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5046 vote 0 2017.07.06 (18:13:34)

 j.jpg

   
    해는 동쪽에서 뜬다?


    해는 동쪽에서 뜬다. 틀렸다. 사실은 지구가 서쪽에서 돈다. 우리는 무심코 해가 지구 안에 있다고 여긴다. 해는 지구 바깥에 있다. 정확히 말하면 인간의 관측기준 바깥에 있다. 관측자와 관측기준인 지구를 연결시켰을 때 해는 그 바깥에 있는 것이다. 우리는 무심코 관측대상이 관측자인 인간의 관측기준 안에 있다고 여긴다.


    관측대상은 관측기준 안에 있어야 한다. 자로 사물을 잰다면 자가 사물보다 커야 한다. 눈으로 코끼리를 관측한다면 인간의 시야가 코끼리보다 넓어야 한다. 코끼리가 인간의 시야보다 크다면 계산을 해야 한다. 골치 아파지는 것이다. 인간은 작은 것을 잘 본다. 콩이나 팥을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큰 것은 실측해봐야 안다.


k.jpg


    마이산의 두 봉우리 중에서 암마이산이 높은지 수마이산이 높은지는 늘 헷갈린다. 눈으로 봐서는 알 수 없다. 암마이봉이 6미터 더 높다. 진안읍내에서 남남서쪽을 바라보게 되는데 정남향으로 착각하기 때문이다. 수마이산이 진안읍내와 조금 더 가깝다. 사물은 헷갈려도 실측해보면 되는데 사건은 실측할 수 없는 게 문제다.


    사건을 실측할 수 있다. 그것이 구조론이다. 우리는 사물의 안을 보고 판단하는 데 익숙해 있을 뿐 사건의 밖을 보고 판단하는 데는 익숙해 있지 않다. 사건은 특히 밖을 바라봐야 한다. 밖에서 에너지가 공급되기 때문이다. 에너지가 사건의 주인이다. 안과 밖을 가르는 것이 닫힌계다. 닫아걸고 통제하는 데 대한 개념이 필요하다.


    우리는 벼락이 하늘에서 땅으로 친다고 믿지만, 우리가 눈으로 목격하는 벼락은 양전하를 띤 입자가 땅에서 하늘로 올라가는 것이다. 그사이에 장이 있다. 그 장은 작은 빗방울 입자들의 충돌이 만들어낸 마찰전기다. 이런 것을 눈으로 보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태풍은? 기압골은? 장마전선은? 우박은? 볼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위성사진으로 태풍을 볼 수 있게 되었다. 떨어지던 빗방울이 상승기류를 타고 공중으로 솟구쳐 올라가면서 얼어붙어 우박이 된다. 우리는 하늘에서 비가 땅으로 내리는 줄만 알았지 반대로 하늘로 올라간다는 것은 생각하지 못하는 것이다. 떨어지던 빗방울이 상승기류를 타고 오르면서 충돌하여 얼어붙어 골프공만큼 커진다.


    충돌하면 커지고 커지면 무거워지고 무거우면 떨어지고 떨어지다가 상승기류를 만나 재차 상승하면서 우박이 점점 자라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볼 수 있어야 한다. 그러한 현상이 정치판에도 있고, 예술분야에도 있고, 군중심리에도 있고, 남녀 간의 밀당에도 있다. 그것을 볼 수 있어야 한다. 관계를 봐야 그것이 보인다.



00.jpg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916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9192
3876 중용1, 어울리되 휩쓸리지 않는다 image 1 김동렬 2016-02-22 5844
3875 공자 20, 안 되는 줄 알면서 image 6 김동렬 2016-02-24 5848
3874 식민사관은 인종주의다 image 3 김동렬 2016-05-31 5850
3873 엔트로피는 언제나 증가한다. 3 김동렬 2018-09-03 5851
3872 사랑 126, 첫 키스의 추억 image 1 김동렬 2016-08-01 5852
3871 모순이 있어야 정상이다 1 김동렬 2016-07-06 5859
3870 성공으로 가는 5단계 image 김동렬 2015-11-26 5861
3869 잔다르크의 성공과 실패 image 김동렬 2016-04-05 5861
3868 왜 공자이고 또 노자인가? image 5 김동렬 2016-07-25 5863
3867 깨달음은 말할줄 아는 것이다. image 2 김동렬 2015-09-16 5864
3866 에너지는 에너지가 아니다 image 김동렬 2015-03-10 5865
3865 뭐든 구조를 탓하면 된다 image 3 김동렬 2015-11-14 5871
3864 에너지는 실과 같다 1 김동렬 2018-08-09 5875
3863 일은 즐거워야 한다 image 2 김동렬 2016-03-04 5876
3862 메카는 어디인가? image 김동렬 2015-02-13 5877
3861 진리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5-12-16 5878
3860 사랑 105, 깨달음의 적기는? image 4 김동렬 2016-05-04 5879
3859 세상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 image 2 김동렬 2015-04-23 5881
3858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image 김동렬 2015-08-09 5882
3857 일의성과 완전성 image 10 김동렬 2015-03-13 58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