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원연구

    어원을 연구해보면 학교에서 배운 구개음화니 자음접변이니 하는게 대략 엉터리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게 그리 간단한 문제가 아니더라. 내막을 알고 보면 꽤 복잡하다. 


    일단 많은 나라들이 모음이 몇 개 없다. 모음의 아와 오와 어를 구분하지 못한다. 복모음은 아예 없다. 일본인들은 받침 ㄹ을 잘 발음하지 못한다. 듣지도 못하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일본인들은 한국인들이 커피와 카피(복사)를 구분하지 못한다고 여긴다. 사실은 지들이 어와 아를 구분하지 못하는 거다. 우리는 어와 아로 커피와 카피를 구분한다.


    일본인들은 ㅍ발음으로 커피와 카피를 구분한다. 이런 패턴들이 여럿 있다. 프랑스인들은 H를 발음하지 못한다. 헨리를 앙리라고 한다. C>CH>H로 변해가는 패턴이 있다.


    꼭지>촉>혹으로 변하는 패턴이다. 강이 북쪽으로 가면 하가 된다. 장강이 황하가 된다. 어원은 같다. C가 H로 갈수록 뾰족한 정도가 약해져서 혹이 촉보다 더 둥글둥글하다.


    G>W 패턴도 있는데 구멍>우멍, 굼집>움집, 궁둥이>엉덩이, 개울>여울로 변한다. 벌레를 뜻하는 웜이 원래 굼이다. 받침 ㅌ이 로 변하는 패턴도 있는데 풍골님 말씀이다.


    숫자 일이 원래는 잇이었다고. 일본인들이 일을 이치로 발음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부처는 한자로 붓이었다. 붓다>붓>불. 불佛은 원래 없는 한자인데 새로 만들었다.


    에잇>여덟도 같은 원리다. 여덟은 열에서 둘을 뺏다는 뜻이다. 일레븐이 열에서 일을 뺀다는 뜻인데 원래는 12가 열이다. 부족민은 하나, 둘을 알 뿐 그 이상은 많다를 쓴다. 


    셋의 발견은 혁명이다. 3진법과 4진법이 섞여 12진법으로 발전했다가 나중 10진법으로 후퇴했다. 손가락이 열개니까 10진법이다? 이런 소박한 생각은 당연히 착각이다.


    부족민은 10을 셈할 능력이 없다. 셋은 뗏다는 뜻이다. 세금에 세가 붙은데서 알수 있다. 떼는게 세는 거다. 3의 원래 의미는 삼각형이다. 구석기인이 돌의 모서리를 뗐다.


     가을에 땅주인 1/3, 경작자 1/3, 왕 1/3로 떼어 셋이 나눠가지는 법이 있었다. 셋은 삼각형이다. 받침 ㅌ이 변해서 ㄹ이 된다. 그런데 이 현상이 우리말에만 있는게 아니다.


    컴퓨터가 컴퓨러로 변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cut에서 칼이 나왔다. 캇>칼로 변한 것이다. 예전에 필자가 이 패턴을 몰랐는데 이를 적용하면 많은 사실을 알아낼 수 있다.


    시간이 남아도는 분은 연구해 보기 바란다. 샷>살 화살은 활+살이다. 풋>발 또 찾아보면 잔뜩 나올 듯.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58 김동렬 2019-06-02 1453
57 가마우지 김동렬 2018-04-18 1875
» 붓에서 불佛로 변하는 패턴 김동렬 2017-08-28 1740
55 호응 김동렬 2016-01-22 2561
54 동이 트다 김동렬 2015-08-15 6027
53 원형이정 김동렬 2012-01-28 4555
52 개와 견 김동렬 2011-10-20 4312
51 복날? 김동렬 2011-08-08 4296
50 갈문왕과 매금왕 김동렬 2011-07-25 5824
49 되다 매우 받침 ㅂ 김동렬 2011-01-17 6744
48 계림=닭림 김동렬 2009-10-12 5916
47 모른다=못 안다 김동렬 2009-10-11 7076
46 주몽+두목=우두머리 김동렬 2009-09-23 6072
45 절거리와 탈하이 그리고 석탈해 김동렬 2009-09-21 6341
44 이스탄불 카불 김동렬 2009-09-21 6228
43 압살롬 김동렬 2009-07-27 5724
42 깨달음 김동렬 2009-07-13 6795
41 가망=조상신 김동렬 2009-06-10 5878
40 쿠마리 김동렬 2009-03-25 6506
39 라쿤raccoon 김동렬 2008-12-11 9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