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1898 vote 0 2017.07.19 (11:58:40)

     

    구조론은 깨달음이다.


    존재론과 인식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존재론은 자연의 본래 모습이요, 인식론은 인간의 인식방법이다. 인간의 인식은 언어에 의존한다. 언어는 타인과의 약속을 목적으로 한다. 언어는 명명되는 것이며 명명된다는 것은 약속한다는 것이다. 공간의 약속은 쉽고 시간의 약속은 어렵다. 약속된 공간의 표지는 찾기가 쉽고 약속된 시간의 표지는 찾기가 어려우니 각주구검이 되기 다반사다. 약속을 지켜도 공간의 위치는 정확히 그 자리를 찾아가지만, 시간의 타이밍은 애매해서 어느 한쪽이 먼저 와서 다른 한쪽을 기다려주는 게 보통이다. 더욱 시계가 없던 고대사회라면 약속을 지키기 어렵다. 인간의 언어는 철저히 약속에 맞추어져 있으며 그 때문에 많은 한계를 가진다. 인간끼리의 약속을 지키려 할수록 자연의 존재와 어긋나게 된다. 말 잘하는 사람이 거짓말을 잘하게 되는 이치다. 말에 맞출수록 사실과 어긋난다. 자연의 사실과 일치시키려면 사건의 결을 따라가야 한다. 에너지의 통제가능성을 따라가야 한다. 인간끼리의 약속과 전달에 맞추어진 언어의 한계를 극복하고 자연의 에너지 흐름과 일치시키는 사유의 방법론이 깨달음이다.



00.jpg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2069
3946 에너지는 이기는 힘이다. image 김동렬 2017-11-03 11647
3945 에너지의 세계관 image 김동렬 2017-11-02 11854
3944 에너지는 연역이다. image 김동렬 2017-10-31 11902
3943 만남으로 통제되어야 한다. image 2 김동렬 2017-10-30 12098
3942 에너지의 통제가능성에 주목하라 image 1 김동렬 2017-10-29 11717
3941 구조론은 구조론이다 image 2 김동렬 2017-10-27 12341
3940 아인슈타인의 경우 image 김동렬 2017-10-27 12289
3939 에너지를 이해하라 image 2 김동렬 2017-10-25 11881
3938 에너지는 계의 통제가능성이다. image 1 김동렬 2017-10-24 11996
3937 인간을 다시 보자 image 3 김동렬 2017-10-23 13094
3936 행복은 그다지 행복하지 않다. image 김동렬 2017-10-21 13263
3935 존재의 입장 1 김동렬 2017-10-19 12256
3934 존재의 필요조건 image 김동렬 2017-10-18 12212
3933 양자화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7-10-17 12828
3932 세상은 양자화되어 있다. image 김동렬 2017-10-16 12527
3931 문학의 최종결론은 의리다 image 2 김동렬 2017-10-12 13557
3930 의리가 있어야 산다 image 2 김동렬 2017-10-11 12616
3929 초인이냐 촌놈이냐 image 6 김동렬 2017-10-10 12871
3928 깔때기를 만들면 이긴다. image 김동렬 2017-10-06 13838
3927 즐기는 자가 강하다 image 김동렬 2017-10-05 14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