는 짜여진 이론의 정점을,  얼마나 그럴듯하게 ,똑같이 흉내 낼줄 아는지에 후한 점수를 준다는 것이었다.

악상(창의)보단 베이스 화성학(이론) / 기획(아이디어,창의)보단 구현(개발, 이론)을 두고 싸우고만 있다.


뉴에이지는 클래식 보다는 격이 떨어지기에 정통 음악에서 수준낮은 대중가요로 탈락한 것이라는 인식을 발견하니

이보다 더 씁쓸할까.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4692 연탄재..그리고.. 아제 2017-11-29 1692
4691 화폐 시스템의 발전과 세력전략 3 현강 2017-12-25 1693
4690 구조론 목요 열린방송 image 1 ahmoo 2016-09-22 1694
4689 공부란 무엇인가 말시인 2019-09-02 1694
4688 학교에서 문제행동을 하는 아이를 변화시키지 못하는 이유 2 이상우 2019-12-04 1696
4687 2018년 2부 함께가는 대한민국 토론을 보며 1 달타냥(ㅡ) 2018-01-01 1697
4686 오늘 처음 해본 온라인 강의 4 수원나그네 2020-03-23 1697
4685 극단적인 자유주의(지방분권)으로 강대국이 못 되는 인도네시아 부루 2017-11-10 1698
4684 제안합니다! 1 cintamani 2018-07-18 1699
4683 유튜브가 세상을 지배합니다^^ 까뮈 2017-11-27 1701
4682 카메라 기자들의 파업(?) 스마일 2017-11-09 1702
4681 비트코인에 대한 큰 착각 1 부루 2018-01-11 1703
4680 지름신고 image 1 cintamani 2018-07-31 1704
4679 블록체인 전체적인 조망 mowl 2019-12-14 1704
4678 구조론 목요 향연 image ahmoo 2015-12-10 1706
4677 축하드립니다 2 고향은 2018-05-15 1707
4676 [학급운영] 관찰하고 또 관찰하면 보이는 것 이상우 2018-06-28 1708
4675 구조론 목요 강론회 image ahmoo 2015-11-05 1709
4674 구조론 목요 열린 방송 image ahmoo 2016-09-29 1710
4673 토요 춘천 팟캐스트 모임 재공지 image 3 김동렬 2017-11-24 1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