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3397 vote 1 2017.07.26 (16:18:51)

     

    인생은 게임이다. 다른 사람이 설계한 남의 게임에 함부로 가담하므로 인간은 불행해진다. 별도로 자기만의 게임을 세팅하지 않으면 안 된다. 게임의 구조 안에서 자신의 권력을 창출하지 않으면 안 된다.


    게임은 상대적이다. 누가 자기편이고 적군인지는 본인이 정한다. 뻐꾸기의 탁란과 같다. 누구의 유전자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개개비는 비록 남의 새끼일지언정 새끼를 키우는 권력을 누리는 것이다.


    무엇보다 그 게임에서 이기는 것이 중요하다. 이기는 게 권력이다. 애초에 줄을 잘 서지 않으면 안 된다. 멋모르고 남의 집에 들어가서 줄 서기 다반사다. 안정되고 확실한 줄은 없다. 줄은 진보의 줄이다.


    진보는 변하는 게 진보다. 스스로 변화를 설계하지 않으면 언제라도 위태로울 뿐이다. 인간의 보수심리는 안정을 희구하지만 안정된 게임은 원래 없다. 안정을 찾으려 할수록 죽음에 가까워지는 것이 권력이다.


    인간은 원죄가 있다. 원죄는 족보의 결함이다. 누구든 타인의 자궁을 빌려 태어난 것이 원죄다. 스스로 태어난 자는 없다. 그러므로 자궁을 빌려준 자의 뒤에 가서 줄을 서게 된다. 자궁은 권력의 자궁이다.


    몸의 자궁은 부모에게서 빌리지만, 권력의 자궁은 국가에게서 빌린다. 남의 게임에서 탈출하려면 그 줄에서 나와야 한다. 빌린 남의 자궁에서 나와야 한다. 그런데 그 탈출과정에서는 당연히 권력을 상실한다.


    그 권력상실의 두려움을 극복해야 한다. 독립하여 자기의 줄을 만들어야 한다. 인간은 어떻든 줄을 서고 본다. 게임을 거부할 수는 없다. 이 게임을 거부한다는 것은 저 게임을 승인한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독립하여 자기의 게임을 만들 때까지는 탈출할 수 없다. 그렇다면? 몸을 준 부모를 찾고 권력을 준 부모를 찾아야 한다. 스승을 찾아야 한다. 신을 찾아야 한다. 인간이 비참한 이유는 진짜 부모가 없기 때문이다.


    인간은 스스로 태어나지 못했고, 남의 자궁을 빌려 태어났으며, 그 부모와 연결이 끊어졌고, 남의 권력을 빌어 성장했으며, 그 권력과의 연결이 끊어졌다. 다른 사람의 게임에 속했다가 독립하지 못한 것이다.


    쉽게 독립하려 할수록 오히려 다른 사람의 권력에 말려들게 된다. 부모로부터 독립하려다가 교회에 가서 종노릇하기가 다반사이다. 이 줄에서 탈출하려다가 저 줄에서 낚여서 거미줄에 걸린 나방신세가 된다.


    ###


    인생이 게임이라는 말은 내가 누구고 누가 내편이고 누가 적인지 내가 정한다는 말이다. 원수를 갚아라 하고 부모가 정해주거나, 사탄아 물러가라 하고 교회가 정해주거나, 국뽕이 최고여 하고 국가가 정해주지만.


    그런건 가짜 게임이고 진짜 게임은 본인이 정해야 한다. 그런데 세상은 죄다 연동되어 있으므로 첫 단추를 잘못 끼우면 곤란하다. 신과의 일대일에서 출발하지 않으면 안 된다. 가장 큰 판에서 시작해야 바르다.

   


00.jpg




[레벨:4]고볼매

2017.07.26 (16:26:23)

명문이십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987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7450
3943 몇 가지 이야기 5 김동렬 2014-09-12 7225
3942 열역학과 구조론 2 김동렬 2014-09-13 6032
3941 자연법칙의 이해 2 김동렬 2014-09-15 6080
3940 글을 잘 쓰는 방법 8 김동렬 2014-09-16 10436
3939 자기 생각을 쓰지 마라 6 김동렬 2014-09-17 8445
3938 하드보일드식 글쓰기 7 김동렬 2014-09-18 8970
3937 시는 이백처럼 써라 5 김동렬 2014-09-19 8013
3936 글쓰기는 캐릭터가 9할이다 1 김동렬 2014-09-21 8019
3935 진화란 무엇인가? 3 김동렬 2014-09-22 6106
3934 이야기의 5단계 3 김동렬 2014-09-22 7745
3933 믿음의 문제 image 1 김동렬 2014-09-24 6706
3932 자전거 여행 image 2 김동렬 2014-09-25 6692
3931 첫 번째 패는 바꿔야 한다 5 김동렬 2014-09-25 11867
3930 열역학 법칙이란 무엇인가? 4 김동렬 2014-09-26 7286
3929 오컴의 면도날 13 김동렬 2014-09-29 8397
3928 점 선 면 입체 그리고 차원 1 김동렬 2014-09-30 8478
3927 아멜리 노통브의 착각 image 3 김동렬 2014-10-01 9850
3926 지적설계설의 아이러니 김동렬 2014-10-05 6287
3925 의사결정학이 새로 나왔습니다. image 19 김동렬 2014-10-07 7791
3924 첫 번째 패는 무조건 바꿔라 image 2 김동렬 2014-10-10 7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