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read 2828 vote 0 2017.05.21 (18:25:20)

20170521_172716.jpg

#품위와품격_권력의지 #내가보는_문재인의미학

이상하지..., 적어도 내 입장에서는 그렇다. 그러니 다른 이들이 그렇다고 하는 것을 뭐라 반박하는 것은 아니다.

예전에 이스크라와 문재인에 대해 이야기 나눌 때, 이런 대화를 나눴다.

이스크라는 자기의 정치적 성향과 상관없이, 문재인이 정치권과 언론에 날마다 까이는 현실에 대해 분노했다. 서로 의견분분한 정치권과 선거 이야기를 하는 도중이었다. 긴장이 고조되는 정국의 어느 시점이었다(그 이하는 생략한다. 내 이야기를 하려고 꺼낸 서두이기에 그렇다).

나는 그때 이렇게 말했다.

전에 광화문 광장에서 세월호 단식 때, 가까이 다가가서 문재인을 봤을 때, 그는 침묵속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었다. 정치인 옆에 먼저 다가가 본 적은 없었으나, 그때는 웬지 먼저 다가가 말을 걸지 않으면 나중에 후회할거 같았다. 한참을 망설이다가 다가가 "힘 내세요. 늘 지지합니다" 라고 말했다. 그러자 그는 "예, 고맙습니다" 라고 답변하였다. 짧은 인사를 주고 받는 가운데 나는 그의 눈을 유심히 보게 되었다. 그의 눈동자를 보았는데, 저 깊은 곳의 문재인을 보았다. 그 문재인은 흔들리지 않았고, 자기 심지가 굳건 했으며, 강하다는 것을 느꼈다.

되돌아오며 생각했다. 저 안에 깊이 깃든 이는 누구인가? 문재인을 나는 그때 다시 보았다. 그 사람에 대한 신뢰가 내 안에 차오르고 있었다. 내가 생각하는 문재인은 그 이전이나 그 이후나 같은 문재인이지만, 나는 그날 그의 더 깊은 속을 보아버린 기분이었다. 그 문재인이 내 안에서 공명을 일으켰다. 소통하는 느낌이었다. 사람에 대해 안다는 것은 그런 것이었을까...?

이스크라에게 나는 말했다. " 문재인은 지금 저 난관을 거쳐 대통령의 자리에 가게 된다면, 천직이 될 것이다". 라고 말했었다.

아마도 그 난관을 거치는데 권력의지가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권력의지가 단순히 욕심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권력의지가 제대로 성립하려면, 그 의지를 받쳐줄 기반을 먼저 만들어 내어야 한다. 의지를 실현시키는 것은 그만한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그 실현에는 반드시 모형과 밑그림이 있어야 한다. 이 모형과 밑그림에 자기 욕망에너지를 실을 수 있어야 한다. 이 준비된 욕망에너지로 자기의지를 관철해 나가는 것이 인간이 가지는 권력의지 이다.

그랬다. 그 자리로 가는 과정에서 권력의지는 어떻게 나타나야 할 것인가? 그는 자기가 할 바를 성실히 이행했다. 주변과 협력을 게을리 하지도 않았다. 관계에 있어서도 그는 군자대로를 택했다. 자기 자신을 잘 알고, 자신에게 어울리는 이미지 메이킹을 알고, 보여지는 시선권력도 알고, 자기와 페르소나를 일치시켜 완성된 자기를 만들어 내는 것. 이 모든 시작과 과정이 권력의지이다. 이 권력의지는 인간이 인간으로 사는 것에 있어서 품 '위'와 품 '격'으로 드러날때, 가장 강력한 에너지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더이상 두려워서 물러서는 비겁한 행동을 하지 않게 된다.

겉과 속이 같아질때 인간은 부드러워진다. 부드러운게 강한 것이다. 라는 명제는 현실에서 실현된다. 품었던 이상은 그때 현실화 되어 눈 앞에 펼쳐지게 된다. 이상을 현실에 연출해 낼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이 가장 강력한 인간의 '권' 이다. 여기에 국민이 부여한 '력'이 갖춰지면 "권력"이 된다. '권'을 먼저 갖추고 나중에 '력'을 끌어왔다. 볼트와 너트가 결합하듯이 결합되어 단단해졌다. 형체를 갖추었다. 완전해졌다. 완전성의 의미, 완전성에 대한 감각 - 아~~예술이다. 라는 느낌이 전하는 감탄사의 영역이 전해주는 바로 그 지점. 미학이다.

타인들이 문재인을 다시 봤다. 라는 말이 처음에는 이상하게 여겨졌으나..., 그건 시점의 차이였다. 언제 그리 느꼈는지에 대한 시간차가 존재한다. 먼저 보고 나중에 보고의 차이..., 그럼에도 그 차이가 그저 아무것도 아닌 것은 아닐 것이다. 자기와의 교감이란 것에 있어서 그 어떤 것이라도 먼저 보면 가는 길이 조금은 달라지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자기 고백적인 글들이 생겨난다는 것은 - 같은 것을 보면 같은 느낌을 적어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서로가 알게 된다. 그것이 소통과 공감의 열쇠이기도 하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 내가보는_문재인의미학 image 아란도 2017-05-21 2828
2651 인과는 하나다. 2 양을 쫓는 모험 2012-01-01 2829
2650 국정원사건 그리고 경찰청 발표 이후 골든크로스가 재역전 되었다는 군요... 택후 2013-06-15 2828
2649 이사진 보다가 그만 울컥... image 3 폴라리스 2012-03-12 2827
2648 진보와 분노의 에너지 1 토마스 2011-12-04 2827
2647 출석부에서 게시판으로 지여 2010-12-11 2827
2646 스마트폰의 서열 image 챠우 2017-09-13 2826
2645 구조론 목요 열린방송 (분당) image ahmoo 2017-06-15 2826
2644 보라스 2편 2 냥모 2013-05-29 2826
2643 선험과 경험의 용어 정리를 알고 싶어요. image 8 암흑이 2018-02-12 2825
2642 영화 파리대왕, 초등학교 6학년과 사회 수업으로 함께 봐도 될까요? 3 이상우 2015-08-27 2825
2641 예감이 억수로 좋다 1 꼬치가리 2012-12-19 2824
2640 이럴 때 야당은 어떻게 대응해야 좋을까요? 7 차우 2014-04-22 2823
2639 세월호 구조의 표류- 의사결정 난맥상인 대한민국 2 아란도 2014-04-20 2823
2638 윗세대에 대한 편견 5 곱슬이 2010-11-23 2823
2637 한국은 이제 이겨 보여야 한다. 6 챠우 2015-02-01 2822
2636 오랜만에 기도한다. 29 오세 2010-06-02 2822
2635 걸어서 세계속으로 - 스웨덴 편 image 4 아란도 2014-12-22 2821
2634 분노한 국민은 투표를 한다 4 토마스 2012-11-18 2820
2633 혹 유재일을 아시나요? 3 까뮈 2017-03-26 2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