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3391 vote 1 2017.07.26 (16:18:51)

     

    인생은 게임이다. 다른 사람이 설계한 남의 게임에 함부로 가담하므로 인간은 불행해진다. 별도로 자기만의 게임을 세팅하지 않으면 안 된다. 게임의 구조 안에서 자신의 권력을 창출하지 않으면 안 된다.


    게임은 상대적이다. 누가 자기편이고 적군인지는 본인이 정한다. 뻐꾸기의 탁란과 같다. 누구의 유전자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개개비는 비록 남의 새끼일지언정 새끼를 키우는 권력을 누리는 것이다.


    무엇보다 그 게임에서 이기는 것이 중요하다. 이기는 게 권력이다. 애초에 줄을 잘 서지 않으면 안 된다. 멋모르고 남의 집에 들어가서 줄 서기 다반사다. 안정되고 확실한 줄은 없다. 줄은 진보의 줄이다.


    진보는 변하는 게 진보다. 스스로 변화를 설계하지 않으면 언제라도 위태로울 뿐이다. 인간의 보수심리는 안정을 희구하지만 안정된 게임은 원래 없다. 안정을 찾으려 할수록 죽음에 가까워지는 것이 권력이다.


    인간은 원죄가 있다. 원죄는 족보의 결함이다. 누구든 타인의 자궁을 빌려 태어난 것이 원죄다. 스스로 태어난 자는 없다. 그러므로 자궁을 빌려준 자의 뒤에 가서 줄을 서게 된다. 자궁은 권력의 자궁이다.


    몸의 자궁은 부모에게서 빌리지만, 권력의 자궁은 국가에게서 빌린다. 남의 게임에서 탈출하려면 그 줄에서 나와야 한다. 빌린 남의 자궁에서 나와야 한다. 그런데 그 탈출과정에서는 당연히 권력을 상실한다.


    그 권력상실의 두려움을 극복해야 한다. 독립하여 자기의 줄을 만들어야 한다. 인간은 어떻든 줄을 서고 본다. 게임을 거부할 수는 없다. 이 게임을 거부한다는 것은 저 게임을 승인한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독립하여 자기의 게임을 만들 때까지는 탈출할 수 없다. 그렇다면? 몸을 준 부모를 찾고 권력을 준 부모를 찾아야 한다. 스승을 찾아야 한다. 신을 찾아야 한다. 인간이 비참한 이유는 진짜 부모가 없기 때문이다.


    인간은 스스로 태어나지 못했고, 남의 자궁을 빌려 태어났으며, 그 부모와 연결이 끊어졌고, 남의 권력을 빌어 성장했으며, 그 권력과의 연결이 끊어졌다. 다른 사람의 게임에 속했다가 독립하지 못한 것이다.


    쉽게 독립하려 할수록 오히려 다른 사람의 권력에 말려들게 된다. 부모로부터 독립하려다가 교회에 가서 종노릇하기가 다반사이다. 이 줄에서 탈출하려다가 저 줄에서 낚여서 거미줄에 걸린 나방신세가 된다.


    ###


    인생이 게임이라는 말은 내가 누구고 누가 내편이고 누가 적인지 내가 정한다는 말이다. 원수를 갚아라 하고 부모가 정해주거나, 사탄아 물러가라 하고 교회가 정해주거나, 국뽕이 최고여 하고 국가가 정해주지만.


    그런건 가짜 게임이고 진짜 게임은 본인이 정해야 한다. 그런데 세상은 죄다 연동되어 있으므로 첫 단추를 잘못 끼우면 곤란하다. 신과의 일대일에서 출발하지 않으면 안 된다. 가장 큰 판에서 시작해야 바르다.

   


00.jpg




[레벨:4]고볼매

2017.07.26 (16:26:23)

명문이십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67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updateimage 7 김동렬 2024-06-12 932
2079 창을 열고 밖을 내다보라 3 김동렬 2010-02-04 16057
2078 구조는 에너지의 질서다 1 김동렬 2010-02-04 15077
2077 구조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10-01-28 14303
2076 구조론을 알아야 하는 이유 김동렬 2010-01-28 14376
2075 구조사전 개념 1 김동렬 2010-01-26 13971
2074 동영상 강의 김동렬 2010-01-25 19518
2073 구조론이란? 4 김동렬 2010-01-22 12939
2072 지성과 깨달음 1 김동렬 2010-01-22 14422
2071 세상을 바꾸는 기획 3 김동렬 2010-01-21 13060
2070 동영상강의 3 김동렬 2010-01-18 14204
2069 김응용과 김성근 108 [2] 김동렬 2010-01-14 18518
2068 생물의 진화 자본의 증식 2 김동렬 2010-01-14 16298
2067 김혜수 유해진 1 김동렬 2010-01-12 16886
2066 구조론 1분 공략 김동렬 2010-01-12 12628
2065 진보의 법칙 2 김동렬 2010-01-08 14665
2064 철학의 탄생 6 김동렬 2010-01-06 14695
2063 동영상 해설 김동렬 2010-01-04 14367
2062 독자제위께 5 김동렬 2010-01-04 15835
2061 구조론의 세계로 초대하며 6 김동렬 2009-12-30 14056
2060 상승한다는 것의 의미 1 김동렬 2009-12-30 146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