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1870 vote 0 2017.07.19 (11:58:40)

     

    구조론은 깨달음이다.


    존재론과 인식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존재론은 자연의 본래 모습이요, 인식론은 인간의 인식방법이다. 인간의 인식은 언어에 의존한다. 언어는 타인과의 약속을 목적으로 한다. 언어는 명명되는 것이며 명명된다는 것은 약속한다는 것이다. 공간의 약속은 쉽고 시간의 약속은 어렵다. 약속된 공간의 표지는 찾기가 쉽고 약속된 시간의 표지는 찾기가 어려우니 각주구검이 되기 다반사다. 약속을 지켜도 공간의 위치는 정확히 그 자리를 찾아가지만, 시간의 타이밍은 애매해서 어느 한쪽이 먼저 와서 다른 한쪽을 기다려주는 게 보통이다. 더욱 시계가 없던 고대사회라면 약속을 지키기 어렵다. 인간의 언어는 철저히 약속에 맞추어져 있으며 그 때문에 많은 한계를 가진다. 인간끼리의 약속을 지키려 할수록 자연의 존재와 어긋나게 된다. 말 잘하는 사람이 거짓말을 잘하게 되는 이치다. 말에 맞출수록 사실과 어긋난다. 자연의 사실과 일치시키려면 사건의 결을 따라가야 한다. 에너지의 통제가능성을 따라가야 한다. 인간끼리의 약속과 전달에 맞추어진 언어의 한계를 극복하고 자연의 에너지 흐름과 일치시키는 사유의 방법론이 깨달음이다.



00.jpg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2660 인간은 귀납하는 동물이다 image 2 김동렬 2018-03-06 11808
2659 응답하라 인간들아! image 3 김동렬 2016-12-28 11810
2658 선비는 미학으로 말한다 image 3 김동렬 2018-05-01 11817
2657 Re.. 누가 이회창과 악수하며 손톱으로 긁었냐? 김동렬 2002-12-09 11819
2656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8-05-20 11821
2655 0 아니면 1, 모 아니면 도 image 4 김동렬 2013-01-09 11827
2654 좌절감을 느낄 때 image 7 김동렬 2013-12-10 11827
2653 완전성으로 시작하라 image 1 김동렬 2018-03-04 11828
2652 황진이 대 미녀는 괴로워 김동렬 2006-12-31 11835
2651 에너지의 세계관 image 김동렬 2017-11-02 11839
2650 이야기 꾸미는 방법 image 10 김동렬 2012-01-03 11840
2649 구조론과 깨달음 김동렬 2008-08-27 11841
2648 마음은 어디서 나왔는가? image 19 김동렬 2012-12-28 11841
2647 지성의 역사(추가버전) image 7 김동렬 2010-09-26 11842
2646 역사의 원동력은 무엇인가? image 5 김동렬 2018-04-15 11842
2645 계로 시작하라 image 김동렬 2018-01-29 11846
2644 왜 소통이어야 하는가? 김동렬 2007-04-11 11857
2643 에너지를 이해하라 image 2 김동렬 2017-10-25 11857
2642 정동영, 김근태 위화도 회군하나? 김동렬 2007-01-06 11864
» 구조론은 깨달음이다. image 김동렬 2017-07-19 118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