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2953 vote 0 2017.04.07 (13:19:45)

k.jpg

 


   
    우리는 대상을 관측한다고 믿지만 실제로는 자기를 관측하고 있다. 스킨십을 한다면 상대방의 몸을 빌어 자기 몸을 만지는 것이다. 자신이 자신을 만지면 뇌가 알기 때문에 상대방의 몸을 빌어 만짐으로써 뇌를 속인다. 자기가 만지면 뇌가 알기 때문에 간지럽지 않고 남이 만지면 뇌가 속으므로 간지럼을 탄다. 


    손으로 꽃병을 만지면서 우리는 꽃병을 관측했다고 믿지만 실제로는 지구 중력을 관측한 것이다. 반드시 매개하는 것이 있다. 우리는 관측대상 내부의 질서를 관측하려고 하지만 외부를 배제했을 때 내부는 깨진다. 관측할 수 없다. 구조론은 사건을 다루므로 사건은 매우 흔하게 여겨지지만 실제로는 매우 드물다.


    우주의 탄생은 매우 어렵다. 우주는 대칭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대칭은 오히려 우주를 붕괴시킨다. 자발적 대칭성 깨짐에 의해 우주가 건축되는 확률은 낮으며 실험실의 과학자라도 수억번의 실험으로 겨우 의미있는 자료를 건진다. 우주에 에너지가 무한에 가깝게 많으므로 확률을 얻어 겨우 우주가 일어났다.


    우리는 추론을 통해 연역의 방법으로 객관적 세계를 이해할 수 있다. 관측자의 주관을 배제하고 순수하게 있는 그대로의 물 그 자체를 알 수 있다. 그것은 관측을 통해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관측을 부단히 배제함으로써 도달된다. 제거할 수 있는 것을 모두 제거했을 때 마지막 남는 것이 그것이다. 


    관측이 쓰이지만 관측으로 얻은 정보 그 자체는 의미가 없다. 그것은 추론의 단서일 뿐 지식은 연역에 의해 얻어지며 관측은 그게 그것인지 맞춰보는데 쓰인다. 강호동과 옥동자의 씨름대결이면 강호동이 이긴다. 그런데 그 강호동 맞아? 지금 착오로 김호동을 말하고 있는거 아녀? 이 때문에 관측이 필요한 거다.  

    

ㅣ.jpg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zuna

2017.04.07 (20:22:20)

"플랑크 스케일"이란 불확정성원리와 연결되는데, 속도란 반드시 떨어진 두 점이 있어야 결정되는 양이고 위치는 한 점을 말하는데 무한히 무한히 작게 두 점을 좁혀서 거의 한 점 가까이 가는 것이 수학의 극한인데 물리적으로는 마지막에 플랑크 스케일에 걸려서 그 밑으로는 못내려 가는 겁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0008
3826 돈은 필요하나 일은 하고 싶지 않은 image 2 김동렬 2017-05-24 13983
3825 일본의 분노 image 2 김동렬 2017-05-24 13756
3824 안다는 것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7-05-22 14030
3823 ‘왜 사나?’ 라는 질문이 들 때 image 김동렬 2017-05-22 14553
3822 몰입과 쾌락의 상관관계 image 김동렬 2017-05-21 14676
3821 왜 그딴 거에 몰입하냐고? image 김동렬 2017-05-20 13807
3820 구조론을 공부하자 image 김동렬 2017-05-20 13473
3819 왜 공부해야 하는가? image 김동렬 2017-05-19 14475
3818 나는 누구? 여긴 어디? image 3 김동렬 2017-05-18 14465
3817 나이는 필요없다. image 김동렬 2017-05-17 13910
3816 가출하세요. image 1 김동렬 2017-05-16 13489
3815 나를 사랑하겠다는 비겁한 결심 image 김동렬 2017-05-15 13479
3814 예쁜 사람 콤플렉스에서 벗어나기 image 3 김동렬 2017-05-14 13513
3813 섹스는 관계의 시작이다 image 5 김동렬 2017-05-12 16465
3812 비교를 한다는 건, 건강하다는 증거다. image 김동렬 2017-05-12 13340
3811 꽉 잡아봐야 안다 image 1 김동렬 2017-05-11 14158
3810 연주되고 있지 않은 악기 image 1 김동렬 2017-05-10 13101
3809 인간이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7-05-09 14299
3808 양반, 상놈의 몸이 따로 있다고? image 1 김동렬 2017-05-09 13118
3807 내 몸에 딱 맞는 정신을 남기는 방법 image 2 김동렬 2017-05-08 13829