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8401 vote 0 2008.12.31 (13:00:45)

완전성의 과학 구조론

구조론은 자연의 완전성을 탐구하는 과학이다.

구조론은 데이터에 어떻게 포지션을 부여할 것인가? 포지션에 어떻게 밸런스를 부여할 것인가? 밸런스에 어떻게 플랫폼을 부여할 것인가? 그리고 이를 시스템으로 발전시킬 것인가를 논한다.

구조는 이렇게 점차 고도화 되어 '완전성'에 이른다. 자연은 완전할 때 뻗어나간다. 구조는 완전할 때 작동한다. 그 날개를 편다. physical의 어원은 ‘펼쳐진다, 뻗어간다’는 뜻이다. 자연은 뻗어나가는 것이다.

자연에서 완전한 것은 피어나는 생명이다. 씨앗처럼 움츠리고 있다가 봄을 맞이한 새싹처럼 펼쳐져 나온다. 꽃처럼 활짝 피어난다. 구조론은 그 자연의 완전성, 생명성, 진보하고 뻗어나가는 성질을 탐구한다.

구조는 데이터(값, 정보)에서 포지션(짝, 쌍)으로, 밸런스(평형계)로, 플랫폼(구조체)으로, 시스템으로 뻗어나간다. 우리는 구조체의 모델링과, 시스템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일의 완전성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작동이 일(work)이다. 에너지의 입력과 출력에 따른 일의 1사이클이 존재한다. 세상은 일의 집합이다. 구조론은 일을 해명한다. 자연이 일하여 생명으로 발전하듯이 인간은 일하여 문명으로 발전한다.  

그 지점에서 인간의 일은 자연의 생명성을 얻는다. 공명한다. 울림과 떨림이 전파된다. 봄을 맞이하여 새싹들이 깨어나듯 일제히 분출한다. 폭발한다. 혁명한다. 우리가 꿈꾸는 진정한 세계가 그곳에 있다.

구조론은 폭넓은 지평을 가진다.
구조론은 완전성을 통하여 이상주의로 나아가는 철학이고
세상을 해석하는 경로를 제시하는 과학의 방법론이며
자연의 완전성을 인간의 삶의 양식으로 내면화 하는 데서 미학이고
신의 완전성과 소통하는 데서 깨달음이다.
인류의 집단지능으로 바라보는 데서 세계관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한 줄에 꿰어 하나의 논리로 일관되게 설명하는 총괄이론이다.

www.gujoron.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6612
6704 뇌는 왜 부정적 생각을 할까? 김동렬 2024-04-18 1550
6703 한동훈 최후의 발악 1 김동렬 2024-03-28 1555
6702 왼쪽 깜박이와 모계사회 김동렬 2023-12-04 1557
6701 인간에 대한 환멸 2 김동렬 2024-03-04 1558
6700 윤석열 김흥국 김병만 강형욱 3 김동렬 2024-05-21 1559
6699 정의당의 몰락공식 김동렬 2024-03-06 1563
6698 한동훈이 뭔 잘못? 김동렬 2024-04-14 1563
6697 넌 내게 모욕감을 줬어 김동렬 2024-03-24 1565
6696 이번 총선의 의미 김동렬 2024-04-07 1569
6695 유체의 자발성 김동렬 2023-07-23 1572
6694 방향과 순서 김동렬 2023-12-15 1572
6693 배신의 정치 응징의 정치 김동렬 2024-02-28 1577
6692 순진한 한국인들 김동렬 2024-05-03 1585
6691 박용진은 정치를 배워라 2 김동렬 2024-03-20 1593
6690 인생의 첫 번째 질문 김동렬 2023-12-04 1595
6689 먹방 유튜버의 진실 김동렬 2024-04-18 1595
6688 인류문명 2.0 김동렬 2024-02-13 1597
6687 조절장치 김동렬 2024-01-29 1603
6686 제 1 지식 김동렬 2023-12-11 1606
6685 조국인싸 동훈아싸 image 김동렬 2024-03-22 1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