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달음 이란
read 4370 vote 0 2008.12.31 (01:07:27)

  날을 깨닫기

숟가락의 끝이 둥근 것은 입술의 형태를 닮아있기 때문이다. 젓가락이 긴 것은 손가락의 형태를 닮아있기 때문이다.

가치는 의미를 배달한다. 의미의 배달은 톱니바퀴의 맞물림으로 가능하다. 톱니바퀴는 요철(凹凸)이다. 요와 철은 닮았다. 숟가락 날은 입술을 닮았다.

모든 존재는 맞물려 있다. 맞물려 있으므로 마주치는 접점이 있다. 힘을 전달하고 전달받는 부분이 있다. 소통이 이루어지는 부분이 있다.

그것이 날이다. 날은 마주치는 접점이다. 눈인사로 만날 때는 눈빛이 날이고 손으로 악수할 때는 손아귀가 날이다.

모든 존재는 심과 날이 있다. 볼펜은 잉크가 든 부분이 심이고 촉(觸)이 날이다. 종이는 페이지가 날이고 TV는 모니터가 날이다.

휴대폰은 반도체가 심이고 안테나가 날이다. 자동차는 엔진이 심이고 바퀴가 날이다. 심은 가운데서 중심을 잡고 날은 밖에서 접촉한다.

● 가치는 둘 중 하나를 선택하기다.
● 가치있는 것은 속이 가득하고 겉이 팔팔한 것이다.
● 가득한 것은 속에 심(心)이 들어 있고 팔팔한 것은 겉에 날이 있다.
● 심은 속으로 의미를 머금고 날은 겉으로 외부세계와 접촉한다.
● 가치는 심에 의해 보존되고 날에 의해 소통된다.

날이 있어야 한다. 시퍼렇게 날이 서 있어야 한다. 날은 팔팔하게 반응하는 것이다. 칼날처럼 예리하게 반응하고 송곳처럼 섬세하게 반응하는 것이다.

진위(眞僞) 중에는 진이 반응하고, 선악(善惡) 중에는 선이 반응하고, 미추(美醜) 중에는 미가 반응한다.

자유와 업악 중에는 자유가 반응하고 성속(聖俗) 중에는 성이 반응한다. 거짓은 반응하지 않는다. 악(惡)과 추(醜)와 억압과 속(俗)은 반응하지 않는다.  

출력이 심이라면 주파수가 날이다. 심과 날은 연결되어 있다. 만년필 심은 잉크를 머금고 만년필의 날(촉)은 종이와 접촉하여 글씨를 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46 2. 『방법(方法)적 사유(思惟)』 2003-02-19 4767
45 3.『최선을 위한 다섯 가지 준비사항』 2003-02-19 4525
44 【 심경(心境)에 부딪히다 】 2003-02-20 4445
43 내게 있어서 유일하게 가치있는 목표는 2003-02-20 5001
42 【 청담을 찾아가다 】 2003-02-21 5354
41 믿음에 대한 세가지 이야기들 2003-02-23 3735
40 언어의 지킴이 2003-02-23 3894
39 그대는 숙녀인가? 2003-02-24 5779
38 깨달음에 이르는 바른 길 2003-07-14 5325
37 호연지기를 깨달음 김동렬 2008-12-31 3295
36 언어를 깨달음 김동렬 2008-12-31 2771
35 나는 무엇을 깨달았는가? 김동렬 2008-12-31 3122
34 관계망의 세계관을 깨달음 김동렬 2008-12-31 2469
33 맥락을 깨달음 김동렬 2008-12-31 2886
32 언어의 쓰임새를 깨달음 김동렬 2008-12-31 2304
31 멋을 깨달음 김동렬 2008-12-31 2790
30 미학을 깨달음 김동렬 2008-12-31 2493
29 닮음을 깨닫기 김동렬 2008-12-31 2492
28 사랑을 깨닫기 김동렬 2008-12-31 2726
27 초극을 깨닫기 김동렬 2008-12-31 2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