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2501 vote 0 2017.06.30 (11:56:52)

     아래에 이어지는 글입니다.

   

    우리는 인종을 흑백황 3종으로 분류하지만, 과학적으로 분류하면 흑인만 99종에 황백은 합쳐서 1 정도 된다. 통상적인 흑백황 인종분류는 단지 날아다닌다는 이유만으로 나비를 새로 분류하는 식의 오류에 해당하는 것이다. 나비는 새가 아니다. 고래는 물고기가 아니고 악어는 어魚가 아니다. 


    외견상 피부색이 비슷하다고 해서 같은 종인 것은 아니다. 전혀다. 족보로 보면 완전히 다른 세계가 열린다. 그 세계를 받아들여야 한다. 올바른 전개의 방향을 찾아야 한다. 세상을 보는 우리의 방식은 관측자인 인간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이는 자의적이고 주관적인 것이니 과학적이지 않다. 


    어떤 대상이 사람의 눈에 어떻게 보이느냐를 떠나서 물物 자체의 고유한 내적 질서를 따라가야 한다. 인간과 물物은 서로 맞서 있다. 서로 마주보고 있다. 방향이 틀렸다. 같은 방향을 바라보아야 한다. 물物이 가는 방향을 관측자인 인간이 따라가야 한다. 남녀가 서로 마주보고 있다면 어떨까? 


    상대방을 거울로 삼아 그 거울에 비친 자기를 본다. 우리는 타인을 보고 있다고 믿지만 실은 자기 자신을 보고 있다. 자기가 보고 싶은 것을 상대방에게서 찾아내려고 한다. 우리는 상대방이 어떻다 말하지만 사실은 상대방에 대한 자신의 관심사를 말하고 있다. 상대방을 빌어 자기소개 한다.

    그러므로 바보들에게는 안철수의 머저리됨이 보이지 않는 것이다. 왜? 안철수를 보지 않고 안철수라는 거울에 자기를 비추어보려고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 눈에 잘 보이는 안철수의 대단한 바보됨이 한경오 눈에는 절대로 보이지 않는다. 보이지 않으니 당연히 취재하지 않는 것이다. 


    남자는 말한다. ‘나는 저 아름다운 미녀가 좋아.’ 얼핏 미녀에 대해서 말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자기 마음 속의 공허를 들키고 있다. '내 마음 속에 공허가 있어서 무언가로 채우고 싶어. 미녀를 만난다면 그 구멍이 채워질 것도 같아.' 이렇게 말하고 있다. 이는 자기를 개입시킨 상대성이다. 


    절대성의 언어를 갖추지 않으면 과학하지 못한다. 관측대상인 물物과 관측자인 인간이 마주보는 방향이면 상대성이 작동하므로 이미 틀려버렸다. 물物 자체에 내재하는 고유한 질서를 포착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럴 때 풀린다. 세상은 얽힘과 풀림이다. 얽힘은 문제를 만들고 풀림은 답을 낸다. 


    풀리는 방향은 정해져 있으니 물物과 마주보는 방향이면 상대성이 작동하여 풀린 만큼 도로 얽혀버린다. 풀리는듯 풀리지 않는다. 일관되게 한 방향으로 쭉 풀어내지 않으면 안 된다. 객관적으로 보는 시선을 얻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려면 먼저 탑포지션을 얻어야 한다. 마주보면 안 된다.

    

    정상에서 전모를 보는 관점이 아니면 안 된다. 절대성의 시선을 얻어내지 않으면 안 된다. 방향성을 판단하는 훈련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0.jpg


   


[레벨:4]고볼매

2017.06.30 (14:46:29)

‘나는 저 아름다운 미녀가 좋아.’


동렬님 말씀 중에 '나는 자장면이 좋아'  와 비슷한 말씀이네요.~


동렬님 글을 읽은 후로 사람들의 대부분 대화가

 '나는 자장면이 좋아' 이런 화법인게

자꾸 귀에 거슬리더라구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84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8913
2464 자본가치설이 맞다 image 2 김동렬 2014-05-29 12480
2463 완전성에서 출발하라. image 1 김동렬 2011-10-05 12482
2462 [펌] 강호는 넓고 논객은 많다 김동렬 2004-11-11 12485
2461 깨달음은 너와 나를 넘는다 image 1 김동렬 2016-01-22 12498
2460 마주 서기(수정) 김동렬 2007-05-28 12499
2459 할 말이 없네요. 김동렬 2005-12-15 12502
2458 이명박은 딱 거기까지 김동렬 2006-03-06 12502
» 방향성의 판단 image 1 김동렬 2017-06-30 12501
2456 방향성을 판단하라 image 김동렬 2017-06-21 12505
2455 노골적인 이야기 image 4 김동렬 2018-02-21 12507
2454 백범과 료마 김동렬 2004-05-23 12508
2453 원자론과 구조론 김동렬 2007-10-18 12509
2452 구조론의 초대 image 김동렬 2017-07-05 12509
2451 연역과 귀납 image 김동렬 2017-08-04 12510
2450 박근혜의 몰락공식 김동렬 2005-01-10 12511
2449 김인식 리더십에 주목 김동렬 2006-03-20 12512
2448 구조론 다시 읽기 image 김동렬 2017-03-27 12513
2447 행복이 아니라 에너지다. image 김동렬 2017-02-26 12514
2446 왜 한국은 강한가? 김동렬 2005-12-10 12515
2445 김혁규 납득할 수 없는 이유 20가지 김동렬 2004-05-31 12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